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6927 | |
005 | 20230629162748 | |
007 | ta | |
008 | 220623s2022 ulka 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2 ▼c 1041 | |
100 | 1 | ▼a 주연 |
245 | 1 0 | ▼a 그래픽 조직자 기반 요약하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독해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d 주연 |
246 | 1 1 | ▼a The effect of graphic organizer-based English summarizing activity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affective attitude |
246 | 3 1 | ▼a Effect of graphic organizer-based English summarizing activity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affective attitude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 |
300 | ▼a vii, 86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강유선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영어교육전공, ▼d 2022. 8 |
504 | ▼a 참고문헌: p. 56-66 | |
530 |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 |
653 | ▼a 요약하기 ▼a 독해력 ▼a 정의적 태도 ▼a 그래픽 조직자 | |
776 | 0 | ▼t 그래픽 조직자 기반 요약하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독해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w (DCOLL211009)000000268696 |
900 | 1 0 | ▼a Juh, Youn, ▼e 저 |
900 | 1 0 | ▼a 강유선, ▼g 姜有宣,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0369 |
900 | 1 0 | ▼a Kang, Yusun, ▼e 지도교수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M2 1041 | 등록번호 16308282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M2 1041 | 등록번호 1630828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본 연구는 요약하기 활동의 효과를 높이는 활동으로서의 그래픽 조직자 활용의 효과성을 학습자의 읽기 및 요약, 정의적 태도, 내용 회상도 부분에 걸쳐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70명의 고등학교 2학년 영어 학습자들을 그래픽 조직자 기반 요약하기 활동을 진행하는 실험집단과 요약하기 활동만 진행하는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1차시 당 50분씩,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8차시에 걸쳐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그래픽 조직자 기반 요약하기 활동은 영어 독해력과 요약하기 능력, 정의적 태도를 향상시키고 내용 회상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일반적인 요약하기 활동은 영어 독해력과 요약하기 능력, 정의적 태도, 내용 회상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그래픽 조직자 기반 요약하기 활동이 일반 요약하기 활동에 비해 영어 읽기 학습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graphic organizers as a way for increasing the effect of English summarizing activities on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summarizing skills, affective attitude and content recollection. Seventy students at a Korean high schoo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members for graphic organizer-based English summarizing activities and comparative group members for summarizing activities without graphic organizers. They had eight 50-minute classes excluding the first and last session for pre- and post-tests respectively. The findings showed graphic organizer-based summarizing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nglish comprehension abilities, summarizing skills, affective attitude and content recollection. However, summarizing activities without using graphic organizers did not show much significance in the same areas. Moreover, graphic organizer-based English summarizing activities showed a greater effectiveness for English reading.
목차
1. 서론 1 2. 이론적 배경 3 2.1 영어읽기 교육 3 2.1.1 읽기 교육 3 2.1.2 읽기 전략 4 2.2 요약하기 활동 9 2.2.1 요약하기의 정의 9 2.2.2 요약하기와 읽기 능력 11 2.2.3 요약하기 수업 방안 15 2.3 그래픽 조직자와 영어교육 16 2.3.1 그래픽 조직자의 개념 및 유형 16 2.3.2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영어교육 선행연구 25 2.4 그래픽 조직자 기반 요약하기 활동 28 3. 연구의 방법 및 설계 31 3.1 연구 참여자 31 3.2 연구 도구 33 3.2.1 독해 자료 33 3.2.2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 도구 34 3.2.3 사전․사후 정의적 태도 평가 도구 34 3.2.4 사전․사후 내용 회상도 평가 도구 35 3.3 집단별 수업 구성 및 절차 36 3.4 자료수집 및 절차 37 3.5 자료 분석 37 4. 연구 결과 및 분석 38 4.1 사전 및 사후 평가 결과 분석 38 4.1.1 사전‧사후 독해 평가 결과 38 4.1.2 사전‧사후 요약하기 평가 검사 결과 40 4.2 사전 및 사후 정의적 태도 검사 결과 분석 41 4.3 내용 회상도 검사 결과 분석 48 5. 결론 50 5.1 결과 요약 및 논의 50 5.2 한계점 및 제언 53 참고문헌 56 부 록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