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6380 | |
005 | 20221213133044 | |
007 | ta | |
008 | 221212s2022 ulka b 000a kor | |
020 | ▼a 9788959968534 ▼g 937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a chi |
082 | 0 4 | ▼a 495.711 ▼2 23 |
085 | ▼a 497.11 ▼2 DDCK | |
090 | ▼a 497.11 ▼b 2022z5 | |
100 | 1 | ▼a 이상규, ▼g 李相揆, ▼d 1953- ▼0 AUTH(211009)109734 |
245 | 1 0 | ▼a 훈민정음 정독 / ▼d 이상규, ▼e 천명희 지음 |
260 | ▼a 서울 : ▼b 경진출판, ▼c 2022 | |
300 | ▼a 516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2018년에 간행된 '직서기언'이라는 책을 수정 보완한 것임 | |
504 | ▼a 참고문헌: p. 499-516 | |
546 | ▼a 一部 韓漢對譯 | |
700 | 1 | ▼a 천명희, ▼g 千明熙, ▼d 1974-, ▼e 저 ▼0 AUTH(211009)112995 |
740 | 2 | ▼a 직서기언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11 2022z5 | 등록번호 11187249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7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는 기록물인 <훈민정음 해례>(간송미술관 소장본)는 유네스코 인류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고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에서는 한국어를 특허 협력조약(PCT) 공식 공개언어로 지정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전 세계 많은 학자들이 한글을 매우 우수한 자질문자로 평가하고 있다. 한글 문자와 한국어 모두 세계적으로 공인을 받았다. 이처럼 '한글'은 우리들이 선조들로부터 물려받은 매우 자랑할 만한 민족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훈민정음 정독>이라고 이름 붙인 이 책은 6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편에서는 훈민정음을 이루는 예의, 해례, 언해(국역본)의 구조와 텍스트 분석, 그리고 <훈민정음 해례>의 텍스트 오류와 해석 문제를 핵심적으로 다루었다. 제2편에서는 <훈민정음 예의>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었는데, 예의를 이루는 어제 서문, 초성·중성·종성의 문자장, 연서·병서·부서·성음·사성 등의 용법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제3편은 <훈민정음 해례>를 구체적으로 다룬 부분으로,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 서문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풀이하였다. 제4편은 훈민정음 국역본에 해당하는 <훈민정음 언해>를 수록했다. 제5편은 상주본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함께 이본과의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제6편에서는 훈민정음과 관련된 여러 문헌의 서문이나 범례의 원문과 번역문을 제시하였다.
우리 문화의 핵심을 이루는 문자,
‘한글’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
한글은 우리 선조들로부터 물려받은 자랑스러운 민족유산이다.
훈민정음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는 기록물인 ≪훈민정음 해례≫(간송미술관 소장본)는 유네스코 인류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고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에서는 한국어를 특허 협력조약(PCT) 공식 공개언어로 지정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전 세계 많은 학자들이 한글을 매우 우수한 자질문자로 평가하고 있다. 한글 문자와 한국어 모두 세계적으로 공인을 받았다. 이처럼 ‘한글’은 우리들이 선조들로부터 물려받은 매우 자랑할 만한 민족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훈민정음 정독≫이라고 이름 붙인 이 책은 6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편에서는 훈민정음을 이루는 예의, 해례, 언해(국역본)의 구조와 텍스트 분석, 그리고 ≪훈민정음 해례≫의 텍스트 오류와 해석 문제를 핵심적으로 다루었다. 제2편에서는 ≪훈민정음 예의≫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었는데, 예의를 이루는 어제 서문, 초성‧중성‧종성의 문자장, 연서‧병서‧부서‧성음‧사성 등의 용법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제3편은 ≪훈민정음 해례≫를 구체적으로 다룬 부분으로,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정인지 서문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풀이하였다. 제4편은 훈민정음 국역본에 해당하는 ≪훈민정음 언해≫를 수록했다. 제5편은 상주본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함께 이본과의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제6편에서는 훈민정음과 관련된 여러 문헌의 서문이나 범례(≪동국정운≫, ≪홍무정운역훈≫, ≪직해동자습≫, ≪사성통고≫, ≪번역노걸대박통사범례≫, ≪사성통해≫, ≪화담집≫ <잡저> 성음해, ≪경서정운도설≫, ≪경세정운도≫)의 원문과 번역문을 제시하였다.
