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4966 | |
005 | 20221124113242 | |
007 | ta | |
008 | 221123s2022 ggka 001c kor | |
020 | ▼a 9788925417318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561958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0.1 ▼2 23 |
085 | ▼a 370.1 ▼2 DDCK | |
090 | ▼a 370.1 ▼b 2022z11 | |
100 | 1 | ▼a Dewey, John, ▼d 1859-1952 ▼0 AUTH(211009)54439 |
245 | 1 0 | ▼a 학교와 사회 / ▼d John Dewey 저 ; ▼e 송도선 역 |
246 | 1 9 | ▼a The school and society ▼g (Rev. ed.) |
246 | 3 9 | ▼a School and society |
250 | ▼a 2판 |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22 | |
300 | ▼a 224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부록: 나의 교육 신조 | |
500 | ▼a 색인수록 | |
610 | 0 | ▼a University of Chicago. ▼b Elementary School |
650 | 0 | ▼a Community and school |
650 | 0 | ▼a Education |
700 | 1 | ▼a 송도선, ▼g 宋道善, ▼d 1962-, ▼e 역 ▼0 AUTH(211009)96596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0.1 2022z11 | Accession No. 11187180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3-03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듀이의 사상을 교육 현장에서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직접적이고 집약적으로 제시하는 책이다. 듀이의 교육이론에 부합된 다양한 형태의 교육개혁을 시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을 것이다. 원문과 대조하면서 전문을 여러 번 읽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상당 부분(약 10%)을 보완한 개정판이다.
듀이는 방대한 저작물을 내기도 하였거니와, 그의 교육이론은 워낙 복합적이어서 그 진의와 핵심을 파악하기 어렵다고들 한다. 이 책은 적은 분량이지만, 그의 사상을 교육 현장에서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직접적이고 집약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듀이의 교육사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여건 불비로 지속되어온 구시대적 교육에서 벗어나, 듀이의 교육이론에 부합된 다양한 형태의 교육개혁을 시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육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문과 대조하면서 전문을 여러 번 읽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상당 부분(약 10%)을 보완하여 2판으로 내게 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존 듀이(지은이)
저자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미국의 저명한 철학자, 교육학자이자 사회사상가로, 포스트모더니즘과 더불어 오늘날 더욱 각광받고 있다. 포스트-포스트모더니스트라 불리기도 하는 그는 여러 분야에 걸쳐 수많은 저작을 남겼는데, 철학분야의 주저로는 「경험과 자연」(1925) 「확실함의 열망」(1929) 「경험으로서의 예술」(1934) 등이 있고, 교육분야의 주저로는 「민주주의와 교육」(1916) 등이 있다.
송도선(옮긴이)
•경상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동 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 •KAIST 계약교수 •현, 경상대학교 교수 본 역서 관련 저서 및 논문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 (문음사) •John Dewey의 경험 개념 •존 듀이의 경험의 구조 •듀이의 교육목적으로서의 성장 개념 재고 •듀이의 습관 개념 •Dewey에 있어 경험과 교육의 관계 •듀이에 있어 체험과 이론 교육의 균형 문제 •듀이의 아동 중심 교육의 진의 •듀이의 통합 교육 사상 •듀이 철학에서 경험 연속성의 교육적 함의 •듀이의 성장이론에 담긴 평생교육 이념, 등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2판] 3 출판 서문 6 저자 서문 7 제2판 저자 서문 9 제1장 : 학교와 사회 진보 13 제2장 : 학교와 아동 생활 41 제3장 : 교육에서의 낭비 71 제4장 : 실험학교의 운영 실태 101 제5장 : 초등교육 심리학 119 제6장 : 프뢰벨의 교육원리 143 제7장 : 노작활동의 심리 163 제8장 : 주의력의 발달 173 제9장 : 초등학교 역사교육의 목적 187 찾아보기 199 부록: 나의 교육 신조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