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수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수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1회 대출)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정장아
서명 / 저자사항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수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정장아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형태사항
vi, 86장 : 삽화 ; 26 cm
기타형태 저록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수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DCOLL211009)000000268647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전공, 2022. 8
학과코드
0510   6M23   413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인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장 74-77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학습자 중심 수업, 교사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플립러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6879
005 20230526155837
007 ta
008 220623s2022 ulka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23 ▼c 413
100 1 ▼a 정장아
245 1 0 ▼a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수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d 정장아
246 1 1 ▼a A qualitative study on instructor experience in flipped learn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246 3 1 ▼a Qualitative study on instructor experience in flipped learn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vi, 86장 : ▼b 삽화 ; ▼c 26 cm
500 ▼a 지도교수: 박인우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교육방법전공, ▼d 2022. 8
504 ▼a 참고문헌: 장 74-77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학습자 중심 수업 ▼a 교사학습공동체 ▼a 교사 전문성 ▼a 플립러닝
776 0 ▼t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수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w (DCOLL211009)000000268647
900 1 0 ▼a Jung, Janga, ▼e
900 1 0 ▼a 박인우, ▼g 朴仁雨, ▼d 1965-, ▼e 지도교수 ▼0 AUTH(211009)39936
900 1 0 ▼a Park, Innwoo, ▼e 지도교수
945 ▼a ITMT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수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71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3 413 등록번호 1630827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23 413 등록번호 1630827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초록

최근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 강화에 목적을 둔 학습자 중심 수업이 주목받고 있으며, 플립러닝이 그러한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이다. 이러한 새 교수학습 방법의 실현을 위해서는 교사가 관련 전문성을 갖춰야 하는데, 교사학습공동체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플립러닝이 소개되고 학교에 적용되는 과정에도 플립러닝을 연구하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역할이 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수자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로 미래교실네트워크 내 영어 교사들의 모임인 영주방과 꼬비에서 10인을 섭외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서면 설문과 개별 심층 면담을 실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교차 분석하여 코딩과 범주화 작업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 개선 욕구와 플립러닝 수업 적용’을 위해 교사학습공동체에 참가하였으며, 공동체에서 ‘수평적 배움과 협력적 나눔’을 경험하였고, 공동체는 ‘정서적 지지와 지속 가능성’을 특성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공동체를 통해 협력적으로 수업 사례를 공유하고 자신만의 수업 모델을 만듦으로써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확신’을 얻었으며 ‘교직 생활에서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 교사들은 플립러닝 수업을 하면서 ‘교사와 학생 관계의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플립러닝에서 나아가 ‘교사 자신을 위한 학습 욕구 발현과 충족’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플립러닝 수업을 하면서 학생들의 역량 변화를 경험하였다. 학생들은 활달하고 적극적으로 ‘수업을 주도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 학습자 중심 수업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내재 역량이 발현되고 필요 역량이 개발’되었으며, 중하위권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플립러닝과 교사학습공동체의 효과와 의미를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플립러닝뿐만 아니라 여러 혁신 교수학습 방법이 학교 현장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성공과 실패 경험을 공유하는 기반이 마련되고, 교사들이 이를 바탕으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시도하는 문화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 교사학습공동체의 긍정적인 효과를 교육 전반에 확산하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하며, 특히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와 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정량화된 자료를 통한 양적 연구를 시도하거나 학교급과 교과목을 다양화한다면 본 연구에서 얻었던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 관점에서 플립러닝 수업에 관한 경험을 연구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다면 학습자 중심 수업이라는 플립러닝의 핵심 가치는 더욱 공고해질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및 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1. 플립러닝	7
     가. 플립러닝의 개념	7
     나. 플립러닝의 특징과 교육적 효과	11
  2. 교사학습공동체	14
     가.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	14
     나.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징과 효과	17
     다. 교사학습공동체의 유형	20

Ⅲ. 연구 방법	22
  1. 연구 설계	22
     가. 질적 연구의 설계	22
     나. 연구 절차	23
  2. 연구 대상	24
     가. 연구 참여 교사학습공동체	24
     나. 연구 참여자	26
  3. 자료 수집	28
     가. 서면 조사	28
     나. 심층 면담	29
     다. 문서 자료	30
  4. 자료 분석	31
  5. 연구 과정 평가	32
     가. 연구 타당성 확보	32
     나. 윤리적 고려	34

Ⅳ. 연구 결과	35
  1. 플립러닝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37
     가. 공동체 참여 동기: 수업 개선 욕구와 플립러닝 수업 적용	37
        1) 수업 개선 욕구에 의한 자발적 참여	37
        2) 실행 동력 확보를 위한 학습공동체의 필요	38
        3) 플립러닝에 관한 관심과 수업 적용	40
     나. 공동체 학습 특징: 수평적 배움과 협력적 나눔	41
        1) 수평적 배움과 협력적 나눔	41
        2) 유연한 역할 분배 그리고 책임	43
     다. 공동체 운영 특성: 정서적 지지와 지속 가능성	44
        1) 구성원 간 친밀한 관계 형성	44
        2) 개인 역량 강화로 학습 영역 확장	45
        3)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	46
  2. 공동체가 교사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47
     가.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확신	48
        1) 교사 집단의 협력적 수업 사례 공유	48
        2) 교사 개인의 발전적 수업 구성 변형	49
     나. 교직 생활에서의 문제 해결	51
        1) 교직 생활에 관한 즉각적 문제 해결	51
        2) 정서적 연대와 지지	52
     다. 교사와 학생 관계의 긍정적 변화	53
        1) 학생에 대한 교사의 관점 변화	53
        2) 교사와 학생의 새로운 관계 형성	54
     라. 교사 자신을 위한 학습 욕구 발현과 충족	55
        1) 발전적 자기 성찰	55
        2) 다양한 소모임의 활발한 활동	56
  3. 플립러닝 수업으로 인한 학생의 역량 변화	57
     가. 수업을 주도하는 태도	57
        1) 활달하고 적극적인 수업 태도	57
        2) 영어 교과에 관한 관심과 흥미 증가	59
     나. 내재 역량 발현 및 필요 역량 개발	60
        1) 내재 역량 발현	60
        2) 필요 역량 개발	61
     다.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	62
        1) 학업 성취도 향상	62
        2) 디딤영상 학습의 효과	64

Ⅴ. 결론 및 제언	65
  1. 요약	65
  2. 결론	71
  3. 제언	73

참고문헌	74
부록	79
  [부록 1] 연구 설명서	79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81
  [부록 3] 인터뷰 기본 설문지	82
ABSTRACT	8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