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사도세자의 충신과 역신 : 심낙수의 충역열전 역주

사도세자의 충신과 역신 : 심낙수의 충역열전 역주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심낙수, 沈樂洙, 1739-1799 이승용, 李承容, 1981-, 역주
Title Statement
사도세자의 충신과 역신 : 심낙수의 충역열전 역주 / 심낙수 지음 ; 이승용 역주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2  
Physical Medium
216 p. : 삽화 ; 23 cm
Series Statement
장서각한국사강의 ;25
ISBN
9791158666927 9791186178072 (세트)
General Note
권말에 원문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9832
005 20221005174851
007 ta
008 221005s2022 ggk 000c ckor
020 ▼a 9791158666927 ▼g 94910
020 1 ▼a 9791186178072 (세트)
035 ▼a (KERIS)REQ000056891940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41 0 ▼a kor ▼a chi
082 0 4 ▼a 951.902 ▼2 23
085 ▼a 953.05 ▼2 DDCK
090 ▼a 953.05 ▼b 2015z13 ▼c 25
100 1 ▼a 심낙수, ▼g 沈樂洙, ▼d 1739-1799
245 1 0 ▼a 사도세자의 충신과 역신 : ▼b 심낙수의 충역열전 역주 / ▼d 심낙수 지음 ; ▼e 이승용 역주
260 ▼a 성남 : ▼b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c 2022
300 ▼a 216 p. : ▼b 삽화 ; ▼c 23 cm
490 1 0 ▼a 장서각한국사강의 ; ▼v 25
500 ▼a 권말에 원문 수록
536 ▼a 이 책은 2018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 21세기 장서각 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546 ▼a 본문은 한글, 한자가 혼합수록됨
700 1 ▼a 이승용, ▼g 李承容, ▼d 1981-, ▼e 역주 ▼0 AUTH(211009)99855
830 0 ▼a 장서각한국사강의 ; ▼v 25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5 2015z13 25 Accession No. 111869767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1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장서각 한국사 강의 25권. 조선시대 언관 심낙수가 남긴 문집 <은파산고> 권8에 수록된 「순충열전」과 「당역열전」을 역주한 것으로, 심낙수가 충신과 역신을 판별하여 비평을 가한 기록이다.

심낙수의 본관은 청송, 자는 경문, 호는 은파로 1775년 장원급제하여 성균관전적을 지냈다. 비록 그는 노론 시파였으나 언관으로서 당파의 구분 없이 역적 소탕에 앞장서며 토역확대론을 견지하였다. 이런 점에서 '충역열전'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과 인물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심낙수 개인의 의식과 의리론이 그대로 반영된 저술이라 하겠다.

조선 후기는 당쟁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경종과 영·정조 시기의 조정은 극심한 당쟁으로 얼룩졌고, 급기야 영조 재위 기간에는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는 임오화변이 발생하였다. 각 당파에 속한 인물들은 자신들의 당파만을 충신으로 자처하였고, 정치적 노선을 달리하는 자들은 모조리 역적이라 낙인을 찍고 몰아세웠다. 심낙수는 거대한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직접 목도한 26명의 인물 중 끝까지 사도세자와 정조를 온몸으로 지키고자 한 충신 17인과, 권세를 틀어쥐고 역모를 꾀한 역신 9인을 각각 「순충열전」과 「당역열전」으로 기록하였다.

심낙수는 임오화변의 원인을 사도세자를 둘러싼 보호론과 위동론에 있다고 보고, 자신만의 의리론으로 충역의 잣대를 엄정히 구분해 각 인물의 행적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서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사건들을 따라가며 당대 권력의 핵심으로 활동한 인물들의 다양한 특징과 그 민낯을 여과 없이 파헤쳤다.

이 책은 조선시대 언관(言官) 심낙수가 남긴 문집 『은파산고(恩坡散稿)』 권8에 수록된 「순충열전(純忠列傳)」과 「당역열전(黨逆列傳)」을 역주한 것으로, 심낙수가 충신과 역신을 판별하여 비평을 가한 기록이다. 심낙수(1739~1799)의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경문(景文), 호는 은파(恩坡)로 1775년 장원급제하여 성균관전적을 지냈다. 비록 그는 노론 시파였으나 언관으로서 당파의 구분 없이 역적 소탕에 앞장서며 토역확대론(討逆擴大論)을 견지하였다. 이런 점에서 ‘충역열전’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과 인물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심낙수 개인의 의식과 의리론이 그대로 반영된 저술이라 하겠다. 조선 후기는 당쟁(黨爭)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경종과 영·정조 시기의 조정은 극심한 당쟁으로 얼룩졌고, 급기야 영조 재위 기간에는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는 임오화변(壬午禍變)이 발생하였다. 각 당파에 속한 인물들은 자신들의 당파만을 충신으로 자처하였고, 정치적 노선을 달리하는 자들은 모조리 역적이라 낙인을 찍고 몰아세웠다. 심낙수는 거대한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직접 목도한 26명의 인물 중 끝까지 사도세자와 정조를 온몸으로 지키고자 한 충신 17인과, 권세를 틀어쥐고 역모를 꾀한 역신 9인을 각각 「순충열전」과 「당역열전」으로 기록하였다. 심낙수는 임오화변의 원인을 사도세자를 둘러싼 보호론과 위동론(危動論)에 있다고 보고, 자신만의 의리론으로 충역의 잣대를 엄정히 구분해 각 인물의 행적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서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사건들을 따라가며 당대 권력의 핵심으로 활동한 인물들의 다양한 특징과 그 민낯을 여과 없이 파헤쳤다. 이는 기존의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 관찬 역사서에서는 볼 수 없는 각 당파의 내부 동향까지 자세히 살필 수 있어 당시 주요 정치적 사건의 내막이나 이를 둘러싼 정쟁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에 많은 참고가 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심낙수(지은이)

조선시대 언관.

이승용(역주)

영남대학교 한문교육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석사, 박사 한국고전번역원 전문과정 수료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고전번역연구실 선임연구원(現) 논문 및 역서 &lt;조선후기 江華學派 漢詩硏究-全州李氏 德泉君派 八匡을 중심으로&gt; 공역 ≪譯註 貞觀政要集論≫, ≪國譯 通鑑節要增損校註Ⅰ≫, ≪自著實紀≫, ≪樂全堂集≫, ≪寒溪日記≫, ≪晝永編≫ 등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해제
『은파산고』 「순충열전」 역주
『은파산고』 「당역열전」 역주
『恩坡散稿』 「純忠列傳」 원문
『恩坡散稿』 「黨逆列傳」 원문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