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6887 | |
005 | 20230530103011 | |
007 | ta | |
008 | 220625s2022 ulka bmAC 000c kor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5 | 0 | ▼a 0510 ▼2 KDCP |
090 | ▼a 0510 ▼b 6M1 ▼c 1164 | |
100 | 1 | ▼a 안지현 |
245 | 1 0 | ▼a '문제 발견하여 바꿔쓰기'를 활용한 소설 수업 사례 연구 : ▼b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 / ▼d 안지현 |
260 |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 |
300 | ▼a vi, 92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지도교수: 정재림 | |
500 | ▼a 부록수록 | |
502 | 0 |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국어교육전공, ▼d 2022. 8 |
504 | ▼a 참고문헌: p. 87-91 | |
530 |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 |
653 | ▼a 독서교육 ▼a 소설 교육 ▼a 공감적 자기화 ▼a 바꿔쓰기 ▼a 공동체 역량 ▼a 국어교육 | |
776 | 0 | ▼t '문제 발견하여 바꿔쓰기'를 활용한 소설 수업 사례 연구 ▼w (DCOLL211009)000000268658 |
900 | 1 0 | ▼a 정재림, ▼g 鄭在琳, ▼d 1973-, ▼e 지도교수 ▼0 AUTH(211009)61446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M1 1164 | 등록번호 1630827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 청구기호 0510 6M1 1164 | 등록번호 1630827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초록
이 연구는 공감적 자기화의 원리를 토대로 ‘문제 발견하여 바꿔쓰기’를 활용한 소설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례를 제시해 중학교 소설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학습자가 읽기와 쓰기의 과정을 거쳐 소설 속 문제를 능동적으로 발견하고 해결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공동체 역량과 공감적 자기화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공감적 자기화를 적용한 소설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공동체 역량을 신장하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둘째, 공감적 자기화를 바탕으로 ‘문제 발견하여 바꿔쓰기’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중학교 2학년 소설 수업에서 개발한 수업 프로그램을 실천하였다. 넷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다섯째, 바꿔쓰기 활동 결과물, 설문 조사,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여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반응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문제 발견하여 바꿔쓰기’를 활용한 소설 수업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로 하여금 공동체와 관련하여 본인과 사회를 성찰하고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다른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며 독서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독서에 흥미를 가지게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책을 읽고 창의력을 발휘해 바꿔 쓰기를 하는 과정에서 독서와 창작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하는 점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공감적 자기화를 일부 학습자에 맞게 변용하여 적용한 사례이다.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유형의 학습자에 대한 수업 개발과 관련하여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Ⅱ. 이론적 배경 4 1. 공동체 역량에 대한 이해 4 1) 공동체 역량의 개념 4 2) 공동체 역량의 범주와 하위 요소 6 2. 공감적 자기화에 대한 이해 8 1) 공감적 자기화의 개념과 방법 8 2) 공감적 자기화의 교육적 가치 11 3. 문제 발견하여 바꿔 쓰기 12 Ⅲ. 연구 방법 15 1. 연구자 15 2. 연구 대상 15 3. 대상 텍스트 17 4. 연구 절차 18 5. 연구 도구 20 Ⅳ. ‘문제 발견하여 바꿔 쓰기’를 활용한 소설 수업의 실제 25 1. 흥미 유발 단계 28 2. 책 읽기 단계 31 3. 텍스트 이해 단계 32 4. 문제 발견하기 단계 42 5. 문제 해결하기 단계 44 6. 공유하기 단계 50 Ⅴ. 연구 결과 및 분석 53 1. ‘문제 발견하여 바꿔 쓰기’ 수업 활동 결과물 53 2. ‘문제 발견하여 바꿔 쓰기’를 활용한 소설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64 3. ‘문제 발견하여 바꿔 쓰기’를 활용한 소설 수업이 국어교육에 시사하는 점 80 Ⅵ. 결론 83 1. 요약 83 2. 한계 및 제언 85 참고문헌 87 부록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