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6171 | |
005 | 20221213091108 | |
007 | ta | |
008 | 221207s2021 ggka b 000a kor | |
020 | ▼a 9788963474908 ▼g 93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1 ▼2 23 |
085 | ▼a 953.02 ▼2 DDCK | |
090 | ▼a 953.02 ▼b 2021z15 | |
100 | 1 | ▼a 허준양 |
245 | 1 0 | ▼a 한국식 청동무기의 동북아지역 전개 / ▼d 허준양 |
246 | 0 | ▼i 한자표제: 韓國式 靑銅武器의 東北亞地域 展開 |
246 | 1 1 | ▼a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bronze weapons in Northeast Asia |
246 | 3 1 | ▼a Development of Korean-style bronze weapons in Northeast Asia |
260 | ▼a 과천 : ▼b 진인진, ▼c 2021 | |
300 | ▼a 326 p. : ▼b 천연색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총서 ; ▼v 44 |
504 | ▼a 참고문헌: p. 303-319 | |
650 | 0 | ▼a Weapons, Prehistoric ▼z Korea ▼x History |
650 | 0 | ▼a Weapons, Prehistoric ▼z East ▼x History |
650 | 0 | ▼a Bronze implements ▼z Korea ▼x History |
650 | 0 | ▼a Bronze implements ▼z East ▼x History |
651 | 0 | ▼a East Asia ▼x Civilization |
830 | 0 | ▼a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총서 ; ▼v 44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2 2021z15 | Accession No. 51105711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953.02 2021z15 | Accession No. 1513625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2 2021z15 | Accession No. 51105711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953.02 2021z15 | Accession No. 1513625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반도 출토 동검, 동모, 동과를 ‘한국식 청동무기’로 명명하고 분류, 변천 및 교류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어 집필된 책이다. 이를 기초로 편년과 단계 설정을 진행하고, 나아가 동북아지역에서 출토되는 한국식 청동무기의 전개 양상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 출토 동검, 동모, 동과를 ‘한국식韓國式 청동무기靑銅武器’로 명명하고 분류, 변천 및 교류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습니다. 이를 기초로 편년과 단계 설정을 진행하고, 나아가 동북아지역에서 출토되는 한국식 청동무기의 전개 양상을 검토하였습니다.
동북아지역의 한국식 청동무기는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동북·중원지역), 러시아, 일본과의 상호 관계 속에서 성립되고, 전파·융합·발전하여 복합사회가 형성되는 하나의 과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식 청동무기가 중국 동북지역, 중원지역(산동·산서)과 연동되어 성립된 양상이 주요하며, 동시에 러시아에 전파되어 제 문화와 융화되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또한 일본에 전파된 한국식 청동무기는 야요이시대彌生時代 청동기문화의 성립으로도 이어지는데 이는 집단의 이주(기술자) 및 제작기법의 전파와 밀접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에서는 이에 이어 일본식 청동무기의 자체 제작 및 발전이 시작됩니다.
한국식 청동무기의 전개는 동북아지역 청동기문화의 일면에 자리매김하고, 독자성이 강한 단일 문화권의 성립 및 발전으로 이어집니다. 이는 ‘한국식동검문화韓國式銅劍文化’로 명명되고, 동북아지역의 다양한 청동기문화와 함께 하면서도 주도적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식 청동무기는 이런 다방면의 관계 속에서 출현하였으며 변천하는 사회를 반영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입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권두도판 11 제Ⅰ장 서론 17 제Ⅱ장 청동무기 연구사와 출토 현황 23 1. 청동무기 연구사 23 2. 청동무기 출토 현황 48 제Ⅲ장 청동무기 제작기술 59 1. 청동무기 제작공정 59 2. 실험고고학(동검) 78 제Ⅳ장 동검(銅劍) 83 1. 분류 83 2. 구분마연의 의미 101 제Ⅴ장 동모(銅矛) 113 1. 분류 113 2. 중세형동모의 성립 126 제Ⅵ장 동과(銅戈) 141 1. 분류 141 2. 유문청동무기의 출현 150 제Ⅶ장 편년과 단계 설정 171 1. 편년 171 2. 단계 설정 216 제Ⅷ장 동북아지역 전개와 한반도 사회 237 1. 동북아지역 전개(주변지역 교류) 239 2. 한반도 사회 282 제Ⅸ장 결론 297 참고문헌 303 사진일람표 320 끝마치며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