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6774 | |
005 | 20230803111757 | |
007 | ta | |
008 | 220906s2021 ggk b 001c kor | |
020 | ▼a 9791188466184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5846234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9/17 ▼2 23 |
085 | ▼a 616.8917 ▼2 DDCK | |
090 | ▼a 616.8917 ▼b 2020z2 ▼c 3 | |
100 | 1 | ▼a Meltzer, Donald, ▼d 1922-2004 ▼0 AUTH(211009)154103 |
245 | 1 0 | ▼a 클라인학파 정신분석의 전개. ▼n 3, ▼p 비온 : 비온 저작의 임상적 의미 / ▼d 도널드 멜처 지음 ; ▼e 홍준기 옮김 |
246 | 1 9 | ▼a The Kleinian development. ▼n 3, ▼p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work of Bion |
246 | 3 9 | ▼a Kleinian development. ▼n 3, ▼p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work of Bion |
260 | ▼a 남양주 : ▼b 눈, ▼c 2021 | |
300 | ▼a 261 p. ; ▼c 23 cm | |
500 | ▼a 부록: 비온의 '알파기능의 역전' 개념에 관한 논평 | |
504 | ▼a 참고문헌(p. 19)과 색인수록 | |
600 | 1 0 | ▼a Klein, Melanie |
600 | 1 0 | ▼a Bion, Wilfred R. ▼q (Wilfred Ruprecht), ▼d 1897-1979 |
600 | 1 0 | ▼a Freud, Sigmund, ▼d 1856-1939 |
650 | 0 | ▼a Psychoanalysis ▼x History |
650 | 0 | ▼a Child analysis ▼v Case studies |
700 | 1 | ▼a 홍준기, ▼g 洪準基, ▼d 1962-, ▼e 역 ▼0 AUTH(211009)117724 |
900 | 1 0 | ▼a 멜처, 도널드,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 청구기호 616.8917 2020z2 3 | 등록번호 1118688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정신분석적 관찰 방법, 임상 작업, 이론에 초점을 맞추면서, 프로이트로부터 출발해 아브라함을 거쳐 클라인과 비온에 이르기까지 정신분석의 발달 노선을 추적하는 책이다. 이들의 일치점과 차이점, 변화의 쟁점을 부각시킴으로써 '클라인 학파'의 임상 방법론과 사고의 핵심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비온에 대한 본격적 이해를 돕는 훌륭한 안내서
멜처의 이 명저는 정신분석적 관찰 방법, 임상 작업, 이론에 초점을 맞추면서, 프로이트로부터 출발해 아브라함을 거쳐 클라인과 비온에 이르기까지 정신분석의 발달 노선을 추적한다. 이들의 일치점과 차이점, 변화의 쟁점을 부각시킴으로써 그는 '클라인 학파'의 임상 방법론과 사고의 핵심적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프로이트, 클라인, 비온의 정신분석을 공부하는 학생, 임상가, 그리고 '정신분석적으로 사고하기'의 발달 과정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에게 매우 귀중한 저서다.
- 데비 힌들 (스코틀랜드 인간관계 연구소)
이 책은 비온의 사유를 학문적·임상적 통찰력, 정신분석 역사에 대한 풍부한 지식, 재치 있는 유머 또는 때로는 '독설'로 채우거나 비우고 비틀면서, 비온 연구를 위한 훌륭한 안내자가 되었다. 비온에 대해 본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중요한 비온 문헌에 속한다.
- 「역자 후기 및 해제」 중에서
정보제공 :

저자소개
도널드 멜처(지은이)
(1923-2004) 뉴욕에서 출생했고 예일대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아동과 가족 분야를 전공한 정신과 의사로 임상 활동을 한 후 1950년대에 클라인과의 분석 작업을 위해 영국으로 이주했고, 영국정신분석협회에서 훈련 분석가로 활동했다. 그는 성인과 아동 모두와 작업했으며, 자폐증 아동 치료 분야에서 혁신적이었다. 그의 저작들은 여러 언어로 출간되었으며 정신분석 교육에서 영향력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저서로는 『정신분석적 과정』, 『정신의 성적 상태들』, 『자폐증 연구』, 『클라인학파 정신분석의 전개』, 『꿈의 삶』, 『미의 인식』, 『전장(Claustrum)』, 『가족의 교육적 역할 : 정신분석적 모델』이 있다. 슈퍼비전 세미나의 편집본으로는 『베니스의 멜처』, 『상파울루의 멜처』, 『파리의 멜처』가 있다.
홍준기(옮긴이)
서울대 법과대학과 총신대 신학대학원을 졸업했고, 독일 브레멘 대학, 파리10대학에서 수학한 후 라캉과 알튀세르에 관한 논문으로 브레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 연구소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정신분석가, 철학자로 활동 중이다. 파리의 라캉주의 분석가로부터 교육분석을 받았다. 저서로는 『라캉과 현대철학』,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남자의 성, 여자의 성』, 『라캉의 재탄생』(공저), 『피케티의 ‘21세기 자본’과 사회적 국가』 등이 있다. 특히 최근 저작인 『라캉, 클라인, 자아심리학』에서 정신분석 이론과 역사를 해설하고 클라인 정신분석을 재구성하면서 라캉의 『에크리』와 『세미나』를 비판적으로 철저히 재해석했다. 『강박증 : 의무의 감옥』, 『라깡과 정신분석임상』, 『제2의 사고』, 『변형들』, 『클라인의 정신분석 테크닉 강의』, 『현대적 관점의 클라인 정신분석』 등 다수의 역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목차
저자 소개 편집자 서문(멕 해리스 윌리엄스) 서론 및 참고문헌 1장. 집단에서의 경험 2장. ‘집단 역동’에 대한 재검토와 ‘상상적 쌍둥이’ 3장. 정신분열증 논문들 4장. 사고하기에 관한 이론에의 접근 5장. 알파기능과 베타요소 6장. 담는 것과 담기는 것 : 배우기의 원형 7장. 정신분석의 요소들과 정신분석적 대상 8장. 사고의 활용에서 신화의 역할 9장. 정신분석적 관찰과 변형 이론 10장. 분석적 진리와 다수의 정점의 작용 11장. ‘되기’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에 관하여 배우기’ 12장. 기억과 욕망의 속박 13장. 정신분석적 쌍과 집단 14장. 재검토 : 파국적 변화와 방어 메커니즘 부록 : 비온의 ‘알파기능의 역전’ 개념에 관한 논평 역자 후기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