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 현대사 연구의 쟁점

한국 현대사 연구의 쟁점 (Loan 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용욱, 鄭容郁, 1960-, 저 홍석률, 洪錫律, 1965-, 저 이완범, 李完範, 1961-, 저 김원, 金元, 1970-, 저 전재호, 全宰鎬, 1963-, 저 김영미, 金榮美, 1967-, 저 염복규, 廉馥圭, 1971-, 저 장미현, 張美賢, 1978-, 저 김아람, 1984-, 저 이정은, 李定垠, 저 오제연, 吳瑅淵, 1973-, 저 소현숙, 蘇賢淑, 1973-, 저 송은영, 宋恩榮, 저
Title Statement
한국 현대사 연구의 쟁점 / 정용욱 [외]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2  
Physical Medium
657 p. ; 23 cm
ISBN
9791158666866
General Note
공저자: 홍석률, 이완범, 김원, 전재호, 김영미, 염복규, 장미현, 김아람, 이정은, 오제연, 소현숙, 송은영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2734
005 20230615101225
007 ta
008 221031s2022 ggk b 000c kor
020 ▼a 9791158666866 ▼g 93910
035 ▼a (KERIS)BIB000016544419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82 0 4 ▼a 951.904 ▼2 23
085 ▼a 953.07 ▼2 DDCK
090 ▼a 953.07 ▼b 2022z1
245 0 0 ▼a 한국 현대사 연구의 쟁점 / ▼d 정용욱 [외]지음
260 ▼a 성남 : ▼b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c 2022
300 ▼a 657 p. ; ▼c 23 cm
500 ▼a 공저자: 홍석률, 이완범, 김원, 전재호, 김영미, 염복규, 장미현, 김아람, 이정은, 오제연, 소현숙, 송은영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이 책은 2020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집현전사업으로 수행된 연구임
700 1 ▼a 정용욱, ▼g 鄭容郁, ▼d 1960-, ▼e▼0 AUTH(211009)100147
700 1 ▼a 홍석률, ▼g 洪錫律, ▼d 1965-, ▼e▼0 AUTH(211009)115383
700 1 ▼a 이완범, ▼g 李完範, ▼d 1961-, ▼e▼0 AUTH(211009)67936
700 1 ▼a 김원, ▼g 金元, ▼d 1970-, ▼e▼0 AUTH(211009)85086
700 1 ▼a 전재호, ▼g 全宰鎬, ▼d 1963-, ▼e▼0 AUTH(211009)36116
700 1 ▼a 김영미, ▼g 金榮美, ▼d 1967-, ▼e▼0 AUTH(211009)136888
700 1 ▼a 염복규, ▼g 廉馥圭, ▼d 1971-, ▼e▼0 AUTH(211009)10536
700 1 ▼a 장미현, ▼g 張美賢, ▼d 1978-, ▼e
700 1 ▼a 김아람, ▼d 1984-, ▼e▼0 AUTH(211009)132019
700 1 ▼a 이정은, ▼g 李定垠, ▼e
700 1 ▼a 오제연, ▼g 吳瑅淵, ▼d 1973-, ▼e▼0 AUTH(211009)114593
700 1 ▼a 소현숙, ▼g 蘇賢淑, ▼d 1973-, ▼e▼0 AUTH(211009)57177
700 1 ▼a 송은영, ▼g 宋恩榮,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7 2022z1 Accession No. 11187071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1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00년대 이후 크게 확대된 한국 현대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되짚어보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한 책이다. 2000년대 이후 크게 확대된 한국 현대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해 제시한다. 2000년대 이후 확장된 연구의 외연 속에서 제기될 수 있는 현대사 연구의 경험적, 인식론적 쟁점을 최대한 포괄하고자 한 본격적인 시도이다.

