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3336 | |
005 | 20230111162903 | |
007 | ta | |
008 | 221107s2022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85324647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6550003 | |
040 | ▼a 247023 ▼c 247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9/14 ▼2 23 |
085 | ▼a 616.8914 ▼2 DDCK | |
090 | ▼a 616.8914 ▼b 2022z7 | |
100 | 1 | ▼a Hofmann, Stefan G., ▼d 1964- ▼0 AUTH(211009)148997 |
245 | 1 0 | ▼a 과정기반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 ▼d 스테판 호프만, ▼e 스티븐 헤이즈, ▼e 데이비드 로샤이드 저 ; ▼e 곽욱환, ▼e 이강욱, ▼e 조철래 역 |
246 | 1 9 | ▼a Learning process-based therapy : ▼b a skills training manual for targeting the core processes of psychological change in clinical practice |
260 | ▼a 서울 : ▼b 삶과지식, ▼c 2022 | |
300 | ▼a 359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56-359 | |
650 | 0 | ▼a Psychotherapy |
650 | 0 | ▼a Evidence-based medicine |
650 | 0 | ▼a Medicine ▼x Decision making |
650 | 0 | ▼a Psychotherapist and patient |
700 | 1 | ▼a Hayes, Steven C., ▼d 1948-, ▼e 저 ▼0 AUTH(211009)91441 |
700 | 1 | ▼a Lorscheid, David N., ▼e 저 |
700 | 1 | ▼a 곽욱환, ▼e 역 ▼0 AUTH(211009)100989 |
700 | 1 | ▼a 이강욱, ▼g 李康旭, ▼d 1965-, ▼e 역 ▼0 AUTH(211009)28183 |
700 | 1 | ▼a 조철래, ▼e 역 ▼0 AUTH(211009)11062 |
900 | 1 0 | ▼a 호프만, 스테판, ▼e 저 |
900 | 1 0 | ▼a 헤이즈, 스티븐, ▼e 저 |
900 | 1 0 | ▼a 로샤이드, 데이비드,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 2022z7 | 등록번호 1118710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 2022z7 | 등록번호 1118740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작 <과정기반 인지행동치료>의 후속판으로서 과정기반치료의 실제적인 적용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 년간 정신 및 행동 건강 종사자들은 자신들의 치료가 ‘근거에 기반’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근거기반의 치료라고 인정된 치료법을 익히느라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우리가 쏟은 노력에 비해 보답이 적었다. 왜 그럴까?
그것은 우리가 덜 노력하거나 자질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접근법에 문제가 있었다. 그동안 근거기반 개입은 정신과 증후군을 표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프로토콜을 전달하는 것으로 정의해왔다. 하지만 우리가 표적으로 삼을 것이 정신과 증후군에 국한되지도 않고, 프로토콜은 이론적으로 상이한 기법들이 중첩되면서 혼란스럽기만 하다.
이제 근본적으로 다른 무엇인가가 필요한 순간이다. 이 책에서는 PBT의 이론적 토대에 대한 포괄적인 로드맵과 내담자의 고유한 요구를 해결하는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여 보다 나은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과정기반치료는 무수히 많은 심리치료법에 새로운 치료법 하나를 더하는 것이 아니다. 기존의 치료법에 있는 핵심 과정과 기법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하나의 틀이다.
알다시피 주 역자 중 한 사람인 스테판 호프만은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의 주역이었고, 스티븐 헤이즈는 3동향 인지행동치료의 창시자이다.
이제 이 두 사람이 만나서 단지 인지행동치료 분야만이 아니라 여타의 정신심리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원리를 만들고자 한다.
아직까지는 보충할 내용이 많겠지만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 많은 영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전 책의 역자들이 번역을 해서 용어나 표현에 있어 통일성이 있는 것 또한 장점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스티븐 C. 헤이즈(지은이)
리노에 있는 네바다 대학교 심리학과의 네바다 재단 교수이다. 행동인지치료학회Association for Behavioral and Cognitive Therapies 및 맥락행동과학학회Association for Contextual Behavioral Science를 비롯한 여러 과학 및 전문 협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그의 업적으로는 행동분석 진흥 협회Society for the Advancement of Behavioral Analysis에서 응용과학에 미친 공로상 The Impact for Science on Application을 받았고, 행동인지치료학회의 평생 성취상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비롯한 여러 상을 수상하였다. 41권의 책과 575편의 과학 논문을 집필한 헤이즈 박사는 인간의 언어와 인지에 대해 이해하고, 인간의 고통 경감 및 인류의 복지 증진에 이러한 이해를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의 저서로는 <수용전념치료, 제2판: 마음챙김 변화의 과정과 실천>, <마음챙김과 수용: 인지 행동 전통의 확장>이 있다.
스테판 호프만(지은이)
심리학 박사이며 보스턴대학 심리학과 및 뇌과학 임상 프로그램 교수로, 심리치료 및 감정연구 실험실(PERL) 책임자로 일하고 있다. 그의 연구는 신경과학 발견을 임상 적용, 감정 및 정신 병리의 문화적 표현으로 해석하면서 치료 변화의 기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행동 및 인지치료협회(ABCT)와 국제인지심리치료협회 전 회장이다. 또한 인지치료와 연구 편집장이고 임상심리과학 부편집장이다. 현대 인지행동치료 입문과 심리치료와 감정을 포함한 많은 책을 저술하였다.
데이비드 로샤이드(지은이)
심리코치이며 과학 저술가이다. 네덜란드 래드바운드대학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낮은 자존감과 사회 불안증이 있는 사람들을 돕고 있다.
곽욱환(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맥락행동과학연구회 회원, 現 마음과마음 정신건강의학과
조철래(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임상인지행동연구회 총무이사 •심리학은 과학이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뇌과학과 3동향 행동치료에 관심이 많다.
이강욱(옮긴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 강원대학교병원에서 재직 중이다. 4.16 세월호 참사이후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포함한 재난정신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저서로 『재난과 정신건강』, 『명상과 의학』, 역서로 『마음챙김 명상지도의 실제』, 『자비과학 핸드북』 등이 있으며 삶을 위한 마음챙김 인지치료(MBCT-L) 국제인증 지도자 과정을 수료하였다. 대한정서인지행동의학회 이사장과 강원특별자치도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는 대한명상의학회 부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목차
역자서문 6 프롤로그 10 1장 임상 과학 및 실천을 다시 생각하다 13 2장 네트워크 접근 36 3장 확장진화메타모델 59 4장 인지, 정서, 주의 차원 84 5장 자기, 동기, 행동 차원 121 6장 생물생리 및 사회문화 수준 155 7장 맥락 감수성과 보유 189 8장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기 218 9장 체계 무너뜨리기 244 10장 치료 요체 267 11장 치료 전개 과정 298 12장 문제에서 번영으로, 이익의 유지 및 확대 324 13장 임상에서 과정기반치료 도구를 활용하기 340 에필로그 353 참고문헌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