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예멘 난민 제주 : 나의 난민 일기

예멘 난민 제주 : 나의 난민 일기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Alghaodari Mohammed Salem Duhaish, 1985- 김준표, 金俊杓, 1966-, 저 김진선, 金秦仙, 1979-, 저
서명 / 저자사항
예멘 난민 제주 : 나의 난민 일기 = Yemen, refugee, Jeju : my refugee diary / 모하메드, 김준표, 김진선
발행사항
제주 :   온샘,   2022  
형태사항
200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탐라문화학술총서 ;30
ISBN
9791192062136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99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31276
005 20221024145741
007 ta
008 221024s2022 jjka b 000a kor
020 ▼a 9791192062136 ▼g 938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325.2109533 ▼2 23
085 ▼a 325.21095533 ▼2 DDCK
090 ▼a 325.21095533 ▼b 2022
100 0 ▼a Alghaodari Mohammed Salem Duhaish, ▼d 1985-
245 1 0 ▼a 예멘 난민 제주 : ▼b 나의 난민 일기 = ▼x Yemen, refugee, Jeju : my refugee diary / ▼d 모하메드, ▼e 김준표, ▼e 김진선
260 ▼a 제주 : ▼b 온샘, ▼c 2022
300 ▼a 200 p. : ▼b 삽화 ; ▼c 23 cm
490 1 0 ▼a 탐라문화학술총서 ; ▼v 30
490 1 0 ▼a 쿰다난민기획총서 ; ▼v 03
504 ▼a 참고문헌: p. 199
546 ▼a 一部 韓英對譯
700 1 ▼a 김준표, ▼g 金俊杓, ▼d 1966-, ▼e▼0 AUTH(211009)139326
700 1 ▼a 김진선, ▼g 金秦仙, ▼d 1979-, ▼e▼0 AUTH(211009)27495
830 0 ▼a 탐라문화학술총서 ; ▼v 30
830 0 ▼a 쿰다난민기획총서 ; ▼v 03
900 0 0 ▼a 모하메드,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21095533 2022 등록번호 1118704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탐라문화학술총서 30권. 예멘 난민의 자기 기록이다. 난민이 직접 쓴 기록으로는 한국사회에서 난민법 제정 이후 거의 최초일 것이다. 이 책이 2018년도 여름 제주국제공항으로 입국한 예멘 난민들에 대하여, 세계 각지에서 대한민국으로 들어와 난민신청을 한 난민들에 대하여 이해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예멘 전쟁의 시발점은 예멘공군기지 공습이었다. 폭격 당시에 예멘 사람 모하메드는 인접한 예멘국제공항에서 야간근무중이었다. 폭격의 현장에서 벗어나 전쟁을 피해 산지 마을에서 지내다가 결국 예멘을 탈출하여 말레이시아를 거쳐 제주로 입국하였다. 2022년 현재 인도적 체류 허가를 받고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에서 제주 사람, 남원 사람으로 살고 있다.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모하메드가 영어로 써내려간 '나의 난민 일기'가 왼쪽 페이지에 배치되고, 김준표가 3인칭 시점으로 옮겨 쓴 '모하메드의 난민일기'가 오른쪽 페이지에 대칭되어 있다. 뒷부분에 덧붙인 김진선의 '예멘의 역사와 난민'은 예멘 난민 발생 상황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책은 예멘 난민의 자기 기록이다. 난민이 직접 쓴 기록으로는 한국사회에서 난민법 제정 이후 거의 최초일 것이다. 이 책이 2018년도 여름 제주국제공항으로 입국한 예멘 난민들에 대하여, 세계 각지에서 대한민국으로 들어와 난민신청을 한 난민들에 대하여 이해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예멘 전쟁의 시발점은 예멘공군기지 공습이었다. 폭격 당시에 예멘 사람 모하메드는 인접한 예멘국제공항에서 야간근무중이었다. 폭격의 현장에서 벗어나 전쟁을 피해 산지 마을에서 지내다가 결국 예멘을 탈출하여 말레이시아를 거쳐 제주로 입국하였다. 현재 인도적 체류 허가를 받고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에서 제주 사람, 남원 사람으로 살고 있다.

이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모하메드가 영어로 써내려간 “나의 난민 일기”가 왼쪽 페이지에 배치되고, 김준표가 3인칭 시점으로 옮겨 쓴 “모하메드의 난민일기”가 오른쪽 페이지에 대칭되어 있다. 뒷부분에 덧붙인 김진선의 “예멘의 역사와 난민”은 예멘 난민 발생 상황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진선(지은이)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학술연구교수

김준표(지은이)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모하메드(지은이)

예멘 난민,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 사람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 4

My Refugee Diary ▣ Mohammed
Kingdom Saudi Arabia 14
Yemen 18
Arab Spring, Revolutions 26
The beginning of the war on Yemen 32
We became like football on the field 38
My escape from Yemen 44
My life in the Sultanate of Oman 58
My life in malaysia 62
Grace in Ramadan 80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88
The Gift from God 96
Foward the Beautiful Island, Jeju 108
Entering Jeju Island, South Korea 120
Angels and New Family in Jeju 134
Bigin to Work, not illegally 146
Life in Jeju 154
Four Years and Three Months 168

모하메드의 난민 일기 ▣ 김준표
사우디 아라비아 왕국 15
예멘 19
아랍의 봄, 혁명 27
예멘 전쟁의 시작 33
경기장의 축구공 같은 신세 39
모하메드의 예멘 탈출 45
오만 술탄국에서 59
말레이시아에서 63
라마단의 은총 81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의 피난자 카드 89
신의 선물 97
아름다운 섬 제주를 향하여 109
대한민국 제주도 입국 121
천사들의 방문과 제주의 새 가족 135
한국 정부의 노동 허용 147
제주의 생활 155
4년 3개월 169

예멘의 역사와 난민 ▣ 김진선
부족 체제와 종파 갈등 181
남북예멘의 공화국 성립 182
남북전쟁과 통일협상 186
예멘통일과 내전, 난민 190
주석 196
참고문헌 199

필자소개 20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