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피로도 영향요인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피로도 영향요인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황혜원
서명 / 저자사항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피로도 영향요인 / 황혜원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형태사항
86장 ; 26 cm
기타형태 저록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피로도 영향요인   (DCOLL211009)000000268644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2022. 8
학과코드
0510   6M30   253  
일반주기
지도교수: 오원옥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장 61-74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응급실 간호사, 감염관리 피로도,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 간호역량, 긍정심리자본, 선도적 행위, Emergency nurse, Infection control fatigue, Infection control job stress, Nursing competenc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oactivity, COVID-19,,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6876
005 20230526171553
007 ta
008 220630s2022 ulk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30 ▼c 253
100 1 ▼a 황혜원
245 1 0 ▼a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피로도 영향요인 / ▼d 황혜원
246 1 1 ▼a Factors influencing on COVID-19 infection control fatigue among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s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86장 ; ▼c 26 cm
500 ▼a 지도교수: 오원옥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간호교육전공, ▼d 2022. 8
504 ▼a 참고문헌: 장 61-74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응급실 간호사 ▼a 감염관리 피로도 ▼a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 ▼a 간호역량 ▼a 긍정심리자본 ▼a 선도적 행위 ▼a Emergency nurse ▼a Infection control fatigue ▼a Infection control job stress ▼a Nursing competency ▼a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 Proactivity ▼a COVID-19
776 0 ▼t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피로도 영향요인 ▼w (DCOLL211009)000000268644
900 1 0 ▼a Hwang, Hyewon, ▼e
900 1 0 ▼a 오원옥, ▼g 吳苑玉, ▼d 1967-, ▼e 지도교수 ▼0 AUTH(211009)93360
900 1 0 ▼a Oh, Won-oak, ▼e 지도교수
945 ▼a ITMT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피로도 영향요인 (237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30 253 등록번호 1630827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M30 253 등록번호 1630827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초록

This descriptive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infection control job stress, nursing competenc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activity on the infection control fatigue experienced by emergency room nurses who have taken care of COVID-19 related patients (suspected or confirmed).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devising measures that will reduce the emergency room nurses’infection control fatigue. In total, 138 emergency room nurses were recruited from 3 K University Hospitals using convenience sampling.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emergency nurses’ regular characteristics, infection control fatigue, infection control stress, nursing competenc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activit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5.0.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infection control job stress (β=0.771, p<.001) and the low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0.183, p<.021), the higher the COVID-19 infection control fatigue among the emergency room nurses with a significance of 68%.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ise strategies that promot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reduce infection control job stress and mitigate COVID-19 infection control fatigue of emergency room nurses; subsequently, an intervention program, which fully considers these factors, must be developed.

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7
3. 용어의 정의	-8

Ⅱ. 문헌고찰	-10
1.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피로도	-10
2.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피로도 관련요인	-14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2
1. 연구설계 -22
2. 연구대상 -22
3. 연구도구 -24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27
5. 자료분석 방법 -28
6. 윤리적 고려	-29

Ⅳ. 연구결과	-30
1.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특성	-30
2.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피로도,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 간호역량, 긍정심리자본, 선도적 행위의 정도	- 32
3.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피로도 차이	-34
4.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피로도,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 간호역량, 긍정심리자본, 선도적 행위 간의 상관관계	-38
5.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감염관리 피로도 영향요인	-40

Ⅴ. 논의	-42
1. 응급실간호사의 감염관리피로도,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 간호역량, 긍정심리자본, 선도적행위	-42
2. 응급실간호사의 감염관리 피로도 영향요인	-50

Ⅵ. 결론 및 제언	-56

참고문헌	-61
부록	-75
ABSTRACT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