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5802 | |
005 | 20221205163620 | |
007 | ta | |
008 | 221202s2022 ulka b AA 001c kor | |
020 | ▼a 9788971077672 ▼g 93680 | |
035 | ▼a (KERIS)BIB000016236145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791.430942 ▼2 23 |
085 | ▼a 791.430942 ▼2 DDCK | |
090 | ▼a 791.430942 ▼b 2022 | |
110 | ▼a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 |
245 | 1 0 | ▼a 영화로 보는 영국 역사 / ▼d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편 |
260 | ▼a 서울 : ▼b 건국대학교출판부, ▼c 2022 | |
300 | ▼a 606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집필자: 최석훈, 김춘희, 홍은숙, 황지연, 권혜경, 임도현, 김은혜, 이형식, 김다산, 김정원, 안정희, 김소임, 정평심, 기현주, 황승현, 엄태용, 박희본, 윤소영, 최보람, 임승태, 주기화, 최성희, 전연희, 여은혜, 장은주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최석훈, ▼e 저 |
700 | 1 | ▼a 김춘희, ▼e 저 |
700 | 1 | ▼a 홍은숙, ▼e 저 |
700 | 1 | ▼a 황지연, ▼e 저 |
700 | 1 | ▼a 권혜경, ▼e 저 |
700 | 1 | ▼a 임도현, ▼e 저 |
700 | 1 | ▼a 김은혜, ▼e 저 |
700 | 1 | ▼a 이형식, ▼e 저 |
700 | 1 | ▼a 김다산, ▼e 저 |
700 | 1 | ▼a 김정원, ▼e 저 |
700 | 1 | ▼a 안정희, ▼e 저 |
700 | 1 | ▼a 김소임, ▼e 저 |
700 | 1 | ▼a 정평심, ▼e 저 |
700 | 1 | ▼a 기현주, ▼e 저 |
700 | 1 | ▼a 황승현, ▼e 저 |
700 | 1 | ▼a 엄태용, ▼e 저 |
700 | 1 | ▼a 박희본, ▼e 저 |
700 | 1 | ▼a 윤소영, ▼e 저 |
700 | 1 | ▼a 최보람, ▼e 저 |
700 | 1 | ▼a 임승태, ▼e 저 |
700 | 1 | ▼a 주기화, ▼e 저 |
700 | 1 | ▼a 최성희, ▼e 저 |
700 | 1 | ▼a 전연희, ▼e 저 |
700 | 1 | ▼a 여은혜, ▼e 저 |
700 | 1 | ▼a 장은주,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0942 2022 | Accession No. 1118722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할리우드 영화에 비해 친숙함이 떨어지는 영국 영화이기에 될 수 있으면 최근 작품과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작품을 포함시키려고 하였다. 따라서 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모두 1990년대 이후 작품이며 대부분은 2000년대 작품이다. 이렇게 선정한 이유는 독자들에게 더 친숙하며 관람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한 영화를 택하여 되새겨보며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아카데미상 수상 등 대중적이고 비평적인 평가를 받은 작품을 포함시켰다.
이 책은 현대영미드라마학회에서 『영화로 보는 미국 역사』의 후속으로 기획한 것이다. 불과 200년이 약간 넘는 미국 역사에 비해 영국 역사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긴 시간에 걸쳐 있으며 따라서 훨씬 더 방대한 콘텐츠를 지니고 있다. 그동안 영국은 사실주의적인 전통으로 할리우드의 관행을 거부하면서 사회 모순을 고발하는 영화들을 많이 제작하였다. 특히 노동자 계층의 삶에 대한 공감으로 켄 로치와 같은 감독의 영화들이 주목받으면서 진지한 주제들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할리우드의 도전이 거세지면서 할리우드와의 공동제작과 배급을 하거나, 미국 스튜디오의 자금 지원을 받거나, 미국 스튜디오가 현지에서 영국 스태프를 동원하여 촬영하는 등 할리우드와의 연계 혹은 모방으로 탈출구를 모색하고 있다.
