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8687 | |
005 | 20220922175916 | |
007 | ta | |
008 | 220921s2020 ulkad 000c kor | |
020 | ▼a 9788959428991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5675661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32.6327 ▼2 23 |
085 | ▼a 332.6327 ▼2 DDCK | |
090 | ▼a 332.6327 ▼b 2020z4 | |
100 | 1 | ▼a 윤승환 ▼0 AUTH(211009)5029 |
245 | 1 0 | ▼a 사모투자펀드와 M&A = ▼x Private equity fund : mergers & acquisitions / ▼d 윤승환, ▼e 차일규 공저 |
250 | ▼a 3판(개정증보판) | |
260 | ▼a 서울 : ▼b 삼일인포마인, ▼c [2020] ▼g (2021 2쇄) | |
300 | ▼a 532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부록: 국내 바이아웃 PEF의 case study 및 actual data | |
700 | 1 | ▼a 차일규, ▼e 저 ▼0 AUTH(211009)109634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2.6327 2020z4 | 등록번호 11186945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모투자펀드의 핵심 내용들을 이론, 실무, 세무편으로 구분하고 주요 사항들을 한 권으로 정리한 도서다.
사모투자펀드의 핵심 내용들을 이론, 실무, 세무편으로 구분하고 주요 사항들을 한 권으로 정리한 도서
■ 주요내용 ■
이론편 : 사모투자펀드(PEF)의 정의, 기타 펀드와의 구분, PEF가 탄생되고 발전된 역사, 미국, 유럽 및 일본의 PEF 사례, 한국의 PEF 현황 등에 대한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 사모투자펀드를 통한 “개방형 플랫폼”이 개인과 기업, 나아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리하고자 함
실무편 : 사모투자펀드의 설립, 투자대상 발굴, 운영, 관리, 회수에 이르기까지의 과정과 중요 포인트를 정리하여 사모투자펀드 관련 종사자들의 이해를 돕고 사모투자펀드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분들에게 전체적인 업무 흐름을 알기 쉽게 해 줌
세무편 : 투자신탁형 펀드, 투자회사형 펀드,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의 조세 (Tax) 관련 이슈를 구분하여 제시하여 줌, 또한 사모투자펀드의 투자집행시와 투자회수시에 고려하여야 할 세무 관련 업무와 실제 사모투자펀드에서 사용한 바 있는 각종 절세 사례들을 제시하여 사모펀드 관련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
■경쟁도서와 비교■
1. 기존의 사모투자펀드에 관한 도서들은 대체로 특정인과의 인터뷰나 특정 M&A 사례의 심층 소개 (주로 언론사 기자분들이나 컨설팅 인력이 저술) , Valuation 기법 위주 (회계사들이 저술), 관련 법규의 나열 (변호사들이 저술) 등 어떤 목적과 내용을 누가 저술하느냐에 따라 각자의 전문 분야 위주로 저술된 책들이 대부분임
2. 본 저서는 이러한 책들의 장단점을 포괄하여 본 책을 접한 독자분들에게 단 한권으로 국내외 최신 트렌드와 투자 사례 소개 및 분석, Valuation, 투자 전략, 세무 이슈 등이 머리속에 일목 요연하게 정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핵심 내용들로만 구성하였고, 여타 다른 책에서 심층적으로 다룬 바 있는 불필요한 내용들은 과감히 생략한 것이 경쟁 도서 대비 가장 큰 비교우위
정보제공 :

저자소개
윤승환(지은이)
● 한양대 경영학과 졸, 미국 캘리포니아 주 공인회계사(USCPA) ● 대학 졸업 후 ROTC로 육군 중위(11사단) 복무 ● 제대 후 신세기투자신탁 국제금융팀, 자산관리공사 자산유동화1부, 조흥은행 시너지마케팅팀(파견), 미래에셋증권 IB본부 등 총 15년간의 금융권 재직 후 2012년부터 2017년까지 SK네트웍스 M&A 파트장으로 근무하며 동양매직(현 SK매직) 인수 실무 총괄을 맡는 등 M&A 및 자본시장의 경험을 쌓음. ● 2020년 현재 한국타이어 그룹 지주회사 내 전략혁신2팀장으로 그룹 내 M&A 전략 수립과 실행 실무, 내부 전략 컨설팅, 인수 후 관리(PMI) 및 신규투자 업무 등을 담당하고 있음. <저서> ● 윤승환․정승원 공저, “전략과 경제의 타임머신에 올라타라 : 성공으로 이끄는 전략과 경제”(2016) 삼일인포마인 ● 이준엽․황태섭․윤승환․최충인 공저, “(마음먹은 대로 풀리는) 오늘은 내 인생의 첫날이다”(2017) 트러스트북스
차일규(지은이)
● 고려대 경영학과 졸, 한국 및 미국 공인회계사, 세무사 ● 안진회계법인 Tax본부, 신우회계법인 감사본부 근무 후 2002년에 삼일회계법인 Tax본부로 이직함. ● 2020년 현재 삼일회계법인 Tax본부에서 Partner로 재직 중이며, 국내/해외 PEF 전문 세무자문, M&A 관련 세무자문, 실사업무 및 외국계 기업에 대한 국제조세자문업무 등을 담당하고 있음.

