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일제강점기 초등교육 정책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광규, 金廣珪, 1975-
서명 / 저자사항
일제강점기 초등교육 정책 / 김광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21  
형태사항
437 p. : 삽화, 연표 ; 24 cm
총서사항
일제침탈사 연구총서 ;38 - 문화
ISBN
9788961876711 9788961876698 (세트)
일반주기
부록: 1. 자료, 2. 연표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서지주기
참고문헌(p. 424-432)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6219
005 20230804095456
007 ta
008 220831s2021 ulkaj b 001c kor
020 ▼a 9788961876711 ▼g 94910
020 1 ▼a 9788961876698 (세트)
035 ▼a (KERIS)BIB000016231482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951.903 ▼2 23
085 ▼a 953.06 ▼2 DDCK
090 ▼a 953.06 ▼b 2021z18 ▼c 38
100 1 ▼a 김광규, ▼g 金廣珪, ▼d 1975- ▼0 AUTH(211009)154177
245 1 0 ▼a 일제강점기 초등교육 정책 / ▼d 김광규 지음
260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1
300 ▼a 437 p. : ▼b 삽화, 연표 ; ▼c 24 cm
490 1 0 ▼a 일제침탈사 연구총서 ; ▼v 38 - 문화
500 ▼a 부록: 1. 자료, 2. 연표
500 ▼a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504 ▼a 참고문헌(p. 424-432)과 색인수록
830 0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38 - 문화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청구기호 953.06 2021z18 38 등록번호 51105443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8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초등교육 정책이 수립된 이유와 배경, 정책이 실제로 시행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들, 정책에 대한 조선인의 대응을 집중해서 다루었다. 또한 학교 제도부터 교육 과정과 교과서, 교원, 학생, 학교의 일상, 교육재정 등 여러 주제를 포괄했다.

무엇보다 관보나 통계연보를 비롯해서 기타 조선총독부가 생산해낸 공문서 등 관찬 사료뿐 아니라 당시의 신문과 잡지 기사, 개인의 일기나 회고록 등 다종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자칫 건조해지기 쉬운 정책사 서술을 가능한 한 생생하고 풍부한 이미지로 형상화하고자 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초등교육 정책이 수립된 이유와 배경, 정책이 실제로 시행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들, 정책에 대한 조선인의 대응을 집중해서 다루었다. 또한 학교 제도부터 교육 과정과 교과서, 교원, 학생, 학교의 일상, 교육재정 등 여러 주제를 포괄했다. 무엇보다 관보나 통계연보를 비롯해서 기타 조선총독부가 생산해낸 공문서 등 관찬 사료뿐 아니라 당시의 신문과 잡지 기사, 개인의 일기나 회고록 등 다종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자칫 건조해지기 쉬운 정책사 서술을 가능한 한 생생하고 풍부한 이미지로 형상화하고자 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우리 역사상 가장 암울한 시기였던 일제강점기에 초등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졌고, 그 현장은 과연 어땠는지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기 바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광규(지은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천 관내 중등학교 역사교사로 재직했고 고려대학교, 인천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현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우리 역사 어떻게 읽고 생각할까』(공저)가 있고, 논문으로 「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 조선인 유학생 연구」, 「일제강점기 학교의 이면: 성차별과 성폭력」, 「조선의 ‘문검’ 합격자들」, 「조선의 ‘교육효적자(敎育效積者)’-식민권력이 표창한 모범교원들」, 「1920년대 경성사범학교 졸업생의 교직 생활」, 「중·고등학생 역사교육의 또 다른 장: 우리 역사 바로 알기 대회」, 「6·25전쟁 수업에서 ‘전쟁영웅’을 어떻게 이야기 할 것인가」, 「전쟁사 수업에서 참전군인 이야기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발간사 4
편찬사 7
머리말 12
제1장 근대개혁기 초등교육의 전개와 굴절
1. 1894년 소학교·사범학교 설립과 근대 초등교육의 시작 24
2. 소학교 확산과 교원 양성·임용제도의 정비 32
3. 일제 통감부의 교육 침투와 교육구국운동의 전개 60

제2장 일제 강점 초기(1910~1919): 폭압적 차별교육의 제도화
1. 무단통치에 바탕을 둔 조선인 초등교육 방침 102
2. 제1차 조선교육령에 따른 초등교육 정책 114
3. 일본인 교원의 학교 장악 144
4. 사립학교 정책 156
5. 「공립보통학교비용령」 제정·시행과 공립보통학교의 재정 운영 171

제3장 1920년대(1919~1929): 동화와 차별의 혼종
1. 3·1운동 후 일제 통치 방침과 초등교육 정책의 변화 180
2. 보통학교 입학난과 조선총독부의 대응 207
3. 공립보통학교의 확장과 교육재정 문제 225
4. 사범학교 제도의 부활과 민족 차별 239

제4장 1930년대(1929~1938): 실업교육 강화와 교육의 질 저하
1. 1929년 초등교육 정책의 변화 246
2. 1929년 「서당규칙」 개정과 서당·강습회 이용책 276
3. 간이학교 제도의 시행 283
4. 교원 양성 제도의 변개 298

제5장 일제 말(1938~1945): 전쟁과 교육의 붕괴
1. 제3차 조선교육령에 의한 초등교육제도의 변화 306
2. 1941년 국민학교 제도 시행과 교육 과정 개편 313
3. 징병제 시행과 초등교육 의무교육제도 도입 333
4. 초등학생의 전쟁 동원 337
5. 교원 부족의 만성화와 임시변통적 충원 341

제6장 일제 초등교육 정책에 맞선 교원과 학생
1. 교원의 저항 352
2. 학생·학부모의 저항: 보통학교 동맹휴학 370

맺음말 403
부록 409
참고문헌 424
찾아보기 433

관련분야 신착자료

조원창 (2023)
정연식 (2023)
여인석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