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너머에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상돈, 李相暾, 1961-, 저 주승희, 朱勝姬, 1971-, 저 양천수, 梁千秀, 1971-, 저 홍승희, 洪丞希, 1973-, 저 이상현, 李尙玹, 1973-, 저 홍성수, 洪誠秀, 1975-, 저 안성조, 安晟助, 1974-, 저 권순민, 權純民, 1971-, 저 이정민, 李定玟, 1974-, 저 김대근, 저 주현경, 周炫境, 1978-, 저 최민영, 崔民令, 1978-, 저 정구태, 鄭求兌, 1978-, 저 이소영, 李昭永, 1979-, 저 박미랑, 1980-, 저 정채연, 丁彩姸, 1983-, 저 민윤영, 閔允令, 1983-, 저 박혜림, 저 하민경, 河旻俓, 1983-, 저 김지원, 저 홍가혜, 1985-, 저 오민용, 吳旻龍, 1978-, 저 김문정, 金文正, 1985-, 저 신효성, 저 권지혜, 權知慧, 1988-, 저 함현지, 저 한민정, 저 박민정, 저 조영석, 저 손보미, 저 최샘, 저 李颖峰, 저 오가소, 저
서명 / 저자사항
법,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너머에 / 이상돈 외저
발행사항
파주 :   法文社,   2022  
형태사항
vi, 373 p. : 삽화 ; 24 cm
ISBN
9788918913254
일반주기
공저자: 주승희, 양천수, 홍승희, 이상현, 홍성수, 안성조, 권순민, 이정민, 김대근, 주현경, 최민영, 정구태, 이소영, 박미랑, 정채연, 민윤영, 박혜림, 하민경, 김지원, 홍가혜, 오민용, 김문정, 신효성, 권지혜, 함현지, 한민정, 빅민정, 조영석, 손보미, 최샘, 이영봉, 오가소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5586
005 20221220140959
007 ta
008 220822s2022 ggka 001a kor
020 ▼a 9788918913254 ▼g 9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0/.1 ▼2 23
085 ▼a 340.1 ▼2 DDCK
090 ▼a 340.1 ▼b 2022z5
245 1 0 ▼a 법,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너머에 / ▼d 이상돈 외저
246 1 1 ▼a Law beyond modernism and postmodernism
260 ▼a 파주 : ▼b 法文社, ▼c 2022
300 ▼a vi, 373 p. : ▼b 삽화 ; ▼c 24 cm
500 ▼a 공저자: 주승희, 양천수, 홍승희, 이상현, 홍성수, 안성조, 권순민, 이정민, 김대근, 주현경, 최민영, 정구태, 이소영, 박미랑, 정채연, 민윤영, 박혜림, 하민경, 김지원, 홍가혜, 오민용, 김문정, 신효성, 권지혜, 함현지, 한민정, 빅민정, 조영석, 손보미, 최샘, 이영봉, 오가소
500 ▼a 색인수록
700 1 ▼a 이상돈, ▼g 李相暾, ▼d 1961-, ▼e▼0 AUTH(211009)90507
700 1 ▼a 주승희, ▼g 朱勝姬, ▼d 1971-, ▼e▼0 AUTH(211009)79011
700 1 ▼a 양천수, ▼g 梁千秀, ▼d 1971-, ▼e▼0 AUTH(211009)6815
700 1 ▼a 홍승희, ▼g 洪丞希, ▼d 1973-, ▼e▼0 AUTH(211009)115942
700 1 ▼a 이상현, ▼g 李尙玹, ▼d 1973-, ▼e▼0 AUTH(211009)63301
700 1 ▼a 홍성수, ▼g 洪誠秀, ▼d 1975-, ▼e▼0 AUTH(211009)121907
700 1 ▼a 안성조, ▼g 安晟助, ▼d 1974-, ▼e▼0 AUTH(211009)87850
700 1 ▼a 권순민, ▼g 權純民, ▼d 1971-, ▼e▼0 AUTH(211009)110420
700 1 ▼a 이정민, ▼g 李定玟, ▼d 1974-, ▼e▼0 AUTH(211009)51251
700 1 ▼a 김대근, ▼e▼0 AUTH(211009)19782
700 1 ▼a 주현경, ▼g 周炫境, ▼d 1978-, ▼e▼0 AUTH(211009)30926
