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조선 국왕의 군대 사용법

조선 국왕의 군대 사용법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원창애, 저 주영하, 저 나영훈, 저 이왕무, 저 정정남, 저 송양섭, 저 윤진영, 저 노영구, 저 김충현, 저 정해은, 저
Title Statement
조선 국왕의 군대 사용법 / 원창애 외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2  
Physical Medium
286 p. : 삽화 ; 20 cm
Series Statement
고전탐독 ;15 - 훈국등록
ISBN
9791158666750
General Note
공저자: 주영하, 나영훈, 이왕무, 정정남, 송양섭, 윤진영, 노영구, 김충현, 정해은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82-285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6749
005 20220906135026
007 ta
008 220906s2022 ggka b 000c kor
020 ▼a 9791158666750 ▼g 03910
035 ▼a (KERIS)BIB000016386779
040 ▼a 341054 ▼c 341054 ▼d 211009
082 0 4 ▼a 355.009519 ▼2 23
085 ▼a 355.00953 ▼2 DDCK
090 ▼a 355.00953 ▼b 2022z1
245 0 0 ▼a 조선 국왕의 군대 사용법 / ▼d 원창애 외 지음
260 ▼a 성남 : ▼b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c 2022
300 ▼a 286 p. : ▼b 삽화 ; ▼c 20 cm
490 1 0 ▼a 고전탐독 ; ▼v 15 - 훈국등록
500 ▼a 공저자: 주영하, 나영훈, 이왕무, 정정남, 송양섭, 윤진영, 노영구, 김충현, 정해은
504 ▼a 참고문헌: p. 282-285
536 ▼a 이 책은 2017년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자료의 현대화 연구사업 과제로 수행된 연구임 ▼g (AKSR2017-J04)
700 1 ▼a 원창애, ▼e
700 1 ▼a 주영하, ▼e
700 1 ▼a 나영훈, ▼e
700 1 ▼a 이왕무, ▼e
700 1 ▼a 정정남, ▼e
700 1 ▼a 송양섭, ▼e
700 1 ▼a 윤진영, ▼e
700 1 ▼a 노영구, ▼e
700 1 ▼a 김충현, ▼e
700 1 ▼a 정해은, ▼e
830 0 ▼a 고전탐독 ; ▼v 15 - 훈국등록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0953 2022z1 Accession No. 11186885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숙종 시대 『훈국등록』의 내용을 군사훈련, 산성 축성, 둔전 경영, 능행, 호궤, 면신례 등의 10개 주제로 엮어 소개한다. 군 통수권자로서 숙종은 양난의 아픈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신무기 개발, 새로운 군사편제와 전법 모색, 왜검술 도입 등 군사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훈련도감 군병을 주인공으로 새롭게 그려낸 역사의 장면들이 조선 사회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흥미를 갖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7세기 조선은 임진왜란 및 명·청 교체기의 동아시아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국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중앙 군대를 새롭게 재편했다. 이들 중 가장 먼저 설립된 훈련도감의 군병은 급료를 받는 최초의 직업 군인으로서 국왕 호위와 도성 방어를 전담했다. 임진왜란 중에 설립되어 1882년 폐지될 때까지 약 300년간 유지된 훈련도감은 이 기간 동안 일지 형식으로 베껴 쓴 공문서 자료집인『훈국등록』93책을 남겼는데, 이 사료를 통해 훈련도감의 주요 기능은 물론 군대의 일상, 군병들의 거주지였던 한성 안팎의 풍속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은 숙종 시대『훈국등록』의 내용을 군사훈련, 산성 축성, 둔전 경영, 능행, 호궤, 면신례 등의 10개 주제로 엮어 소개한다. 군 통수권자로서 숙종은 양난의 아픈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신무기 개발, 새로운 군사편제와 전법 모색, 왜검술 도입 등 군사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연하친병’이라 불리던 훈련도감 군병들은 국왕을 가까이에서 호위하며 국왕의 특별한 관심과 보살핌을 받았다. 그들은 능행과 군사훈련의 수고를 치하하는 호궤에서 특별한 날에 정해진 계층만 먹을 수 있는 쇠고기와 최상품 술을 맛볼 수 있었고, 궁핍을 면하도록 신발, 망건 등 각종 물품과 군기의 제조 판매까지 허락받았으며, 민.형사 사건에 연루된 경우에도 특혜를 입었다. 그러나 현실에서 그들은 도성 하층민의 생활을 면하지 못했고, 1만 명이 넘는 훈련도감의 최정예 군병들은 생계를 위해 도성의 궂은일까지 도맡아하는 부역민으로 살아갔다. 훈련도감 군병을 주인공으로 새롭게 그려낸 역사의 장면들이 조선 사회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흥미를 갖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주영하(지은이)