□ 한국 현대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고찰하며, 거시적인 역사상 제시
이 책은 2000년대 이후 크게 확대된 한국 현대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되짚어보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한 것이다. 한국 현대사는 그동안 동아시아의 역사 갈등, 역사교과서 논란, 과거사 청산 문제 등 역사 인식과 해석을 둘러싼 각종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이러한 해석을 둘러싼 갈등은 역사 인식 차원의 정치적 대립을 넘어 일선 교육현장이나 일상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칠 만큼 그 갈등 양상이 증폭되어 왔다. 이처럼 정치적 논란이 분분한 가운데서도 한국 현대사에 관한 학계의 연구는 꾸준히 성장해왔다. 국가주의나 반공주의 등 연구의 장벽이 점차 제거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 학계에서의 연구가 본격화되어, 해방과 분단, 한국전쟁과 냉전으로 이어진 한국 현대사의 전개 과정과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정치사·외교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후 이러한 연구성과들을 바탕으로 경제사, 사회사, 문화사 영역까지 포괄하는 다양한 연구성과가 제출되면서 연구주제나 방법, 자료 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추구되고 있다. 이를 통해 2000년대 이후 한국 현대사 연구는 양적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그러나 연구의 양적 성장이 질적 성장으로 이어졌다고만 볼 수는 없다. 역사학·정치학·외교학·문학·사회학·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분과에서 각각의 학문분과의 내적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분산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분과학문을 넘어선 연구자 간의 긴밀한 상호소통이 부족했고, 문제의식의 공유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따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의 유기적 연관성을 고려하면서 거시적인 차원에서 한국 현대사의 전체적인 역사상을 구축하고 한국 현대사의 특질을 해명하려는 노력은 미흡했다. 거시적인 역사상을 구축하려는 노력이 방기되는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대두하는 역사 해석 관련 논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노력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 결과 증폭되어가는 국내외적 역사 갈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도 노출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고려할 때 이제까지의 파편화된 연구 흐름을 극복하고 연구의 양적 성장이 질적 성장으로 이어지며, 교육 현장과 대중들의 인식 수준에서 가중되고 있는 혼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거시적이고 체계적인 틀로 한국 현대사의 전개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기존의 연구현황을 제대로 이해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숙고해보는 노력일 것이다.

□ 확장된 한국 현대사의 다양한 주제 연구에 입문할 수 있는 지침서 역할
이 책은 2000년대 이후 크게 확대된 한국 현대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해 제시한다. 먼저 크게 1) 냉전, 분단, 전쟁 그리고 국가/민족, 2) 공간 이동과 주체의 변용, 3) 권위주의, 개발주의 그리고 일상과 문화라는 3개의 주제영역으로 나누었다. 이 주제는 다시 분단과 냉전, 민족주의 이념의 변화, 농촌과 도시, 국경을 넘는 이주, 노동의 변화, 가족과 일상생활의 변화, 소비 및 대중문화의 변화 등으로 세분화하여 기존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면서 새로운 연구 경향을 발굴·소개하는 동시에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먼저, 분단, 냉전, 전쟁 등 식민지배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거시적이고 구조적인 변화에서 1961년 5.16군사쿠데타 이후 시작된 국가 주도 자본주의화를 둘러싼 정책 변화와 권위주의 통치를 살폈다. 이어 농촌 중심에서 도시를 기반으로 한 사회관계 변화와 주체의 변화 그리고 이런 공간적 이동 속에서 형성된 시민사회 민주화운동으로 범위를 넓혔다. 세부 주제로서 전통적 가족관계/형태의 변화, 1970~1980년대 대중사회, 대중문화가 본격화되며 눈에 띄기 시작한 새로운 대중의 등장, 일상의 구성 그리고 소비문화의 대두 등 2000년대 이전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다양한 층위를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이는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사의 영역이 정치사, 운동사 중심에서 사회사, 사상사, 노동사, 문화사 등으로 그 폭이 확장되었지만, 새로운 흐름에 대한 평가는 종합적으로 이뤄지지 못했다는 단점을 극복한 것이기도 하다. 이 책은 2000년대 이후 확장된 연구의 외연 속에서 제기될 수 있는 현대사 연구의 경험적, 인식론적 쟁점을 최대한 포괄하고자 한 본격적인 시도라는 점에서 한국 현대사의 전체 모습에 접근할 수 있는 입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전재호(지은이)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의 교수이다. 1998년 서강대학교에서 “박정희 체제의 민족주의 연구: 담론과 정책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는 “식민지 건축 유산에 대한 인식변화와 반일 민족주의: 일제 잔재에서 근대문화유산으로”(2020)가 있고, 저서로는 『민족주의들: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와 특성』(2018), 『박정희 대 박정희: 개혁과 반동 사이 박정희 제자리 찾아주기』(2018), 『키워드 한국 정치사』(2018) 등이 있다.

