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의 정체성 탐색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의 정체성 탐색

Material type
학위논문
Personal Author
최영경
Title Statement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의 정체성 탐색 / 최영경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Physical Medium
98장 : 서식 ; 26 cm
기타형태 저록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의 정체성 탐색   (DCOLL211009)000000268643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2022. 8
학과코드
0510   6M30   252  
General Note
지도교수: 장성옥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장 83-88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PA 간호사, 정체성, 질적 연구, PA(Physician assistant),,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6875
005 20230530085007
007 ta
008 220630s2022 ulkk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M30 ▼c 252
100 1 ▼a 최영경
245 1 0 ▼a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의 정체성 탐색 / ▼d 최영경
246 3 ▼a PA 간호사의 정체성 탐색
246 1 1 ▼a Exploring the identity of Physician Assistant nurses in Korea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2022
300 ▼a 98장 : ▼b 서식 ; ▼c 26 cm
500 ▼a 지도교수: 장성옥
500 ▼a 부록수록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c 간호교육전공, ▼d 2022. 8
504 ▼a 참고문헌: 장 83-88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PA 간호사 ▼a 정체성 ▼a 질적 연구 ▼a PA(Physician assistant)
776 0 ▼t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의 정체성 탐색 ▼w (DCOLL211009)000000268643
900 1 0 ▼a Choi, Young Kyung, ▼e
900 1 0 ▼a 장성옥, ▼g 張晟玉, ▼d 1960-, ▼e 지도교수 ▼0 AUTH(211009)129877
900 1 0 ▼a Chang, Sung Ok, ▼e 지도교수
945 ▼a ITMT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의 정체성 탐색 (579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M30 252 Accession No. 1630827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M30 252 Accession No. 1630827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현대의학의 발달, 병원기능의 변화, 의료 인력 수급 문제 등으로 인해 2000년대부터 의료 현장에 PA 간호사가 활용되었지만 PA 간호사를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은 아직도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며, 임상 현장에서 근무하는 PA 간호사는 자신의 전문 직업적 정체성 확립에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A 간호사를 대상으로 스스로 인식하는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3개의 K대 상급종합병원 간호부 소속의 PA 간호사로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PA 간호사를 대상으로 총 12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경력과 병원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모집될 수 있도록 구분하여 6명씩 2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로 총 두 차례에 걸쳐 인터뷰를 시행하였고, 주제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PA 간호사의 정체성에 대해 여섯 가지의 핵심 주제가 도출되었다. PA 간호사는 자신을 의료 환경의 필요로 선택된 대체인력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업무적으로는 임상 현장에서 간호사이지만 의사처럼 의료행위를 하는 존재, 그리고 환자에게 만큼은 소중한 존재로 인식되길 바라는 존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PA 간호사는 자신의 임상 실무를 위한 지식의 근원지에 대해 고찰하면서 나의 전문성은 어디에 뿌리를 둔건가, 자신의 의료행위에 대해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없음에 나의 업무는 어디서 보호받는가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명확한 업무 규정이 없어 PA 간호사의 길을 스스로 개척해나가야 하는 부분에 대해 인정받지 못하는 길라잡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PA 간호사의 정체성에 대해 탐색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PA 간호사 실무를 이해하고 PA 간호사 제도의 발전과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A nurses have been utilized in the medical field since the 2000s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changes in hospital functions, and problems with supply and demand of medical personnel, bu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PA nurses is still not clear. PA nurses working in clinical settings experience confusion in establish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dentity recognized by PA nurses. A total of 12 PA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for more than one year as PA nurses belonging to the nursing department of three University general hospitals were recruited.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February 1 to March 31, 2022, and the focus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6 people each so that they could be recruited in a variety of ways considering their careers and hospitals. As for the interview, a total of two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and fou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analysis was a thematic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six key themes were derived about the identity of PA nurses. PA nurses perceived themselves as substitutes selected for the needs of the medical environment. Although they are nurses, they were beings who acted like doctors in the clinical setting.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driving force that maintained their presence was the existence that they wanted to be recognized as a crucial person to patients. The PA nurses were thinking about the source of their knowledge for their clinical practice, where their expertise was rooted, and where their work was protected because their medical practice could not be legally protected. In addition, there were no clear work regulations, so they were aware that it was a guide that was not recognized for the part where they had to pioneer the path of a PA nurse on their ow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the identity of PA nurses, and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practice of PA nurses in Korea and help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A nurse system and policy preparation.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Ⅱ. 문헌고찰	5
1. 한국의 PA 간호사와 전문간호사	5
2. 미국의 PA와 전문간호사	9
3.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13
Ⅲ. 연구 방법	15
1. 연구 설계	15
2. 연구대상	16
3. 자료 수집	18
4. 연구 절차	19
5. 자료 분석	24
6. 윤리적 고려	26
7.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 확보	27
Ⅳ. 연구 결과	29
Ⅴ. 논의	70
Ⅵ. 결론 및 제언	80
참고 문헌 	83
부    록	89
[부록 1] IRB 심사결과 통보서	89
[부록 2] 연구대상자 모집 공고문	91
[부록 3] 연구 참여 설명서	92
[부록 4] 연구대상자 동의서	94
[부록 5]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서	95
[부록 6] 일반적 특성 조사지	96
Abstract	9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