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4476 | |
005 | 20221121095856 | |
007 | ta | |
008 | 221118s2019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59053764 ▼g 03330 | |
035 | ▼a (KERIS)BIB000015098000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378.519 ▼2 23 |
085 | ▼a 378.53 ▼2 DDCK | |
090 | ▼a 378.53 ▼b 2019z11 | |
100 | 1 | ▼a 윤지관, ▼g 尹志寬, ▼d 1954- ▼0 AUTH(211009)8970 |
245 | 1 0 | ▼a 위기의 대학을 넘어서 : ▼b 지구시대의 대학연구 = ▼x Beyond the university in crisis : a study of the university in the age of globalization / ▼d 윤지관 지음 |
260 | ▼a 서울 : ▼b 소명출판, ▼c 2019 | |
300 | ▼a 384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0 | 0 | ▼a Education, Higher ▼z Korea (South) |
650 | 0 | ▼a Universities and colleges ▼z Korea (South) |
650 | 0 | ▼a Education, Higher ▼x Aims and objectives |
650 | 0 | ▼a Universities and colleges |
650 | 0 | ▼a Education and globalization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8.53 2019z11 | 등록번호 1118714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학 문제에 대한 깊은 분석과 각 시기별 대학 정책 시론을 담은 책이다. 한국대학학회 초대회장을 역임한 저자는 지난 10년간 한국 대학의 위기현장에서 대학문제를 분석하고 정책적 대안을 연구해왔다. 저자는 대학의 구조조정과 시장화, 그리고 일상화된 관료주의가 어떻게 대학의 본령을 허물고 있는지 면밀하게 진단하고 이 과정을 1990년대 이후 심화되어온 지구화의 흐름과 관련지어 분석하고 있다. 한국 대학의 문제를 위와 같이 접근하고 대안적 담론을 구축하고 있는 작업으로는 국내 학계 최초의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 정책의 과거와 현재를 짚다
인문학의 위기, 대학의 위기라는 말이 세간의 화두가 된 지도 오래이건만 아직 이렇다할 대책 없이 인문대생은 여전히 ‘문송’한 채 고개를 들 줄 모른다. 대학이 시장과 국가에 종속되어 ‘취업 시장’이 되어버렸다는 비판이 높아지는 지금,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책이 발간되었다.
한국대학학회 초대회장을 역임한 윤지관 교수의 ??위기의 대학을 넘어서-지구시대의 대학 연구??는 지난 10년간 한국 대학의 위기현장에서 대학문제를 분석하고 정책적 대안을 탐구해온 저자의 일관된 작업을 집대성한 역저라고 할 수 있다. 심도 깊은 분석과 함께 각 시기별 대학 정책 시론(詩論)을 담아 한국 대학정책의 역사와 현안, 문제를 짚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지구시대의 대학연구
저자는 대학의 구조조정과 시장화, 그리고 일상화된 관료주의가 어떻게 대학의 본령을 허물고 있는지 면밀하게 진단하고 이 과정을 1990년대 이후 심화되어온 지구화(globalization)의 흐름과 관련지어 분석하고자 한다. 그동안 국내의 대학 논의에서 대학 구조조정을 비판하고 대학의 몰락과 위기 현상을 고발하는 책들은 여럿 나왔지만, 한국 대학의 문제를 지구화, 분단체제, 자본주의 및 지배구조와 관련하여 학문적으로 접근하고 대안적 담론을 구축하고 있는 작업으로는 국내 학계 최초의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책머리에서 “영문학자인 저자가 최근 10년 가까이 본업인 영문학을 접어두다시피 하고 대학문제에 몰두”하게 된 연유가 “대학현장에서 피할 수 없었던 참여와 실천의 요구”에 있었다고 밝히고 있는 것처럼, 이 책은 신자유주의적 경쟁논리가 대학에 깊이 개입하면서 위기에 빠진 근래 한국 대학의 현장에서 실천하면서 이룩한 성과여서, 최근 대학의 위기를 진단하고 그 극복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좋은 참조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대학개혁과 체제 개편 변혁기 대학체제 개편과 국공립대통합네트워크 담론 비판 현단계 한국 대학의 위기양상과 대학체제 개편 논의 대학은 왜 바뀌지 않는가-분단체제적 인식과 대학개혁 지구적 자본주의와 대학개혁의 이념-하버드대를 중심으로 제2부 대학의 폐허와 근대대학의 이념 구조조정 속의 인문학과 대학-무엇을 할 것인가 대학의 폐허화, 이대로 방치할 것인가-대학구조조정의 정치학 대학에 대한 한 경제학자의 질문 비정규교수 문제와 대학의 이념 제3부 구조조정과 대학정책 방향 현 정부 대학정책, 제대로 가고 있는가-고등교육의 공공성과 경쟁력 사이에서 대학구조조정은 한국 대학을 쇄신할 기회다 대학정책:비판과 전망-2012∼2018 제4부 한국 사립대학의 역사와 현실 한국 사학, 왜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 사립대학의 공공성 회복을 위하여-2013년 이후 대학개혁의 이념 한국 사학의 형성과 지배구조-영남대는 누구의 것인가 민족?주체?교양-식민지 여성교육과 차미리사 한국 사립대, 현실과 해법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