이완범(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사회과학부 교수, 정치외교학 전공. 광복 이후 한국현대사의 흐름을 성공이나 실패로 보는 양극단의 시각을 지양하며 ‘성찰적 자부 사관’의 관점을 표방해온 저자는 100여 편이 넘는 논저를 저술하였으며, 대표 논저로는『카터시대의 남북한』(2017), 『한반도 분할의 역사』(2013), 『38선 획정의 진실』(2001), 『한국전쟁: 국제전적 조망』(2000), 『박정희와 한강의 기적: 1차 5개년계획과 무역입국』(2006), 『한국 해방 3년사: 1945~1948』(2007), 『해방전후사의 인식』 3·4·6(공저, 1987~1989) 등이 있다.

홍석률(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이승만 정부기 및 4월혁명기 통일논의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매릴랜드 학과 우드로 윌슨 센터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2003년 3월 이후 성신여대 사학과에서 한반도 냉전사, 한미관계사 등을 주로 연구하며, 한국근현대사를 강의하고 있다. 성신여대 인문과학연구소 소장, 역사비평 부주간, 남북역사학자협의회 기획총괄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냉전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 <통일문제와 정치사회적 갈등:1953-1961> (2001) <분단의 히스테리:공개문서로 보는 미중관계와 한반도> (2012) <민주주의 잔혹사> (2017)

정용욱(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고, 2003년부터 서울대 인문대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료의 확대를 통한 역사 해석의 다양성 확보, 역사 서술 주체의 확장과 역사학의 대중화에 관심이 많다.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운영위원장을 역임했다.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 정책』, 『혁명과 민주주의』(공저), 『강압의 과학』 등의 저·역서가 있다. 2021년 현재 6·25 전쟁기 심리전과 냉전 문화, 에고도큐먼트에 나타난 민중의 해방과 전쟁 경험, 한국 현대 민족주의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염복규(지은이)

1971년 ‘서울 동북 지역’에서 태어나 ‘서울 서북 지역’에서 주로 성장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와 같은 대학원 석, 박사 과정을 마쳤다. 가톨릭대, 동국대, 명지대, 서울대, 이화여대, 한신대 등에서 한국사를 강의했으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를 거쳐 2016년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도시사학회 편집위원장, 계간 《역사비평》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서울은 어떻게 계획되었는가》(2005, 살림), 《식민지 공공성, 실체와 은유의 거리》(2010, 책과함께, 공저), 《도시화와 사회갈등의 역사》(2011, 심산, 공저),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근대도시 형성》(2013, 심산, 공저), 《식민지라는 물음》(2014, 소명출판, 공저), 《서울의 인문학》(2016, 창비, 공저) 등이 있으며, 한국 근현대 도시 변화와 지역사회 동향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김원(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과학부 교수. 서강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구술사학회 편집위원, 『실천문학』 편집위원 등을 맡았으며, 주요 저서로는 『여공 1970, 그녀들의 반역사』(2006),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2011), 『잊혀진 것들에 대한 기억』(1999), 『87년 6월 항쟁』(2009) 등이 있다. 최근 관심 분야는 냉전 동아시아에서 서발턴의 기억에 관한 것이다.

