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6147 | |
005 | 20230804091212 | |
007 | ta | |
008 | 220831s2021 ulk 000c dkor | |
020 | ▼a 9791158588106 ▼g 03190 | |
035 | ▼a (KERIS)BIB000015963813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951.902092 ▼2 23 |
085 | ▼a 953.052092 ▼2 DDCK | |
090 | ▼a 953.052092 ▼b 2021z4 | |
100 | 1 | ▼a 양형일, ▼g 梁馨日, ▼d 1951- ▼0 AUTH(211009)154164 |
245 | 2 0 | ▼a (시대를 초월한 리더) 세종 : ▼b 대한민국 천년의 미래를 묻다 / ▼d 양형일 |
260 | ▼a 서울 : ▼b 밥북, ▼c 2021 | |
300 | ▼a 381 p. ; ▼c 23 cm | |
600 | 0 0 | ▼a Sejong, ▼c King of Korea, ▼d 1397-1450 |
600 | 0 4 | ▼a 세종, ▼g 世宗, ▼c 조선 4대왕, ▼d 1397-1450 |
650 | 0 | ▼a Political leadership ▼z Korea ▼x History |
651 | 0 | ▼a Korea ▼x Politics and government ▼y 1392-1637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2092 2021z4 | 등록번호 1118685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세종대왕은 한글 창제 외에도 국경선 설정과 국방력 강화, 애민과 인권신장, 법령과 제도 확립, 과학기술 개발 등, 우리가 자세히 모르는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런 세종의 위대한 업적과 함께 그의 인간적 면모부터 지도자로서 지녔던 신념과 철학, 경륜, 리더십 등을 조명하며, 이 나라의 천년을 내다본 지도자로서 세종을 만나게 하는 책이다. 선진국에 진입했다는 대한민국이지만, 여전히 정치와 사회는 혼미하고 미래는 불투명한 상황에서, 세종을 통해 대한민국이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아보는 책인 것이다.
위대한 업적부터 인간적 면모, 신념과 철학, 리더십까지
시대를 초월한 지도자 세종에게서 찾는 대한민국의 미래
세종대왕은 한글 창제 외에도 국경선 설정과 국방력 강화, 애민과 인권신장, 법령과 제도 확립, 과학기술 개발 등, 우리가 자세히 모르는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런 세종의 위대한 업적과 함께 그의 인간적 면모부터 지도자로서 지녔던 신념과 철학, 경륜, 리더십 등을 조명하며, 이 나라의 천년을 내다본 지도자로서 세종을 만나게 하는 책이다. 선진국에 진입했다는 대한민국이지만, 여전히 정치와 사회는 혼미하고 미래는 불투명한 상황에서, 세종을 통해 대한민국이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아보는 책인 것이다.
이렇게 기획된 책은 학자로서 꾸준히 세종을 연구해 온 저자가 실록과 역사적 자료를 토대로 사실적으로 세종을 소개한다. 책은 저자의 주관적 평가를 최대한 배제한 채 철저히 사료에 근거하여 세종을 조명한다. 책에는 인간으로서, 그리고 군주로서 백성과 나라의 앞날을 위해 세종이 했던 고뇌가 사실대로 나타나고, 그가 이룬 수많은 업적의 바탕이 무엇이었는지가 세밀하게 드러난다.
책은 이렇게 세종의 진면목을 통해 오늘날 대한민국의 기초를 누가 쌓았는지, 이 민족과 나라의 정체성은 무엇인지 확연히 깨닫게 하며, 대한민국 천년의 미래와 지도자의 모습을 만나게 한다.
<600년 전 군주로서 민주적 리더십을 보여준 영원한 지도자>
훌륭한 지도자를 만나는 건 국민에게 축복이다. 지도자에 따라 나라의 운명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훌륭한 지도자는 먼 미래를 보는 탁월한 식견이 필요하다. 우리 역사에서 훌륭한 지도자도 많지만 세종처럼 먼 미래의 지평을 내다본 이는 지금껏 없다.
