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30238 | |
005 | 20221012103124 | |
007 | ta | |
008 | 221011s2022 ulk b 001a kor | |
020 | ▼a 9791192647029 ▼g 04160 | |
020 | 1 | ▼a 9788995646205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35.43/092 ▼2 23 |
085 | ▼a 335.43092 ▼2 DDCK | |
090 | ▼a 335.43092 ▼b 2022 | |
100 | 1 | ▼a Jones, Steve, ▼d 1967- ▼0 AUTH(211009)20602 |
245 | 1 0 | ▼a 안토니오 그람시 비범한 헤게모니 / ▼d 스티브 존스 지음 ; ▼e 최영석 옮김 |
246 | 1 9 | ▼a Antonio Gramsci |
260 | ▼a 서울 : ▼b 앨피, ▼c 2022 | |
300 | ▼a 263 p. ; ▼c 22 cm | |
490 | 1 0 | ▼a LP routledge critical thinkers ; ▼v 26 |
504 | ▼a 참고문헌(p. 248-255)과 색인수록 | |
600 | 1 0 | ▼a Gramsci, Antonio, ▼d 1891-1937 |
650 | 0 | ▼a Communists ▼z Italy ▼v Biography |
700 | 1 | ▼a 최영석, ▼e 역 ▼0 AUTH(211009)21550 |
830 | 0 | ▼a LP routledge critical thinkers ; ▼v 26 |
900 | 1 0 | ▼a 존스, 스티브,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43092 2022 | 등록번호 11187000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2-1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오늘날 흔히 ‘권력’의 동의어로 사용되는 ‘헤게모니’는 어쩌다 우리의 언어생활 깊숙이 들어오게 되었을까? 20세기 초 이탈리아 사상가 안토니오 그람시의 영향이 절대적이다. 1921년 이탈리아공산당을 창당하고, 무솔리니 파시스트 정권에서 투옥되어 ‘옥중수고’라는 책으로 남은 이 작은 거인의 행적과 사상을 역사적 맥락에 따라 분석하고, 그람시 사상을 현대의 문화 분석에 적용하여 평가했다.
헤게모니/문화/지식인/위기/미국화 ... 그람시는 이데올로기적 지배를 헤게모니로 재구성하여 단순한 이항대립을 넘어선 복합적인 세계이해로 우리를 초대한다. 그람시의 작업은 마르크스 문화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틀을 제공했다고 평가받는다.
그람시의 헤게모니
오늘날 흔히 ‘권력’의 동의어로 사용되는 ‘헤게모니’는 어쩌다 우리의 언어생활 깊숙이 들어오게 되었을까? 20세기 초 이탈리아 사상가 안토니오 그람시의 영향이 절대적이다. 1921년 이탈리아공산당을 창당하고, 무솔리니 파시스트 정권에서 투옥되어 ‘옥중수고’라는 책으로 남은 이 작은 거인의 행적과 사상을 역사적 맥락에 따라 분석하고, 그람시 사상을 현대의 문화 분석에 적용하여 평가했다. 헤게모니/문화/지식인/위기/미국화 ... 그람시는 이데올로기적 지배를 헤게모니로 재구성하여 단순한 이항대립을 넘어선 복합적인 세계이해로 우리를 초대한다. 그람시의 작업은 마르크스 문화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틀을 제공했다고 평가받는다.
헤게모니의 계보
헤게모니는 그람시 사상의 중심에 위치한다. 러시아와 이탈리아에서 쓰이기 시작한 이 용어는 그람시를 만나 문화적·정치적 지도력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발전했다. 그람시는 러시아 사회주의운동에서 오랫동안 쓰인 헤게모니 개념을 가져와 마르크스주의적 이데올로기 해석에 균열을 일으켰다. ‘지배’는 권력작용에서 하위집단이 수행하는 적극적 역할을 잡아내지 못하지만,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은 강제와 동의/지배와 지도력/상식과 양식 등 권력작용의 여러 층위와 양태를 민감하게 포착한다. 그래서 계급을 넘어 젠더와 인종 등 온갖 사회적 구별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왜 그람시인가? 상식 권력에 대한 그람시의 미묘한 설명 사례 분석: 성 조지의 날 제1장 그람시의 정치적·지적 발전 이탈리아 통일운동과 변형주의 성장기 ‘철과 불의 시대’, 토리노에서의 그람시 전쟁, 파시즘 그리고 공산주의 모스크바에서 감옥까지 제2장 문화 토대와 상부구조 기동전과 진지전 시민사회 상부구조의 이론가 국민-민중, 그리고 ‘남부 문제’ ‘국민-민중’ 비판 제3장 헤게모니 헤게모니의 기원 헤게모니 개관 강제와 동의 제한된 헤게모니와 확장된 헤게모니 상식과 양식 제4장 헤게모니 사례 1: 정체성 ‘탁월’한 존재 청년 하위문화 제5장 헤게모니 사례 2: 재현과 제도 권력의 내러티브 협상과 저항 제도적 헤게모니 제6장 지식인 ‘지식인 문제’ 유기적 지식인 전통적 지식인 지식인, 대중문화, 상식 제7장 위기 유기적 위기 수동혁명 카이사리즘 위기관리 위기의 재현 제8장 미국주의와 포드주의 기생 집단과 수동적 잔여물 노동자, 도덕성, 쾌락 미국화와 문화 그람시 이후 서론 역사주의 문화 연구와 ‘그람시로의 회귀’ 새로운 시대, 새로운 사회운동 그람시의 모든 것 영어권의 그람시 연구 전기적 사실 그람시 입문서 그람시 연구서 인터넷 자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