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5612 | |
005 | 20221202161318 | |
007 | ta | |
008 | 221202s2014 ggk 001c kor | |
020 | ▼a 9788930608114 ▼g 93160 | |
035 | ▼a (KERIS)BIB000013455912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lat |
082 | 0 4 | ▼a 270.2092 ▼2 23 |
085 | ▼a 270.2092 ▼2 DDCK | |
090 | ▼a 270.2092 ▼b 2014z1 | |
100 | 0 | ▼a Augustine, ▼c Saint, Bishop of Hippo ▼0 AUTH(211009)86921 |
245 | 1 0 | ▼a 고백록 / ▼d A. 아우구스티누스 지음 ; ▼e 강영계 옮김 |
246 | 1 9 | ▼a Confessiones |
260 | ▼a 파주 : ▼b 서광사, ▼c 2014 | |
300 | ▼a 571 p. ; ▼c 23 cm | |
600 | 0 0 | ▼a Augustine, ▼c Saint, Bishop of Hippo |
650 | 0 | ▼a Christian saints ▼z Algeria ▼z Hippo (Extinct city) ▼v Biography |
700 | 1 | ▼a 강영계, ▼g 康英啓, ▼d 1943-, ▼e 역 ▼0 AUTH(211009)123052 |
900 | 0 0 | ▼a 아우구스티누스,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270.2092 2014z1 | Accession No. 11187210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고백록』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참회의 자서전이다. 위대한 라틴 사상가이자 대표적인 교부철학자인 아우구스티누스가 43세에 쓰기 시작하여 4년여에 걸쳐서 저술한 책으로, 지금껏 철학자와 신학자는 물론 일반 독자들에게도 많은 감동을 주고 있다. 스피노자의 『에티카』를 번역한 바 있는 강영계 교수는 『고백록』라틴어 원전을 꼬박 1년 넘게 공들여 번역했다.
본문은 모두 1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백록』 1-9권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유년시절부터 주교가 될 때까지의 구체적인 현실생활과 하나님을 향한 영혼의 험난한 과정이 상세히 그려진다. 그가 가톨릭으로 개종할 때까지 온몸과 마음을 다하여 헌신한 어머니 모니카의 사랑의 힘, 그리고 그가 드디어 새로운 영적 생명을 찬양할 수 있었던 신앙의 힘 등이 『고백록』 1-9권을 통해서 너무도 생생하게 구체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고백록』 10-13권에서는 기억, 시간, 창조에 대한 철학적, 신학적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10권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주교가 된 후의 고백으로 1-9권을 종합하면서 ‘현재와 기억 그리고 욕망’에 관해 서술하고 있다. 11권에서는 성서의 창세기를 고찰하면서 시간을 철학적으로 사색하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과거, 현재, 미래에 관한 시간론은 현대철학에서도 중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시간의 철학이다. 12권과 13권에서는 창세기 1장 1-3절을 신학적, 철학적으로 해석한다.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의 새로운 한국어 번역본이 철학서적 전문출판 서광사에서 출간되었다. 『고백록』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참회의 자서전이다. 위대한 라틴 사상가이자 대표적인 교부철학자인 아우구스티누스가 43세에 쓰기 시작하여 4년여에 걸쳐서 저술한 책으로, 지금껏 철학자와 신학자는 물론 일반 독자들에게도 많은 감동을 주고 있다. 이번 번역은 건국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인 강영계 교수가 맡았다. 스피노자의 『에티카』를 번역한 바 있는 강영계 교수는 『고백록』(Confessiones) 라틴어 원전을 꼬박 1년 넘게 공들여 번역했다.
