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박팽년의 아버지, 박중림(朴仲林)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원경, 朴媛璟, 1955- 이복규, 李福揆, 1956-, 저
서명 / 저자사항
박팽년의 아버지, 박중림(朴仲林) / 박원경, 이복규 공저
발행사항
서울 :   중림출판사,   2022  
형태사항
238 p. : 삽화, 초상화 ; 26 cm
ISBN
9791197901904
일반주기
부록: 1. 《순암집(醇庵集)》[오재순(1727~1792)의 문집], 2. 《연려실기술》[이긍익(1736-1806)의 역사서], 3. 《승정원일기》 외  
주제명(개인명)
박중림,   朴仲林,   ?-145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9773
005 20230623092642
007 ta
008 221005s2022 ulkac 000c bkor
020 ▼a 9791197901904 ▼g 03910
035 ▼a (KERIS)BIB000016516425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951.902092 ▼2 23
085 ▼a 953.052092 ▼2 DDCK
090 ▼a 953.052092 ▼b 2022z1
100 1 ▼a 박원경, ▼g 朴媛璟, ▼d 1955- ▼0 AUTH(211009)153046
245 1 0 ▼a 박팽년의 아버지, 박중림(朴仲林) / ▼d 박원경, ▼e 이복규 공저
260 ▼a 서울 : ▼b 중림출판사, ▼c 2022
300 ▼a 238 p. : ▼b 삽화, 초상화 ; ▼c 26 cm
500 ▼a 부록: 1. 《순암집(醇庵集)》[오재순(1727~1792)의 문집], 2. 《연려실기술》[이긍익(1736-1806)의 역사서], 3. 《승정원일기》 외
600 1 4 ▼a 박중림, ▼g 朴仲林, ▼d ?-1456
700 1 ▼a 이복규, ▼g 李福揆, ▼d 1956-, ▼e▼0 AUTH(211009)64337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2092 2022z1 등록번호 1118697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육신 박팽년의 부친 박중림을 세상에 알리는 책. 그간 박팽년만 알았으나, 아버지와 아들이 한날한시에 죽음을 당하였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삼족이 사형을 당했으나 극적으로 후손이 남아 있게 된 비화와 함께, 기록에 나타난 박중림의 말과 글이 지닌 인문학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음미하게 해 준다.

사육신 박팽년의 아버지 박중림을 세상에 알리는 책.
누구나 박팽년은 알지만, 같은 날 죽은 박중림은 모르죠.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해 각종 문헌을 조사해, 이분의 말과 글이 지닌 인문학적 의미를 재음미하는 책입니다.

사육신 박팽년의 부친 박중림을 세상에 알리는 최초의 책! 그간 박팽년만 알았으나, 아버지와 아들이 한날한시에 죽음을 당하였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습니다. 삼족이 사형을 당했으나 극적으로 후손이 남아 있게 된 비화와 함께, 기록에 나타난 박중림의 말과 글이 지닌 인문학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음미하게 해 줍니다.

사육신 박팽년 아버지의 이름을 아시나요? 한석당(閑碩堂) 박중림(朴仲林)!
단종복위운동을 모의하여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죽음을 당한 분이죠. 삼족이 다 죽어 문집도 전하지 않아 철저하게 잊혀진 인물이었습니다. 아들인 박팽년은 사육신으로 추앙되어 사람들이 알고 있으나, 이분에 대해서는 논문 한 편, 책 한 권 없었지요.
이 사실을 안타깝게 여겨 역사기록을 모두 뒤져 저술한 게 이 책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연려실기술》,《승정원일기》 등 정사와 야사를 망라해, 이분의 행적을 정리했습니다.
경기 감사, 대사헌, 예문관대제학, 집현전제학,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인물로서 사육신인 성삼문과 하위지 등이 스승같이 모신 분이었습니다. 특히 오재순 저《순암집》의 발견으로, 이분의 어린 시절의 일과 최후의 발언을 알 수 있게 되었으니 천만다행입니다.
1456년 사육신과 함께 순절한 박중림 선생이 어떤 분인지 알고 싶지 않으세요? 이분의 말과 글을 모아 제시하면서, 그 인문학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음미한 이 책을 보세요. 권력의 정통성을 수호하기 위해 목숨을 버렸으나, 후일 복권되어 국가에서 제사를 지내준 박중림 선생의 삶은, 우리가 역사 앞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일깨우는 거울입니다.
올해는 박중림 선생이 서거한 지 566년째인 해입니다. 이 책이 선생을 이해하는 데 길잡이 구실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지혜를 얻고 자세도 가다듬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복규(지은이)

현재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명예교수이고,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숭실대학교, 총신대학교에서 강의했다. 국사편찬위원회 한문초서연수과정을 수료해 『묵재일기』를 검토하다 최초의 한글 번역 소설 「설공찬전」 국문본을 발견하는 행운을 누렸다. 아현동 산성교회 장로로서 밥죤스신학교 학부와 연구원에서 신학을 공부해 성경 공부를 인도하고 있다. 저서로 『부여·고구려 건국신화 연구』(집문당, 1998; 1999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설공찬전의 이해』(지식과교양, 2018), 『교회에서 쓰는 말 바로잡기』(새물결플러스, 2020) 등이 있고, 공저로 『한국 그리스도교 민속론』(민속원, 2014), 『우리신화 한국신화』(교우사, 2018) 등이 있다. 이복규 교수의 교회용어·설교예화 카페(http://cafe.naver.com/bokforyou)를 운영 중이다.

박원경(지은이)

법학박사로서 저작권법 전문가입니다. 한국사서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경원대 법대, 홍익대 광고홍보대학원 겸임교수로서 후학들을 가르쳤습니다. 현재 한국사서협회 명예회장, 한국저작권연구소 소장, 메타버스법제연구원 원장, 서울 정동 동양빌딩 중림문화센터 대표입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Ⅰ. ≪조선왕조실록≫·≪순암집≫ 속 박중림
1. 효성스러웠던 박중림
2. 세자를 가르친 박중림
3. 임금의 불교 행사 계획을 반대한 박중림
4. 종의 친부 확인 분쟁에 휩쓸린 박중림
5. 문종의 지시를 받은 경기 감사 박중림
6. 대사헌으로 추천받은 박중림
7. 안평대군(이용)의 처벌을 주장한 박중림
8. 왕비의 상복 입는 문제로 토론한 박중림
9. 단종 복위 사건의 가담자로 밝혀진 박중림
10. 반역 죄인으로 몰려 죽임당한 박중림
11. 박중림의 복관(復官)
12. 장릉(단종릉) 배식단 제사 대상자로 정해진 박중림

Ⅱ. 박중림의 말과 글
1. 첨사원 설치를 반대하는 말
2. 사간원을 사임하는 말
3. 몇 가지 현안에 대한 상소문
4. 죽음 앞에서 남긴 말

Ⅲ. 부록
1.《순암집(醇庵集)》〔오재순(1727~1792)의 문집〕
2.《연려실기술》〔이긍익(1736~1806)의 역사서〕
2-1. 육신(六臣)의 상왕 복위 모의[上王復位謀議]
2-2. 정난(靖難)에 죽은 여러 신하
3. 《승정원일기》
4. 《국조인물지》(1909)
5. 묘비문 : 문민공(文愍公) 한석당(閑碩堂) 박선생(朴先生) 사적비(事蹟碑)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박중림’ 항목
7. 박중림이 제수받은 관직 목록

관련분야 신착자료

조원창 (2023)
정연식 (2023)
여인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