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The) effect of customer review format on consumer response

(The) effect of customer review format on consumer response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마혜리, 馬譿理
서명 / 저자사항
(The) effect of customer review format on consumer response / Ma Hye Ri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형태사항
32장 : 삽화 ; 26 cm
기타형태 저록
The Effect of Customer Review Format on Consumer Response   (DCOLL211009)000000268423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2022. 8
학과코드
0510   6B2   2328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상용  
서지주기
참고문헌: 장 23-31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subtitle, emoticons, length, consumer response, customer review,,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7117
005 20230714164942
007 ta
008 220706s2022 ulka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B2 ▼c 2328
100 1 ▼a 마혜리, ▼g 馬譿理
245 1 1 ▼a (The) effect of customer review format on consumer response / ▼d Ma Hye Ri
246 1 1 ▼a 顧客 리뷰의 形式이 消費者 反應에 미치는 效果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2022
300 ▼a 32장 : ▼b 삽화 ; ▼c 26 cm
500 ▼a 지도교수: 김상용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영학과, ▼d 2022. 8
504 ▼a 참고문헌: 장 23-31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subtitle ▼a emoticons ▼a length ▼a consumer response ▼a customer review
776 0 ▼t The Effect of Customer Review Format on Consumer Response ▼w (DCOLL211009)000000268423
900 1 0 ▼a Ma Hye Ri, ▼e
900 1 0 ▼a 김상용, ▼g 金商湧, ▼d 1965-, ▼e 지도교수 ▼0 AUTH(211009)13471
900 1 0 ▼a Kim, Sangyong, ▼e 지도교수
945 ▼a ITMT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The) effect of customer review format on consumer response (13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B2 2328 등록번호 1630829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B2 2328 등록번호 1630829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고객 리뷰의 형식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탐구한다. 우리는 고객 리
뷰의 형식이 소비자들이 전반적으로 리뷰 내용을 읽기 전에 리뷰의 구독여부를 결정짓는 요소로
본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고객 리뷰의 형식을 소제목, 이모티콘, 길이로 나누어 소
비자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한다.
  우리는 화해 고객 리뷰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리는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긍
정적 내용의 길이와 부정적 내용의 길이 구분없이 정보 자체가 많다고 보이면 소비자 반응이 긍
정적인 것을 밝혔다. 또한, 이모티콘 수가 많은 리뷰 일수록 소비자 반응이 증가한다는 것을 보았
다. 반면에 소제목이 소비자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알 수가 없다.
  본 연구를 통해 실무자들은 소비자 반응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써 고객 리뷰의 형식을 고려해
봐야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학술적 공헌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review format on consumer respons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format of customer reviews as a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consumers read a review or not. To confirm this, this study classifies the form of customer reviews into subtitle, emoticons, and lengths, and study how those three factors influence consumer responses. We did a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Hwahae application.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if there was a lot of information itself regardless of the length of positive content and the length of negative content, the consumer response increase.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more the number of emoticons, the more the consumer response. Through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practitioners consider the format of customer reviews to promote consumer response. It also provides academic contributions.

목차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과 가설 설정 ---------------------------------------4
1.‘좋아요’ 수 ------------------------------------------------------- 4
2. 소제목 ----------------------------------------------------------- 5
3. 이모티콘 -------------------------------------------------------- 7
4. 길이 ------------------------------------------------------------- 9
III. 연구 방법 ------------------------------------------------------ 12
1. 연구 모형 ------------------------------------------------------ 12
 2. 데이터 수집 ---------------------------------------------------13
 3. 모델 ----------------------------------------------------------- 15
 4. 독립변수 측정 방법 ------------------------------------------ 16
   4-1. 소제목
   4-2. 길이
5. 통제변수 ------------------------------------------------------- 18
IV. 연구 결과 ----------------------------------------------------- 20
V. 결론 ------------------------------------------------------------ 21
1.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 21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 23
참고문헌 ---------------------------------------------------------- 27
영문초록 ----------------------------------------------------------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