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4611 | |
005 | 20221121134955 | |
007 | ta | |
008 | 221121s2022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67423894 ▼g 94710 | |
020 | 1 | ▼a 9791167423870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534477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495.77 ▼2 23 |
085 | ▼a 497.702 ▼2 DDCK | |
090 | ▼a 497.702 ▼b 2022z1 | |
245 | 2 0 | ▼a (언해본 『삼강행실도』로 익히는) 중세국어 : ▼b v1.0 / ▼d 김유범 외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22 | |
300 | ▼a 444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공저자: 이규범, 김부연, 김미미, 오민석, 이유원, 이철기, 고경재, 성우철, 최혜빈, 정은진, 김진우, 최하늘, 서영채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유범, ▼g 金裕範, ▼d 1970-, ▼e 저 ▼0 AUTH(211009)126978 |
700 | 1 | ▼a 이규범, ▼g 李奎範, ▼d 1983-, ▼e 저 ▼0 AUTH(211009)147683 |
700 | 1 | ▼a 김부연, ▼g 金富娟, ▼d 1975-, ▼e 저 ▼0 AUTH(211009)147684 |
700 | 1 | ▼a 김미미, ▼e 저 ▼0 AUTH(211009)147685 |
700 | 1 | ▼a 오민석, ▼g 吳慜錫, ▼d 1984-, ▼e 저 ▼0 AUTH(211009)86896 |
700 | 1 | ▼a 이유원, ▼e 저 ▼0 AUTH(211009)147682 |
700 | 1 | ▼a 이철기, ▼g 李哲基, ▼d 1982-, ▼e 저 ▼0 AUTH(211009)147690 |
700 | 1 | ▼a 고경재, ▼g 高庚在, ▼d 1990-, ▼e 저 ▼0 AUTH(211009)15146 |
700 | 1 | ▼a 성우철, ▼g 成宇哲, ▼d 1989-, ▼e 저 ▼0 AUTH(211009)9213 |
700 | 1 | ▼a 최혜빈, ▼e 저 ▼0 AUTH(211009)147692 |
700 | 1 | ▼a 정은진, ▼g 鄭恩珍, ▼d 1996-, ▼e 저 ▼0 AUTH(211009)147686 |
700 | 1 | ▼a 김진우, ▼g 金鎭佑, ▼d 1993-, ▼e 저 ▼0 AUTH(211009)147689 |
700 | 1 | ▼a 최하늘, ▼e 저 ▼0 AUTH(211009)147687 |
700 | 1 | ▼a 서영채, ▼e 저 ▼0 AUTH(211009)147688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2 2022z1 | 등록번호 11187162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2-20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자료를 바탕으로 중세국어를 공부할 수 있는 새로운 중세국어 개론서이다. 중세국어의 표기, 음운, 문법, 어휘를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실제적인 언어 모습을 통해 익힐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중세국어의 다양한 내용들이 항목별로 정리되어 있어 필요한 내용을 쉽게 찾아 공부할 수 있다.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가장 오랜 모습을 지닌 중세국어는 그 이전과 이후의 우리말을 살피는 탐험에서 베이스캠프의 역할을 한다. 우리말의 변화 역사를 17세기 이후 자료를 통해서 살펴볼 때도, 15세기 이전 한자 차자표기 자료를 통해 추정해 볼 때도 그 출발은 항상 15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중세국어에서부터이다. 이것이 우리말의 역사에서 중세국어가 중요하게 생각 되는 이유이자 다른 시기의 국어와 구별되는 중세국어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언해본 『삼강행실도』가 내용적으로뿐만 아니라 언어적으로도 초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자료라는 사실은 이 자료를 통해 중세국어의 특징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해 보는 일이 가능함을 이야기한다. 중세국어의 특징에 대한 이해는 중세국어 문법서보다는 중세국어를 담고 있는 쉽고 흥미로운 자료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중세국어의 표기, 음운, 문법, 어휘와 관련해 각각 개별 항목들을 마련해 중세국어의 특징들을 설명한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유범(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이유원(지은이)
국립국어원 교육연수과 학예연구사
김진우(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학사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교육과 박사 과정
성우철(지은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정은진(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박사 수료생
김부연(지은이)
동덕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고경재(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
이규범(지은이)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
김미미(지은이)
국립한글박물관 학예연구사
오민석(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생
이철기(지은이)
현대고등학교 교사
최혜빈(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박사 수료생
최하늘(지은이)
상일여자고등학교 교사
서영채(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석사 과정생

목차
제1부 중세국어의 표기 1. 중세국어와 문자 훈민정음 2. 중세국어 표기법의 원칙 3. 중세국어 표기법의 실제 제2부 중세국어의 음운 1. 중세국어의 음운 체계 2. 중세국어의 음운 현상 3. 중세국어의 성조 제3부 중세국어의 문법 1. 중세국어 문법 개관 2. 중세국어의 단어와 단어 형성 3. 중세국어의 조사와 어미 4. 중세국어의 문장과 표현 제4부 중세국어의 어휘 1. 중세국어 어휘 개관 2. 중세국어 개별 어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