할리우드 영화에 비해 친숙함이 떨어지는 영국 영화이기에 이번 기획에서는 될 수 있으면 최근 작품과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작품을 포함시키려고 하였다. 따라서 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모두 1990년대 이후 작품이며 대부분은 2000년대 작품이다. 이렇게 선정한 이유는 독자들에게 더 친숙하며 관람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한 영화를 택하여 되새겨보며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아카데미상 수상 등 대중적이고 비평적인 평가를 받은 작품을 포함시켰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머리말_4 PART 1. 고대: 역사와 신화의 공존 CHAPTER 1 〈몬티파이썬과 성배〉에 나타난 아서왕 전설의 해체|최석훈(서울시립대학교) 18 PART 2. 13~14세기: 적과의 동침, 영국과 스코틀랜드 CHAPTER 2 자유의 찬가 〈브레이브 하트〉: 역사와 영화 속의 역사|김춘희(서울대학교) 44 CHAPTER 3 〈아웃로 킹〉에 나타난 스코틀랜드 독립투쟁|홍은숙(동국대학교) 72 PART 3. 15~17세기: 르네상스의 천재들 CHAPTER 4 국교회와 수장령의 파고 속에서 양심을 택한 토마스 모어: 〈사계절의 사나이〉 |황지연(고려대학교) 96 CHAPTER 5 〈엘리자베스〉, 〈엘리자베스: 골든 에이지〉: 엘리자베스 1세의 등극과 스페인 무적함대와의 전투 |권혜경(동서대학교) 120 CHAPTER 6 연극과 사랑 그리고 그 생명력: 〈셰익스피어 인 러브〉|임도현(대진대학교) 143 CHAPTER 7 젠더 개념의 가변성 및 예술과 현실의 경계: 〈스테이지 뷰티〉|김은혜(이화여자대학교) 165 PART 4. 18~19세기: 여성이 목소리를 내다 CHAPTER 8 여성의 욕망과 왕실 정치: 〈더 페이버릿〉|이형식(건국대학교) 184 CHAPTER 9 〈에놀라 홈즈〉: 19세기 여성참정권 운동과 그 21세기적 재현|김다산(서울대학교) 206 CHAPTER 10 〈영 빅토리아〉: 최전성기 대영제국의 여왕|김정원(평택대학교) 227 CHAPTER 11 흑인 인권 회복과 사랑을 통한 정체성 찾기: 〈벨〉|안정희(가톨릭대학교) 249 PART 5. 20세기 초반: 전쟁과 변화의 이야기 CHAPTER 12 〈서프러제트〉와 영국의 여성참정권 운동|김소임(건국대학교) 272 CHAPTER 13 대전쟁과 키플링: 〈1917〉|정평심(대원대학교) 295 CHAPTER 14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독립혁명을 통한 사회주의적 공동체 건립 모색|기현주 319 CHAPTER 15 변화하는 사회와 자주적 여성상: 〈아가사〉|황승현(인천대학교) 343 CHAPTER 16 아일랜드 민족운동사의 미완의 정점: 〈마이클 콜린스〉|엄태용(강원대학교) 364 CHAPTER 17 아랍 반란, 대영제국의 야욕과 이중성: 〈아라비아의 로렌스〉|박희본(충북대학교) 391 CHAPTER 18 〈킹스 스피치〉: 말더듬이에서 국가 저항의 상징이 된 조지 6세|윤소영(건국대학교) 415 CHAPTER 19 사회적 편견과 억압에 대한 비판: 〈이미테이션 게임〉|최보람(한국예술종합학교) 439 CHAPTER 20 〈덩케르크〉와 제2차 세계대전 초기의 결정적 일주일|임승태(서울대학교) 461 PART 6. 20세기 후반: 평민과 리더의 이야기 CHAPTER 21 〈케스〉에 나타난 인클로저, 인간, 야생동물|주기화(건국대학교) 486 CHAPTER 22 〈빌리 엘리어트〉: 대처리즘과 남성(성)의 위기|최성희(이화여자대학교) 507 CHAPTER 23 영국 최초의 여성 총리 마가렛 대처: 〈철의 여인〉|전연희(성신여자대학교) 527 CHAPTER 24 왕관의 무게: 〈더 퀸〉|여은혜(서울여자대학교) 546 CHAPTER 25 21세기 영국 공공복지정책의 부조리에 대한 항거: 〈나, 다니엘 블레이크〉 |장은주(서울시립대학교) 569 찾아보기_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