우리 문화의 핵심을 이루는 문자 곧 한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 ‘훈민정음’과 관련된 주요한 기록물인 ≪훈민정음 예의≫, ≪훈민정음 언해≫, ≪훈민정음 해례≫는 우리 모두가 한 번쯤 읽어 둘 필요가 있는 교양서이다. 내용이 다소 어려운 부분도 없지 않다. 하지만 전문가가 아니라면 어려운 내용을 뛰어넘기며 읽어도 좋을 것이다. 인류 역사상 인위적으로 만든 문자 가운데 ‘한글’이 가장 우수하다는 자부심만 가질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어떻게 과학적인 문자인지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책이며, 훈민정음을 그야말로 정독하고 싶은 누구에게나 좋은 안내서이자 지침서가 되어 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천명희(지은이)
안동대학교 및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글문헌학과 방언학을 전공.현 안동대학교 교수. 인공지능 기반 옛한글 문자판독 분야 학습용 데이터세트 구축사업의 책임.<광흥사 복장유물의 현황과 월인석보의 성격>(2014), <고성이씨 소장 해도교거사의 국어학적 가치>(공저, 2016), <훈민정음 해례본 텍스트의 오류>(2019), <안동지역의 한글문화>(2021) 등의 논문과 ≪증보 정음발달사≫(공저 2016), ≪광흥사 초간본 월인석보 권21≫(2019), ≪광흥사 월인석보 권7・권8≫(공저, 2019) 등의 저서가 있다.
이상규(지은이)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전 국립국어원 원장.저서로 ≪경북방언사전≫(200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한국어방언학≫, ≪언어지도의 미래≫(2006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훈민정음통사≫(2014년 한국연구재단 우수도서), ≪증보훈민정음발달사≫, ≪한글고문서연구≫(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사라진 여진어와 문자≫(2014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한글공동체≫(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분 우수도서), ≪명곡 최석정의 ≪경세훈민정음≫≫(2017년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서 선정), ≪훈민정음 연구사≫ 외 다수.

목차
책머리에 제1편 ≪훈민정음≫ 문헌 분석 01. ≪훈민정음≫ 문헌 개관 02. ≪훈민정음 예의≫ 구조와 분석 03. ≪훈민정음≫ 예의의 이본과 그 계열 04. ≪훈민정음 언해≫ 구조와 텍스트 분석 05. ≪훈민정음 해례≫ 구조와 텍스트 분석 06. ≪훈민정음 해례≫ 텍스트의 오류와 해석의 문제 제2편 ≪훈민정음 예의≫ 본문 읽기 ≪훈민정음 예의(訓民正音 例義)≫ 제3편 ≪훈민정음 해례≫ 본문 읽기 제1장 제자해(制字解) 제2장 초성해(初聲解) 제3장 중성해(中聲解) 제4장 종성해(終聲解) 제5장 합자해(合字解) 제6장 용자례(用字例) 제7장 정인지 서문 제4편 ≪훈민정음 언해≫ 본문 읽기 ≪훈민정음 언해≫ 제5편 상주본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훈민정음 해례≫ 분석 제6편 훈민정음 관련 자료 해석 01. ≪동국정운(東國正韻)≫ 서문 02.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서문 03. ≪직해동자습(直解童子習)≫ 서문 04. ≪사성통고(四聲通攷)≫ 범례 05. ≪번역노걸대박통사범례(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 06. ≪사성통해(四聲通解)≫ 서문과 범례 07. ≪화담집≫ 〈잡저〉 ‘성음해(聲音解)’ 08. ≪경서정운도설≫ 09. ≪경세정운도≫ 서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