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어수업의 장애·비장애 학생 반응 비교 : 장애를 주제로 한 영어동화책을 중심으로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어수업의 장애·비장애 학생 반응 비교 : 장애를 주제로 한 영어동화책을 중심으로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정가영
서명 / 저자사항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어수업의 장애·비장애 학생 반응 비교 : 장애를 주제로 한 영어동화책을 중심으로 / 정가영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형태사항
iii, 60장 : 삽화(일부천연색) ; 26 cm
기타형태 저록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어수업의 장애·비장애 학생 반응 비교   (DCOLL211009)000000268700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2022. 8
학과코드
0510   6M2   1042  
일반주기
지도교수: 최석무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장 52-54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영어동화책, 장애이해, 크리티컬 리터러시,,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6928
005 20230531094125
007 ta
008 220622s2022 ulka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 ▼c 1042
100 1 ▼a 정가영
245 1 0 ▼a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어수업의 장애·비장애 학생 반응 비교 : ▼b 장애를 주제로 한 영어동화책을 중심으로 / ▼d 정가영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iii, 60장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6 cm
500 ▼a 지도교수: 최석무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영어교육전공, ▼d 2022. 8
504 ▼a 참고문헌: 장 52-54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영어동화책 ▼a 장애이해 ▼a 크리티컬 리터러시
776 0 ▼t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어수업의 장애·비장애 학생 반응 비교 ▼w (DCOLL211009)000000268700
900 1 0 ▼a 최석무, ▼g 崔錫戊, ▼d 1968-,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0372
945 ▼a ITMT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영어수업의 장애·비장애 학생 반응 비교 : 장애를 주제로 한 영어동화책을 중심으로 (33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 1042 등록번호 1630828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 1042 등록번호 1630828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동일학급내 장애학생 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장애를 주제로 한 영어동화책을 활용하여 크리티컬 리터러시 영어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My brother Sammy와 Andy and His Yellow Frisbee를 교재로 선정하였으며 두 교재 모두 장애학생이 주인공이고 학교와 가정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 학생들에게 친숙한 내용이었다. 두 교재 모두 장애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 쓰여진 책이지만 불평등한 편견과 선입견이 내재되어 있어 학생들에게 찾게 하고 함께 토론하며 학생들의 반응을 살폈다. 그 결과 장애학생은 자신들과의 토론을 통해 비장애학생들의 편견이 없어지는 모습을 보고 자존감이 향상되었으며,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장애학생도 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비장애학생들은 장애인식이 수업 전에 비해 높아졌고, 두 부류의 학생 모두 영어에 대한 흥미도, 수업에 대한 만족도, 비판적 사고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7
 1. 크리티컬 페다고지 7
 2. 크리티컬 리터러시 9
 3.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위한 전략 10
  (1) 문제 제기식 질문(Problem posing questions) 11
  (2) 대안적 관점(Alternative perspectives) 12
 4. 통합 교육과 장애를 주제로 한 문학 교육 13
 5. 크리티컬 리터러시와 장애관련 선행연구 15
Ⅲ. 연구 방법 18
 1. 연구 대상 18
 2. 연구 도구 20
 3. 연구 절차 21
Ⅳ. 연구 결과 24
 1. 개인적 측면 24
 2. 가족적 측면 31
 3. 사회적 측면  33
 4. 대안적 글쓰기 활동 결과 35
 5. 설문조사 결과 40
Ⅴ. 결론 46
 1. 연구의 결론 46
 2. 연구의 시사점 49
 3. 연구의 제한점 50
참고문헌 52
연구교재 54
[부록 1] 한글판 로젠버그 자기존중감 척도(Korean version of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55
[부록 2] 장애인식태도 설문조사 56
[부록 3]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5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