본문은 모두 1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백록』 1-9권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유년시절부터 주교가 될 때까지의 구체적인 현실생활과 하나님을 향한 영혼의 험난한 과정이 상세히 그려진다. 그가 가톨릭으로 개종할 때까지 온몸과 마음을 다하여 헌신한 어머니 모니카의 사랑의 힘, 그리고 그가 드디어 새로운 영적 생명을 찬양할 수 있었던 신앙의 힘 등이 『고백록』 1-9권을 통해서 너무도 생생하게 구체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고백록』 10-13권에서는 기억, 시간, 창조에 대한 철학적, 신학적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10권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주교가 된 후의 고백으로 1-9권을 종합하면서 ‘현재와 기억 그리고 욕망’에 관해 서술하고 있다. 11권에서는 성서의 창세기를 고찰하면서 시간을 철학적으로 사색하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과거, 현재, 미래에 관한 시간론은 현대철학에서도 중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시간의 철학이다. 12권과 13권에서는 창세기 1장 1-3절을 신학적, 철학적으로 해석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은 일상적 의미의 단순한 죄의 자백과 고백을 넘어선다. 불완전한 삶의 매 순간과 과정에 대한 유한한 한 인간인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정과 고백 그리고 더 나아가서 전지전능한 하나님에 대한 찬미와 감사 등을 다 포함한다”고 옮긴이 강영계 교수는 전한다. 『고백록』 라틴어 원전을 번역하면서 “종교철학적인 관점에서 좀 더 평이하고 현대적인 용어들을 선택해서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한 수고의 흔적이 돋보인다. 아울러 책의 말미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사상을 분석하는 이 분야의 석학다운 옮긴이의 유려한 해설도 함께 실려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아우구스티누스(지은이)
북아프리카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354년). 어머니 모니카는 독실한 그리스도인이었으나, ‘지혜에 대한 사랑’(철학)에 매료된(373년) 청년 아우구스티누스는 진리를 찾아 끊임없이 방황하는 삶을 살았다. 한때 마니교와 회의주의에 빠지기도 했던 그는 밀라노의 수사학 교수로 임명되면서 출셋길에 올랐다(384년). 밀라노에서 접한 신플라톤 철학, 암브로시우스 주교의 설교, 수도생활에 관한 증언 등을 통해 그리스도교에 눈을 뜨기 시작했으나, 머리로 이해한 그리스도교 진리를 아직 믿음으로 받아들이지 못한 채 엉거주춤 망설이며 살아가다가, 마침내 바오로 서간을 ‘집어서 읽으면서’(Tolle! Lege!) 회심하였고(386년), 행복한 눈물 속에 세례를 받았다(387년). 교수직과 재산을 미련 없이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 소박한 수행의 삶을 엮어 가던 그는 뜻하지 않게 히포 교구의 사제(391년)와 주교(395년)로 서품되었고, 40년 가까이 사목자요 수도승으로 하느님과 교회를 섬기다가 석 달 남짓한 투병 끝에 일흔여섯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430년). 『고백록』Confessiones을 비롯한 수많은 저술(책, 서간, 설교)과 극적이고 치열한 삶은 그리스도교 철학과 신학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교부들 가운데 우뚝 솟은 큰 산인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 철학 체계 속에 그리스도교 진리를 깔끔하게 정리해 냄으로써 ‘서양의 스승’이라고도 불린다.
강영계(옮긴이)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와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건국대학교 문과대학장, 부총장을 역임했다. 현재 건국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이며 중국 서북대학교 객좌교수, 한국니체학회 고문으로 있다. 일평생 대중들이 철학에 쉽게 다가서고, 어린이와 청소년 들이 자신을 사랑하고 조화롭게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다양한 집필 활동을 펼쳐왔다. 저서로는 『청소년을 위한 사랑 에세이』 『청소년을 위한 행복론 에세이』 『청소년을 위한 철학 에세이』 『청소년을 위한 가치관 에세이』 『청소년을 위한 정의론』 『철학으로 산다는 것』 『철학의 오솔길』 『강영계 교수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이야기』 『쓸모 있는 지식이 참된 지식』 『자연이라는 위대한 스승을 만나다』 『철학의 기초』 『죽음학 강의』 『행복학 강의』 등이 있다. 역서로는 스피노자의 『에티카』, 브루노의 『무한자와 우주의 세계』,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쾨르너의 『칸트의 비판철학』, 하버마스의 『인식과 관심』, 프로이트의 『문화에서의 불안』, 베르그송의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옮긴이의 말 5 제1권 어린 시절 19 제2권 열여섯 살 57 제3권 카르타고에서의 공부 77 제4권 9년간의 마니교도 생활 105 제5권 이탈리아의 로마로 가다 139 제6권 밀라노의 수사학 교수 171 제7권 신플라톤주의의 발견 205 제8권 기독교로의 개종 245 제9권 세례와 어머니의 죽음 281 제10권 현재와 기억 그리고 욕망 321 제11권 세계창조와 시간 397 제12권 하늘과 땅 443 제13권 창조의 빛 491 해설: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사상 549 찾아보기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