세종은 스스로 쉼 없이 공부하여 출중한 지식과 실력을 쌓았고, 그만큼 먼 미래를 내다보는 통찰력을 갖추었으며, 투철한 책임감으로 모든 걸 임금의 탓으로 여겼다. 또 천민도 똑같은 백성으로 아끼고 사랑하여 노비에게 출산휴가를 주고, 신분을 가리지 않는 1인 1표 여론조사를 시행했다. 넉넉한 품으로 차별하지 않는 포용력과 관대함을 보여주었고, 사람을 쓰는 데도 신분보다 능력을 우선하는 지도자였다.
세종은 위대한 업적 외에도 이처럼 600년 전 군주로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민주적 지도자로서 자질과 품성을 갖추었다. 그가 시대를 초월한 지도자로, 대한민국 천년의 미래를 물어야 할 지도자로 손색이 없는 이유이다.
<천고일제, 세종이 보여주는 사람의 길과 국가의 길>
천년에 한 번 나오는 지도자를 가리켜 ‘천고일제(千古一帝)’라고 한다. 우리 역사에서 천고일제는 존재했을까?
오랫동안 세종을 연구해 온 저자는 세종이야말로 이 나라의 천고일제임을 확신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가 다시 세종과 같은 지도자를 만나야만 이 나라가 더 밝은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이 책을 펴내기에 이르렀다.
저자는 누구라도 세종의 업적과 행적을 제대로 안다면 천고일제로서 세종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고, 그럼으로써 제대로 된 지도자를 만나고 희망의 미래도 그려질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저자는 지도자이든, 일반 국민이든 우리가 제대로 세종을 만난다면, 사람의 길도 보이고 국가의 길도 보일 것이라고 강조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작가의 말 제1장 군주의 길 때가 오다 / 준비된 자리 / 실력과 수신으로 쌓은 내공 / 책에서 길을 찾다 / 모든 게 임금 탓 / 알아야 보인다 / 군주로서의 꿈 제2장 애민의 길 임금의 존재 이유는 백성 / 애민과 민생의 핵심 윤리 / 임금의 무능은 백성의 굶주림 / 조선의 농사법을 개발하다 / 백성의 목숨이 곧 임금 목숨 / 의료 체계를 세우다 / 부녀자를 위한 의녀 제도의 정착 / 천민도 사람이다 / 죄는 미워도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 / 사형수라도 그 집행은 3년 후에 하라 / 신분보다 능력을 보다 제3장 사람을 키우다 공정한 인재 등용 / 인재의 능력을 키운 용인술 / 청빈의 맹사성 / 행정의 달인, 황희 / 함께한 인재들과 이후의 갈림길 / 박연의 재능을 알아보다 / 천민 장영실 발탁과 과학기술의 발전 / 일찌감치 깨달은 수학의 중요성 / 수학자 김빈을 키우다 / 이순지와 김담이 세운 천문과 역법의 기틀 / 과학기술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긴 맹장 이천 제4장 통치의 길 경연 1. 배움과 토론, 견제의 장 / 경연 2. 정책을 발굴하고 백성의 처지를 새기다 / 교육의 토대를 닦다 / 독도를 표시한 ‘세종실록지리지’ 등의 서책 편찬 / 나라와 백성을 위하는 게 대의 / 신뢰를 거두지 않는 인사관리 / 신하에게도 인정한 의사결정의 몫 / 넓은 품으로 직언에 귀 기울이다 / 때론 질책과 분노로 이끌다 / 신분 사회에서의 동등한 한 표 여론조사 제5장 위대한 유산, 한글 한글이 없었다면… / 백성이 쉽게 배울 수 있는 문자 / 우리 글과 자주국 조선 / 세종의 독자적 창작물, 세계 유일 창제 문자 / 한글 창제에 담긴 먼 미래의 지평 / 문화대국 대한민국의 본바탕 제6장 넘볼 수 없는 나라 국방력 없이는 나라도 없다 / 화포 개발, 28년의 집념 / 국경선을 세우고 지키다 / 김종서에 보내는 세종의 신의 / 김종서의 충심 / 최윤덕과의 아름다운 군신관계 제7장 인간 세종 검약의 철학 / 배려와 수범 / 지극한 효심과 정표문려 / 예법과 격식보다 실용성 / 영원한 사랑, 소헌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