목차
Special Issue COVID-19에 따른 PEF 업계의 변화 점검 Part Ⅰ 사모투자펀드 이론편 제 1 장 사모투자펀드란 무엇인가? 1.1 펀드란 무엇인가? 1.2 뮤추얼펀드와 투자신탁이란? 1.3 공모펀드와 사모펀드란? 1.4 개방형 펀드와 폐쇄형 펀드란? 1.5 사모펀드와 사모지분투자펀드Private Equity fund의 차이는? 1.6 뮤추얼펀드와 사모투자펀드PEF의 차이는? 1.7 헤지펀드와 PEF와의 차이는? 제 2 장 사모투자펀드의 역사 2.1 사모펀드의 탄생 배경 2.2 헤지펀드의 탄생 배경 2.3 사모지분투자펀드PEF의 기원起源 2.4 근대적 PEF의 탄생 2.5 DBL의 등장 2.6 KKR의 등장 제 3 장 해외의 사모투자펀드 3.1 Global PEF 업계의 7차례 변동 Trend 3.2 Global PEF 운용업체 Ranking 3.3 Global PEF 경영진들의 연봉 3.4 Global PEF 실무진들의 연봉 3.5 미국의 금융규제법안 : 도드-프랭크 법과 볼커룰 3.6 유럽의 PEF 산업 3.7 일본의 PEF 산업 제 4 장 한국의 사모투자펀드 4.1 한국의 PEF 제도 4.2 2015년 10월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의미 4.3 2015년 10월 개정안의 운용 효과 요약 4.4 2020년 4월 사모펀드 현황 평가 및 제도개선 방안 4.5 기타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 4.6 창업ㆍ벤처전문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 4.7 한국 PEF 업계의 발전사發展史 요약 4.8 한국의 주요 PEF 운용사 4.9 국내 PEF의 기업 구조조정 사례 4.10 한국 PEF의 운용인력 제 5 장 사모투자펀드의 의의와 미래 전망 5.1 PEF의 발전 단계 5.2 PEF의 장점과 단점 5.3 국내 PEF의 향후 변화 예측 5.4 PEF 산업의 미래 종합 Part Ⅱ 사모투자펀드 실무편 제 6 장 사모투자펀드의 설립과 투자 자금 모집 6.1 PEF의 기본 구조와 특징 6.2 PEF의 설립 전 사전검토사항 6.3 PEF의 설립 실무 6.4 PEF의 투자자금 모집 6.5 PEF의 업무 Flow 제 7 장 사모투자펀드의 투자대상 발굴 7.1 일반적인 발굴Sourcing 과정 7.2 Top-down Approach와 Bottom-up Approach 7.3 Value Chain상 발굴 제 8 장 사모투자펀드의 투자 집행과 M&A 8.1 PEF의 투자 철학 8.2 M&A의 실행 8.3 Due Diligence 8.4 Valuation 8.5 입찰전략 및 SPA 협상 8.6 인수구조 설계Deal Structuring 제 9 장 사모투자펀드의 운용 및 관리 9.1 PEF의 운용 규정 9.2 PEF의 옵션 투자 9.3 PEF에 대한 특례 9.4 PEF의 투자 후 관리 제 10 장사모투자펀드의 투자회수(Exit)와 청산 10.1 투자회수의 전략 수립 10.2 투자회수의 유형 10.3 GP의 보수구조 10.4 투자회수의 전략과 배분 절차 10.5 PEF의 해산 및 청산 실무 Part Ⅲ 사모투자펀드 세무편 제 11 장사모투자펀드의 단계별 세무이슈 11.1 주식매매거래시 취득시점의 세무이슈 11.2 보유기간의 세무이슈 11.3 주식양도시의 세무이슈 11.4 국내원천소득의 실질귀속자 판정 제 12 장사모투자펀드의 형태별 세무이슈 12.1 사모투자펀드의 구분 12.2 회사형 사모투자펀드의 세무(전문투자형 사모집합투자기구) 12.3 회사형 사모투자펀드의 세무(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 또는 바이아웃 PEF) 12.4 신탁형 사모투자펀드의 세무 Appendix 국내 바이아웃 PEF의 Case Study 및 Actual Data 1. KKR & Affinity - OB맥주 Case Study 1.1 투자 및 회수 개요 1.2 KKR-Affinity의 최초 투자 과정 1.3 Leveraged Recapitalization(리캡) 실행을 통한 자금 회수 1.4 KKR과 Affinity의 총 수익금(추정치) 1.5 KKR과 Affinity의 최고위급 파트너 중 한국인 3명의 수입(추정치) 2. MBK - 홈플러스 Case Study 2.1 투자 및 회수 개요 2.2 매각 전 지분 구조 2.3 MBK의 인수 구조 2.4 Tesco 측의 투자 및 회수 금액(추정치) 2.5 Upside-down 인수 구조의 장점 3. NH PE & 글랜우드 - 동양매직 Case Study 3.1 투자 및 회수 개요 3.2 NH PE-글랜우드의 최초 투자 구조 3.3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한 기업가치 평가배수 상향 인정 Valuation Multiple upgrade 3.4 NH PE-글랜우드의 총 수익금(추정치) 4. 과거 외국계 회사에 대한 실질귀속자 판정사례 4.1 A 펀드 사례 4.2 C 회사 사례 5. Share Deal(주식양수도거래) 및 Asset Deal(자산양수도거래)에 있어서의 세무상 차이점 비교 6. 한국의 바이아웃 PEF(2020. 3. 현재) Actual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