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실태 : K대학 사례연구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실태 : K대학 사례연구

Material type
학위논문
Personal Author
도윤정
Title Statement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실태 : K대학 사례연구 / 도윤정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Physical Medium
iv, 104 p. : 삽화 ; 26 cm
기타형태 저록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실태   (DCOLL211009)000000268654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및고등교육전공, 2022. 8
학과코드
0510   6M6   1649  
General Note
지도교수: 변기용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78-82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캡스톤디자인, 산학협력, 실습교육, COVID-19팬데믹,,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6885
005 20230530093849
007 ta
008 220704s2022 ulka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6 ▼c 1649
100 1 ▼a 도윤정
245 1 0 ▼a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실태 : ▼b K대학 사례연구 / ▼d 도윤정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iv, 104 p. : ▼b 삽화 ; ▼c 26 cm
500 ▼a 지도교수: 변기용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행정및고등교육전공, ▼d 2022. 8
504 ▼a 참고문헌: p. 78-82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캡스톤디자인 ▼a 산학협력 ▼a 실습교육 ▼a COVID-19팬데믹
776 0 ▼t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실태 ▼w (DCOLL211009)000000268654
900 1 0 ▼a 변기용, ▼g 卞基溶, ▼d 1964-, ▼e 지도교수 ▼0 AUTH(211009)10916
945 ▼a ITMT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실태 : K대학 사례연구 (143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M6 1649 Accession No. 1630827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M6 1649 Accession No. 1630827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 중인 산학협력 교육 중의 하나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확산이 COVID-19 사태로 인하여 온라인 학기로 진행되는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효과적 운영방안을 찾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단일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연구자가 통제 가능한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 4년제 대학교 K대로 선정하였다. 주된 연구자료는 면담자료이며, 면담참여자는 16명의 K대 캡스톤디자인의 행정 및 예산 지원을 하고 있는 행정 직원, 수강 학부생, 지도 교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학기중 캡스톤디자인실습 교과목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인적측면에서는 ‘상호 작용 및 의사소통 의 어려움’ 으로 나타났다. 교육목표, 성과 측면에서는  ‘과제 완성도 낮아짐’ ‘예산 집행율 하락’, ‘현장 적용 불가능’이 있었다. 
 반면 온라인 학기 중 캡스톤디자인이 운영하며 새롭게 발견한 가능성도 있었다. ‘제약에서 벗어난 아이디어 도출’이 가능해졌으며 ‘홈페이지 시스템이 도입되며 비대면 캡스톤디자인 지원’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또한 온라인 강의로 학생들은 ‘복습’이 가능해졌으며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환경 구성’이 가능하여 자신의 역량에 따라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과 가능성에 미친 맥락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적 특성으로 살펴보면 ‘자기주도 학습 태도’ 에 따라 온라인 학기 중 캡스톤디자인은 학생들에게 가능성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실무에 적용되는 과제 기회가 마련’되었다. 조직적 특성으로는 ‘노력하는 교수’ 와 ‘적극적인 행정 지원’으로 온라인 학기 중에도 효과적으로 캡스톤디자인이 운영 되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캡스톤디자인 전공 필수, 졸업 전제 조건 마련, 캡스톤디자인 홈페이지를 들 수 있다.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1. 산학협력의 강화와 캡스톤디자인 6
   가. 산학협력 관련 정부 정책과 재정지원 사업의 활성화 6
   나. 산학협력 친화형 교육과정과 캡스톤디자인 13
 2. COVID-19 팬데믹과 대학교육 환경의 변화 19
   가. COVID-19 팬데믹 관련 정부의 대학 교육 정책 19
   나. 온라인 교육 환경 속에서 실험·실습 교육 운영의 어려움 21
 3. 선행연구 고찰 23
Ⅲ. 연구 방법 25
 1. 사례연구 25
 2. 연구대상 28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32
   가. 연구절차 개관 32
   나. 자료수집 35
   다. 분석방법 42
Ⅳ. 연구결과 47
 1.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나타난 문제점 47
  가. 인적 측면 47
  나. 교육목표, 성과 측면 49
 2.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새롭게 발견한 가능성 53
  가. 제약에서 벗어난 이상적인 아이디어 도출 53
  나. 홈페이지 시스템 도입으로 인하여 비대면 캡스톤디자인 지원-  54
  다. 온라인 강의로 복습 가능 56
  라.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환경 구성 가능 57
 3.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에 영향을 미친 요인 57
  가. 개인적 특성 57
  나. 조직적 특성 60
  다. 환경적 요인 63
Ⅴ. 결론 및 제언 67
 1. 요약 67
 2. 결론 68
 3. 제언 73

참고문헌 78
부   록 8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