1962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마산고등학교 2학년 때 읽은 리영희 교수의 《8억인과의 대화》에 감동받아 서강대학교 사학과에 진학했다. 대학을 졸업한 후 1986년 (주)풀무원에 입사했고, 얼마 후 생긴 김치박물관에서 1994년 7월까지 학예연구원으로 있었다. 그곳에서 김치를 비롯한 한국음식의 문화인류학적 조망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993년 12월 한양대학교 대학원 문화인류학과에서 〈김치의 문화인류학적 연구〉라는 석사학위 논문을 발표해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열일곱 살 때부터 꿈꾸었던 중국으로의 장정을 위해 직장을 그만두고 1994년 9월 베이징에 있는 중앙민족대학(中央民族大學) 민족학과 박사 과정에 입학했다. 쓰촨, 윈난, 구이저우 3성(省)을 전공 지역으로 한 소수민족연구는 역사학과 인류학을 기초로 해 수행된 역사민족학이었다. 특히 쓰촨성 량산(凉山) 지역에 사는 170여 만 명의 롤로족에 관심을 가졌고 1998년에는 박사학위 논문으로 그들이 현재 식기로 사용하는 칠기를 대상으로 〈中國四川凉山彝族傳統漆器硏究〉를 썼다. 이 책은 1996년에서 1997년 사이에 중국에서 수행했던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씌어졌다. 오늘날 급속하게 변하는 현지 사정과 책 내용은 많이 다를 수 있다. 2001년 한국학중앙연구원(옛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의 민속학 전공 교수가 된 이후에는 한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민속학과 음식사 연구를 진행하면서 음식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동아시아 요리책의 문화사와 음식구술사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는 《김치, 한국인의 먹거리—김치의 문화인류학》, 《음식전쟁 문화전쟁》, 《그림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역사》, 《차폰 잔폰 짬뽕: 동아시아 음식문화의 역사와 현재》, 《맛있는 세계사》, 《음식인문학: 음식으로 본 한국의 역사와 문화》, 《밥상을 차리다: 한반도 음식 문화사》, 《식탁 위의 한국사: 메뉴로 본 20세기 한국 음식문화사》 등이 있으며, 번역한 책으로는 《중국음식문화사》가 있다.

이왕무(지은이)

경기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조선후기 국왕의 능행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조대왕 능행차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왕실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장서각과 궁내청 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왕공족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수행 중이다. 『조선 국왕의 군대 사용법』(공저), 『일제강점기 이왕직 연구』(공저), 『조선왕실의 군사의례』, 『한양의 삼군영』(공저) 등의 저서가 있다.

노영구(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동 대학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국방대학교 교수부장 등을 거쳐 현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한국 전근대 전쟁 및 군사사 등 분야에서 『한국군사사』7(경인문화사, 2012), 『영조 대의 한양 도성 수비 정비』(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조선중기 무예서 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조선후기의 전술』(그물, 2016), 『연병지남ㅡ북방의 기병을 막을 조선의 비책』(아카넷, 2017),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와 경기도』(경기문화재단, 2018), 『한양의 삼군영』(서울역사박물관, 2019)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 연구 논문 및 정책보고서 등을 발표하였다. 한국역사연구회, 문헌과 해석, 한국군사사학회 등의 학회 활동과 함께 일본 防衛硏究所 戰史硏究센터 객원연구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군사문제연구센터장 등을 역임하였다.

윤진영(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미술사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호림박물관 학예연구원으로 일했고 한국민화학회 학회장을 지냈다. 서울특별시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사전편찬부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미술사학 전공. 저서로 『조선 궁궐의 그림』, 『왕의 화가들』,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이상 공저), 『조선시대의 삶, 풍속화로 만나다』 등이 있다.

정해은(지은이)

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무관과 여성 등 비주류의 삶을 통해 조선 사회를 탐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 엄마의 태교법』(2018,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8년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 사업’ 선정작), 『신사임당전-역사 속 신사임당, 그녀는 누구인가?』(2017), 『조선의 여성 역사가 다시 말하다』(2011), 『고려, 북진을 꿈꾸다』(2009,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2009 우수저작 및 출판지원사업’ 당선작), 『한국 전통 병서의 이해』(1, 2)(2004, 2008)가 있다. 주요 공저로 『국왕과 양반의 소통 구조』(2019, 공저), 『국왕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2019, 공저), 『군영 밖으로 달아난 한양 수비군』(2019, 공저) 등이 있다.

원창애(지은이)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18년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현재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연구교수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선시대 과거, 관료 연구 그리고 왕실 구성원 등이다. 논저로는 『조선 왕실의 계보와 구성원』, 『국왕과 양반의 소통구조』(공저), 『국왕과 민의 소통 구조』(공저) 등 다수 있다.

송양섭(지은이)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조선후기 사회경제사 전공. 「18~19세기 동래부 동하면의 ‘면중(面中)’과 잡역운영」, 「다산 정약용의 戶口運營論-『목민심서』를 중심으로」 등

김충현(지은이)

조선시대 문화사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조선전기 壽陵制度의 변화와 그 의미」, 「『明陵先生案』을 중심으로 본 조선 후기 陵官의 변화와 운용」, 『조선 왕릉 사전』(공저) 등

정정남(지은이)

건축 역사와 이론 연구를 해왔고, 조선시대 주택 연구로 경기대학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학술연구교수와 경기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는 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대표로 있다. 관련 분야 저서로는 『영건의궤 : 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건축』(2010), 『인정사정, 조선군대 생활사』(2017), 『일기를 통해 본 양반들의 일상세계』(2018), 『조선후기 중앙군영과 한양의 문화』,(2018), 『군영밖으로 달아난 한양 수비군』(2019), 『왕실서고 봉모당의 건립과 운영』(2020) 등이 있다

나영훈(지은이)

조선시대사 전공, 한국국학진흥원 연구원. 주요 논저로 『청우 김약제 일기-격랑의 시대를 산 19세기 지식인의 기억과 기록』, 『경복궁 중건 천일의 기록』, 『조선시대 ‘경기’ 연구』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 숙종이 마련한 4026명의 군인을 위한 잔치_주영하
2 북한산성 축성을 주도한 훈련도감_나영훈
3 훈련도감 군병 가족의 서울 생활_이왕무
4 공병으로 변모한 훈련도감군_정정남
5 훈련도감의 둔전 경영_송양섭
6 면신, 군영의 신고식 관행_윤진영
7 말 타는 훈련도감 군병_노영구
8 경신환국와 훈련대장 유혁연_원창애
9 행행과 능행의 정치학_김충현
10 훈련도감의 군사훈련 현장을 찾아서_정해은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