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4699 | |
005 | 20221122140338 | |
007 | ta | |
008 | 221121s2022 ggk b 001a kor | |
020 | ▼a 9791165872441 ▼g 9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a chi |
082 | 0 4 | ▼a 895.71009 ▼2 23 |
085 | ▼a 897.1009 ▼2 DDCK | |
090 | ▼a 897.1009 ▼b 2022z7 | |
100 | 1 | ▼a 전재강, ▼g 全在康, ▼d 1957- ▼0 AUTH(211009)134205 |
245 | 1 0 | ▼a 한국 선시의 문예 미학 / ▼d 전재강 저 |
260 | ▼a 파주 : ▼b 보고사, ▼c 2022 | |
300 | ▼a 315 p.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286-295)과 색인수록 | |
546 | ▼a 一部 韓漢對譯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897.1009 2022z7 | Accession No. 11187160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전재강(지은이)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동양대학교 교수, 안동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안동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상촌신흠문학연구』, 『한문의 이해』, 『사대부시조작품론』, 『시조문학의 이념과 풍류』, 『선비문학과 소수서원』, 『남명과 한강의 만남』, 『불교가사의 구조적 성격』, 『불교가사의 유형적 존재양상』, 『한국시가의 유형적 성격과 작품 전개구도』, 『미래를 여는 글쓰기와 토론』, 『한국 선시의 문예 미학』 등이, 역주서로 『서장』, 『선요』, 『금강경삼가해』 등이, 논문으로 「어부가계 시조 연구」, 「신흠 시의 구조와 비평 연구」, 「불교 관련 시조의 사적 전개와 유형적 연구」, 「침굉 가사에 나타난 선의 성격과 진술 방식」 등 100여 편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부 백운 경한 선시의 문예 미학 제2부 태고 보우 선시의 문예 미학 제3부 나옹 혜근 선시의 문예 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