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5957 | |
005 | 20230808093834 | |
007 | ta | |
008 | 220826s2022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5084580 ▼g 93910 | |
035 | ▼a (KERIS)BIB000016378833 | |
040 | ▼a 211017 ▼c 211017 ▼d 211009 | |
082 | 0 4 | ▼a 951.901 ▼2 23 |
085 | ▼a 953.032 ▼2 DDCK | |
090 | ▼a 953.032 ▼b 2022z2 | |
100 | 1 | ▼a 김강훈, ▼d 1982- ▼0 AUTH(211009)154316 |
245 | 1 0 | ▼a 고구려부흥운동 연구 / ▼d 김강훈 |
260 | ▼a 서울 : ▼b 학연문화사, ▼c 2022 | |
300 | ▼a 351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316-341)과 색인수록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32 2022z2 | 등록번호 1118684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머리말 1. 연구 목적과 의의 2. 연구 동향 검토 3. 연구 방법 및 내용 구성 제1장 부흥운동의 발생 배경 1. 당의 고구려 고지 지배 시도 2. 압록수 이북 현황 자료로 본 유민의 동향 3. 고구려 고지와 유민에 대한 신라의 인식 제2장 요동지역 및 평양성ㆍ한성 권역의 부흥운동 1. 요동지역의 부흥운동과 검모장 2. 평양성ㆍ한성 권역 안승의 ''부흥고구려국'' 수립 제3장 부여성 및 책성 권역의 부흥운동 1. 부여성 권역의 부흥운동 2. 책성 권역의 부흥운동과 고정문 제4장 부흥운동 종말기 보장왕의 활동 1. 보장왕의 요동 귀환과 부흥운동의 추진 2. 신라의 동향으로 본 부흥운동의 실패 맺음말 : 고구려부흥운동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 별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