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7110 | |
005 | 20230714173658 | |
007 | ta | |
008 | 220702s2022 ulk 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YB2 ▼c 601 | |
100 | 1 | ▼a 주영란 |
245 | 1 0 | ▼a 조직 구성원의 CSR 행동 : ▼b 선행요인 및 윤리적 의미성의 매개역할 / ▼d 주영란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2022 | |
300 | ▼a vi, 94 p.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문형구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1 | ▼a 학위논문(박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경영학과, ▼d 2022. 8 |
504 | ▼a 참고문헌: p. 67-87 | |
530 |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 |
653 | ▼a CSR 수혜자 접촉 ▼a 윤리적 리더십 ▼a 직무안정성 ▼a 윤리적 의미성 ▼a 윤리적 친조직 행동 ▼a 정체성 관점 ▼a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a 구성원의 CSR 행동 | |
776 | 0 | ▼t 조직 구성원의 CSR 행동 ▼w (DCOLL211009)000000268634 |
900 | 1 0 | ▼a 문형구, ▼g 文炯玖, ▼d 1954-,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3460 |
945 | ▼a ITMT |
Electronic Information
No. | Title | Service |
---|---|---|
1 | 조직 구성원의 CSR 행동 : 선행요인 및 윤리적 의미성의 매개역할 (61회 열람) |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 Call Number 0510 6YB2 601 | Accession No. 16308297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 Call Number 0510 6YB2 601 | Accession No. 1630829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최근, 조직들은 사회의 기대에 부응하고 조직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책임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직행동 분야에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 활동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주로 구성원의 CSR 인식이 조직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조직의 CSR 활동을 실행하는 주체는 구성원 개인이며, 외부 이해관계자들은 구성원의 CSR 행동을 통해 조직의 윤리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구성원의 CSR 행동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CSR 행동의 선행요인, 그리고 선행요인과 CSR 행동 간의 매개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연구에 앞서, 구성원의 역할 내, 역할 외 CSR 행동 개념을 윤리적 친조직 행동 유형의 하나로서 접근하고, 관련 개념들과 비교하였다. 그 후, 선행요인이 윤리적 의미성을 통해 구성원의 CSR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7명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예상과 같이 모든 가설이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CSR 수혜자 접촉, 윤리적 리더십, 그리고 직무안정성이 구성원의 CSR 행동(역할 내 행동, 역할 외 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들 간의 관계는 윤리적 의미성에 의해 매개되었다. 특히, 윤리적 의미성은 윤리적 리더십과 역할 내 CSR 행동 간 관계, 그리고 직무안정성과 역할 내 CSR 행동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원이 상호작용하는 대상으로서 외부 이해관계자를 포함시켰다는 점, 정체성 관점에 근거하여 매개 메커니즘인 윤리적 의미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구성원의 CSR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조직은, 구성원이 일하면서 CSR 수혜자와 만나거나 직속 상사로부터 윤리적인 메시지를 전달받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 환경을 재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은 논의 부분에 정리되어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가설 7 제1절 이해관계자에 대한 (비)윤리적 행동 7 제2절 조직 구성원의 CSR 행동 12 1. 조직의 CSR 활동과 구성원의 CSR 행동 12 2. 역할 내 CSR 행동과 역할 외 CSR 행동 14 제3절 선행요인과 구성원의 CSR 행동 18 1. CSR 수혜자 접촉과 구성원의 CSR 행동 20 2.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CSR 행동 24 3. 직무안정성과 구성원의 CSR 행동 28 제4절 윤리적 의미성의 매개효과 31 1. CSR 수혜자 접촉과 구성원의 CSR 행동 간 매개효과 32 2.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CSR 행동 간 매개효과 36 3. 직무안정성과 구성원의 CSR 행동 간 매개효과 39 제3장 연구방법론 44 제1절 연구표본 44 제2절 측정도구 45 제4장 분석 결과 47 제1절 확인적 요인분석 47 제2절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50 제3절 가설검증 52 제5장 논의 56 제1절 연구의 요약 56 제2절 연구의 함의 57 제3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62 참고문헌 67 부록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