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4687 | |
005 | 20221122132617 | |
007 | ta | |
008 | 221121s2019 ggk b 000c kor | |
020 | ▼a 9791163951124 (v.2) ▼g 94710 | |
020 | 1 | ▼a 9791163951100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351867 | |
040 | ▼a 211021 ▼c 211021 ▼d 211009 | |
082 | 0 4 | ▼a 495.709 ▼2 23 |
085 | ▼a 497.09 ▼2 DDCK | |
090 | ▼a 497.09 ▼b 2019z1 | |
110 | ▼a 국어사대계간행위원회 | |
245 | 1 0 | ▼a 국어사 연구 / ▼d 국어사대계간행위원회 |
260 | ▼a 파주 : ▼b 태학사, ▼c 2019 | |
300 | ▼a 2책 ; ▼c 24 cm | |
490 | 1 0 | ▼a 국어사대계 ; ▼v 1-2 |
500 | ▼a 권별저자: v.2. 권재일, 서정목, 李南淳, 鄭在永, 徐泰龍, 이태영, 서종학, 심재기, 한재영, 김창섭, 송철의, 南星祐, 민현식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05 | 1 0 | ▼n 2. ▼t 문법·어휘 ▼g (517 p.) |
650 | 0 | ▼a Korean language ▼x History |
650 | 0 | ▼a Korean language ▼x Study and teaching ▼x History |
700 | 1 | ▼a 권재일, ▼g 權在一, ▼d 1953-, ▼e 저 ▼0 AUTH(211009)41372 |
700 | 1 | ▼a 서정목, ▼g 徐禎穆, ▼d 1948-, ▼e 저 ▼0 AUTH(211009)100387 |
700 | 1 | ▼a 이남순, ▼g 李南淳, ▼e 저 |
700 | 1 | ▼a 정재영, ▼g 鄭在永, ▼d 1957-, ▼e 저 ▼0 AUTH(211009)144369 |
700 | 1 | ▼a 서태용, ▼g 徐泰龍, ▼e 저 |
700 | 1 | ▼a 이태영, ▼g 李太永, ▼d 1956-, ▼e 저 ▼0 AUTH(211009)41857 |
700 | 1 | ▼a 서종학, ▼g 徐鍾學, ▼d 1951-, ▼e 저 ▼0 AUTH(211009)56774 |
700 | 1 | ▼a 심재기, ▼g 沈在箕, ▼d 1938-, ▼e 저 ▼0 AUTH(211009)41352 |
700 | 1 | ▼a 한재영, ▼g 韓在永, ▼d 1956-, ▼e 저 ▼0 AUTH(211009)79474 |
700 | 1 | ▼a 김창섭, ▼g 金倉燮, ▼d 1956-, ▼e 저 ▼0 AUTH(211009)94091 |
700 | 1 | ▼a 송철의, ▼g 宋喆儀, ▼d 1952-, ▼e 저 ▼0 AUTH(211009)121058 |
700 | 1 | ▼a 남성우, ▼g 南星祐, ▼d 1941-, ▼e 저 ▼0 AUTH(211009)107322 |
700 | 1 | ▼a 민현식, ▼g 閔賢植, ▼d 1954-, ▼e 저 ▼0 AUTH(211009)143342 |
830 | 0 | ▼a 국어사대계 ; ▼v 1-2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9 2019z1 2 | 등록번호 111871592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4-15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9 2019z1 2 | 등록번호 1118772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의 변화에 대한 이해는 인류가 쌓아온 문화와 문명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인류가 쌓아온 문화와 문명 그 자체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이해하기 위한 도구가 되기 때문에, 언어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필요한 것이다. 이번에 간행되는 <국어사 대계>는 우리 국어사의 연구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인간은 왜 언어의 역사를 공부해야 하는가
언어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인류가 문화와 문명을 발달시킨 요인은 ‘서서 걷기에 두 팔을 사용하여 도구를 만들고, 불을 가공하여 사용하여 무한한 에너지를 만들고 그것의 전환을 꾀하고, 언어(문자를 포함)를 사용하여 인간끼리 서로 소통하면서 지식을 교환하여 그것을 기반으로 새로운 지식을 재창조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의 축적과 공유, 전승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언어이다.
언어의 변화에 대한 이해는 인류가 쌓아온 문화와 문명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인류가 쌓아온 문화와 문명 그 자체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이해하기 위한 도구가 되기 때문에, 언어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필요한 것이다. 이번에 간행되는 <국어사 대계>는 우리 국어사의 연구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정보제공 :

목차
.문법의 변화 문법 변화 개관.권재일 경어법 선어말 어미의 변화.서정목 時相의 變化.李南淳 ‘-오’-의 변화.鄭在永 어말어미의 변화.徐泰龍 국어 격조사의 변화.이태영 후치사의 변화.서종학 .어휘의 변화 국어 어휘의 구조와 특징.심재기 어간교체형의 변화.한재영 합성법의 변화.김창섭 파생법의 변화.송철의 語彙 意味의 變化.南星祐 외래어의 차용과 변용.민현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