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5655 | |
005 | 20221202143028 | |
007 | ta | |
008 | 221202s2022 ggk b 000c kor | |
020 | ▼a 9791168100404 ▼g 94710 | |
020 | 1 | ▼a 9791190727235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171606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495.75 ▼2 23 |
085 | ▼a 497.5 ▼2 DDCK | |
090 | ▼a 497.5 ▼b 2022z3 | |
100 | 1 | ▼a 김태우, ▼g 金泰佑, ▼d 1985- ▼0 AUTH(211009)144520 |
245 | 1 0 | ▼a {-ᄉᆞᆸ-}의 기능 변화 연구 / ▼d 김태우 저 |
246 | 3 | ▼a 삽의 기능 변화 연구 |
260 | ▼a 파주 : ▼b 태학사, ▼c 2022 | |
300 | ▼a 300 p. ; ▼c 24 cm | |
490 | 1 0 | ▼a 國語學叢書 ; ▼v 81 |
504 | ▼a 참고문헌: p. 281-300 | |
830 | 0 | ▼a 국어학총서 (태학사) ; ▼v 81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2022z3 | 등록번호 5110569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5 2022z3 | 등록번호 1513626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 2022z3 | 등록번호 5110569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497.5 2022z3 | 등록번호 1513626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선어말어미 {--}은 한국어 문법사에서 가장 역동적인 변화를 겪은 형태소 중의 하나이다. 어휘 형태소로 시작하여 시대에 따라 지시체 높임의 형태소, 청자 높임의 형태소 등으로 모습을 달리하며 현대어에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 책은 선어말어미 {--}이 통시적으로 경험한 기능 변화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올바른 연대기를 작성하고 변화의 동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책에서는 선어말어미 {--}의 기능 변화를 실증적인 측면과 역사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의 형태사를 재구성하였다. 문헌 자료의 면밀한 검토를 통해 선어말어미 {--}이 각 시기별로 어떤 기능을 하였는지를 밝히고, 각 시기 사이의 통시적 대응을 구축하는 한편, 이러한 통시적 변화를 이끌어낸 동인을 찾는 데 많은 노력을 들였다.
이 작업은 선어말어미 {--} 자체의 형태사를 구축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이를 통해 조금 더 거시적인 차원에서 언어 변화의 원리에 접근한다는 목표도 있다. 저자는 선어말어미 {--}의 기능 변화의 원리를 자료로부터 상향적 방식으로 도출하여 다른 기능 변화의 예와 비교‧대조함으로써 일반언어학적인 기여도 모색하고 있다.
선어말어미 {--}의 기능 변화 과정을 검토하여
올바른 연대기를 작성하고 변화의 동인을 규명하다
선어말어미 {--}은 한국어 문법사에서 가장 역동적인 변화를 겪은 형태소 중의 하나이다. 어휘 형태소로 시작하여 시대에 따라 지시체 높임의 형태소, 청자 높임의 형태소 등으로 모습을 달리하며 현대어에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 책은 선어말어미 {--}이 통시적으로 경험한 기능 변화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올바른 연대기를 작성하고 변화의 동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책에서는 선어말어미 {--}의 기능 변화를 실증적인 측면과 역사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의 형태사를 재구성하였다. 문헌 자료의 면밀한 검토를 통해 선어말어미 {--}이 각 시기별로 어떤 기능을 하였는지를 밝히고, 각 시기 사이의 통시적 대응을 구축하는 한편, 이러한 통시적 변화를 이끌어낸 동인을 찾는 데 많은 노력을 들였다. 이 작업은 선어말어미 {--} 자체의 형태사를 구축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이를 통해 조금 더 거시적인 차원에서 언어 변화의 원리에 접근한다는 목표도 있다. 저자는 선어말어미 {--}의 기능 변화의 원리를 자료로부터 상향적 방식으로 도출하여 다른 기능 변화의 예와 비교‧대조함으로써 일반언어학적인 기여도 모색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및 논의의 구성, 인용 자료 등을 밝히고, 제2장에서는 선어말어미 {--}의 문법화 과정으로부터 15세기까지의 기능 변화에 대해 논의한다. 제3장과 제4장은 이 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선어말어미 {--}의 변화의 시기와 변화의 원인에 대해 논의한다. 제5장에서는 선어말어미 {--}이 청자지향적 기능을 획득한 후, 청자 높임 체계를 재편하는 과정에 대해 논의하고, 결론인 제6장은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며 마무리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태우(지은이)
대구광역시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석사학위(2013)를, 동대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2018)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ERICA 산학협력단 및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연구원, 국민대학교‧서강대학교‧서울대학교‧인천대학교‧인하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현재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활용 어간과 어미의 어휘 표상」(2015), 「근대한국어 자료의 ‘者’ 구문에 대한 문법사적 고찰」(2019), 「‘-었는’의 발달에 대한 관견」(2019), 「명사 수식 구문의 통시적 변화」(2020), 「{--} 연구의 성과와 전망」(2021)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대상 1.3. 연구 방법 및 논의의 구성 1.4. 인용 자료 제2장 객체지향적 {-?-}의 발생과 발달 2.1. 도입 2.2. 객체지향적 {-?-}의 문법화 2.3. 객체지향적 {-?-}의 대비 대상의 변화 2.4. 객체 범위의 통시적 변화 2.5. 객체지향적 {-?-}과 청자 제3장 청자지향적 {-?-}의 출현과 문법적 특성 3.1. 도입 3.2. 16세기 청자지향적 {-?-}의 분포 3.3. 16세기 청자지향적 {-?-}의 기능 제4장 청자지향적 {-?-}의 발생 동기 4.1. 도입 4.2. {-?-}의 변화 동인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4.3. 표현론적 전용과 청자지향적 {-?-} 4.4. 기능 변화의 중요 기제로서의 표현론적 전용 제5장 청자지향적 {-?-}의 기능 변화와 청자 높임 체계의 재편 5.1. 도입 5.2. 청자지향적 {-?-}의 진술 태도 겸양화 5.3. 청자지향적 {-?-}의 형성에 따른 파생적 변화 5.4. 청자 높임 체계의 재편 제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