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5639 | |
005 | 20221206170457 | |
007 | ta | |
008 | 221202s2021 ulk b 001cu kor | |
020 | ▼a 9791167420510 ▼g 94810 | |
020 | 1 | ▼a 9791167420503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004467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895.71309 ▼2 23 |
085 | ▼a 897.1509 ▼2 DDCK | |
090 | ▼a 897.1509 ▼b 2021z2 ▼c 1 | |
100 | 1 | ▼a 오양호, ▼g 吳養鎬, ▼d 1942- ▼0 AUTH(211009)116826 |
245 | 1 0 | ▼a 1940년대 전반기 재만조선인 시 연구 / ▼d 오양호 |
246 | 0 | ▼i 한자표제: ▼a 1940年代 前半期 在滿朝鮮人 詩 硏究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21 | |
300 | ▼a 776 p. ; ▼c 23 cm | |
490 | 1 0 | ▼a 재만조선인 시 저작집 ; ▼v 1 |
504 | ▼a 참고문헌(p. 732-758)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6S1A6A4A01018063) | |
650 | 0 | ▼a Korean poetry ▼z China ▼z Manchuria ▼x History and criticism |
650 | 0 | ▼a Korean poetry ▼y 1919-1945 ▼x History and criticism |
650 | 0 | ▼a Poets, Korean ▼z China ▼z Manchuria |
830 | 0 | ▼a 재만조선인 시 저작집 ; ▼v 1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509 2021z2 1 | 등록번호 5110569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1509 2021z2 1 | 등록번호 1513626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509 2021z2 1 | 등록번호 5110569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897.1509 2021z2 1 | 등록번호 1513626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오양호(지은이)
경북 칠곡 출생. 경북고, 경북대 졸업. 영남대 문학박사(1981). 대구가톨릭대, 인천대교수 역임. 日․韓交流基金을 받아 京都大에서 외국인학자 초빙교수로 연구하고 강의했다. 大山文化財團의 지원으로 정지용시를 공역하여 鄭芝溶詩選(花神社.東京)을 출판하였고, 京都에서 정지용기념사업회를 결성하여 沃川文化院의 지원을 받아 鄭芝溶詩碑를 同志社大에 건립했다. 정년 뒤에는 北京의 中央民族大學, 長春의 吉林大學에서 재만 조선인문학을 강의했다. 1940년대 전반기 재만조선인 시 연구(재만조선인 시 저작집 1), 농민소설론, 한국문학과 간도, 일제강점기 만주조선인문학연구, 만주 이민문학연구, 한국근대수필의 행방 등의 연구서가 있다. <현대문학>을 통해 평론가로 데뷔하여 문학의 논리와 전환사회, 신세대문학과 소설의 현장, 낭만적 영혼의 귀환 등의 평론집과 한국현대소설의 서사담론, 한국현대소설과 인물형상 등의 저서를 출판했다. 아르코문학상, 정마문학연구상 등을 받았고, 수필집 백일홍이 있다. 현재 인천대학교 국문과 명예교수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시대 여건 1. 왜 재만조선인 시가 문제인가 2. 만주진출 시의 전개 양상 제2장 전반적 동향 1. 五族協和와 조선인 시 2. 삶의 양식과 작품 3. 시와 역사의 조우 4. 만주국의 조선 시인들 5. 시인들의 유파와 성향 제3장 초현실주의 시의 태동 1. 「시현실」 동인과 김기림 2. 「시현실」 동인의 실체 3. 수사형식의 변화 4. 가상공간의 현실 제4장 시인의 번민과 모색 1. 억압을 헤쳐 나온 사회주의자 - 이수형 2. 식민지 현실의 야유와 풍자 - 함형수 3. 역경에 길항한 실존의 화신 - 유치환 4. 대륙을 횡단한 조선시의 기수 - 김조규 제5장 주체의 발견 1. 익명의 한국인 얼 - 한 얼 生 2. 五族과 민족 혼 - 백석 3. 양면의 진실 - 박팔양 4. 사로잡힌 鮮系詩人-조학래 제6장 만주체험의 표리 1.주체소멸의 만주체험 - 서정주 2. 배반의 변호 -이학성·윤해영· 송지영 제7장 총괄 논의 참고 문헌 인명 찾아보기 작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