소현숙(지은이)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분야는 한국근현대 가족사, 젠더사이며, 『이혼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여성들』(2017, 용재신진학술상, 이화-현우 여성과 평화 학술상 수상), 『한국과 타이완에서 본 식민주의(공저)』(2018) 등의 저서가 있다. 식민지시기 가족사, 젠더사 연구를 해왔고, 최근에는 장애와 마이너리티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20세기 한국사를 여성, 장애 등 마이너리티의 시각에서 새롭게 거슬러 읽어냄으로써, 이름 없는 사람들의 정당한 몫을 역사 속에 새롭게 새겨 넣는 일에 관심이 있다.

김영미(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지은 책으로 《그들의 새마을운동: 한 마을과 한 농촌운동가를 통해 본 민중들의 새마을운동 이야기》,《동원과 저항-해방 전후 서울의 주민사회사》가 있으며, 만든 책으로 《한국생활사박물관》(전 12권)이 있습니다.

오제연(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앞으로 격동의 한국근현대사를 살아 온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를 정리해 정확하면서도 쉽게 써 보려고 합니다.

송은영(지은이)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전문연구원. 서울이 현대 도시화되는 과정과 문학적 재현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며 현대 서울의 사회사, 문화사, 일상사를 재구성하는 데 관심이 있으며, 앞으로 서울과 동아시아 대도시의 현대화를 비교할 계획이다. 지은 책으로 《서울 탄생기》, 《쉽게 읽는 서울사 2》(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사이키델릭 문학, 그리고 변방 히피들의 뒤틀린 성〉, 〈글쓰는 청년 전태일〉, 〈중산층 되기, 부동산 투기, 사회적 공간의 위계 만들기〉 등이 있다.

김아람(지은이)

한국 현대 사회사를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한국의 난민 발생과 농촌정착사업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글로컬융합인문학·사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권력과 사회, 주체의 삶과 의지를 중층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또 지역 현장과 당사자들의 경험을 연구와 교육으로 풀어낼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민주주의 100년, 가치와 문화』, 『한국 현대사 연구의 쟁점』, 『6·25전쟁과 1950년대 서울의 사회변동』, 『댐과 춘천』, 『1980년 사북항쟁과 일상의 사회사』(이상 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1960~70년대 한센인 정착촌의 형성과 ‘자활’의 한계」, 「1960~80년대 사회정화와 여성 수용」, 「‘세월호 유가족’이 된 희생자 부모의 활동과 그 의미」 등이 있다.

장미현(지은이)

한국 현대사 전공,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이정은(지은이)

한국 현대사 전공, 순천대학교 사학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부 냉전, 분단, 전쟁 그리고 국가와 민족
ㆍ 한국의 냉전사 연구동향과 과제 / 정용욱
ㆍ 한반도 냉전·분단의 장기 지속과 연구동향 / 홍석률
ㆍ 21세기 6·25전쟁 연구동향과 과제 / 이완범
ㆍ 냉전 시기 월경하는 마이너리티와 역사를 둘러싼 연구동향과 쟁점 / 김원
ㆍ 한국 민족주의에 대한 인식 변화와 연구 / 전재호

2부 공간 이동과 주체의 변용
ㆍ 한국 농촌사회 연구동향과 과제 / 김영미
ㆍ 한국 현대 도시사 연구동향과 전망 / 염복규
ㆍ 한국 현대 노동사 연구동향과 과제 / 장미현
ㆍ 한국 현대 국내 이주사 연구동향과 과제 / 김아람

3부 권위주의, 개발주의 그리고 일상과 문화
ㆍ해방 후~1970년대 한국 현대 경제사 연구동향과 과제 / 이정은
ㆍ 권위주의 통치/민주화운동 연구동향과 과제 / 오제연
ㆍ 한국 현대 가족사 연구동향과 과제 / 소현숙
ㆍ 한국 현대사의 소비 연구현황과 과제 / 송은영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