700 1 ▼a 최민영, ▼g 崔民令, ▼d 1978-, ▼e▼0 AUTH(211009)7038
700 1 ▼a 정구태, ▼g 鄭求兌, ▼d 1978-, ▼e▼0 AUTH(211009)61709
700 1 ▼a 이소영, ▼g 李昭永, ▼d 1979-, ▼e▼0 AUTH(211009)125589
700 1 ▼a 박미랑, ▼d 1980-, ▼e▼0 AUTH(211009)42484
700 1 ▼a 정채연, ▼g 丁彩姸, ▼d 1983-, ▼e▼0 AUTH(211009)136558
700 1 ▼a 민윤영, ▼g 閔允令, ▼d 1983-, ▼e▼0 AUTH(211009)87293
700 1 ▼a 박혜림, ▼e▼0 AUTH(211009)20351
700 1 ▼a 하민경, ▼g 河旻俓, ▼d 1983-, ▼e▼0 AUTH(211009)65853
700 1 ▼a 김지원, ▼e
700 1 ▼a 홍가혜, ▼d 1985-, ▼e▼0 AUTH(211009)43261
700 1 ▼a 오민용, ▼g 吳旻龍, ▼d 1978-, ▼e▼0 AUTH(211009)148384
700 1 ▼a 김문정, ▼g 金文正, ▼d 1985-, ▼e▼0 AUTH(211009)148385
700 1 ▼a 신효성, ▼e
700 1 ▼a 권지혜, ▼g 權知慧, ▼d 1988-, ▼e▼0 AUTH(211009)148386
700 1 ▼a 함현지, ▼e
700 1 ▼a 한민정, ▼e
700 1 ▼a 박민정, ▼e
700 1 ▼a 조영석, ▼e
700 1 ▼a 손보미, ▼e
700 1 ▼a 최샘, ▼e
700 1 ▼a 李颖峰, ▼e▼0 AUTH(211009)148387
700 1 ▼a 오가소,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1 2022z5 등록번호 1118683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의 이론을 중심으로 학문적 소통을 하는 책으로, 제자들이 나의 저작과 이론, 사상을 간략하게 리뷰하고 있다. 제자들의 리뷰는 내 이론의 모습을 그들의 고유한 시선에서 주체적으로 묘사한다. 저자 또한 읽는 사람들에게 이해와 감상을 돕는 큐레이팅(qurating)의 글을 덧붙였다.

‘학문세계’에 들어가 살거나 죽거나, 그렇게 하기로 결심했던 1980년, 대학교 1학년 시절, 그때로부터 42년이 흘렀다. 회갑回甲이라는 전통적 인지의 무게가 매우 가벼워지긴 했으나 새털만큼은 아닌가 보다. 나의 학문세계를 구성하고 함께 살아온 제자들이 그냥 지나치기엔 뭔가 불편함을 느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나와 나의 이론을 중심으로 학문적 소통을 하는 작은 마당을 열어보기로 했다. 제자들이 나의 저작과 이론, 사상을 간략하게 리뷰하는 학문파티이다. 나도 내가 쓴 글들을 다시 읽으면 감회가 새롭고, 당시의 열정이 느껴지며, 오늘의 인식을 재구성하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마치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며 작은 나르시시즘에 빠지는 듯하다. 그러나 이 학문파티에서 제자들의 리뷰는 내 이론의 모습을 그들의 고유한 시선에서 주체적으로 묘사한다. 거울에 비친 과장된 모습이 아니라 마치 인상주의 화가들이 그린 그림과도 같다. 나 또한 제자들의 그 그림을 보고 읽는 사람들에게 이해와 감상을 돕는 큐레이팅(qurating)의 글을 덧붙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상돈(지은이)

서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대학원 졸업(Dr.jur.)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정교수(現) 한국법철학회 회장(역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국선변호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법원행정처 소송규칙 자문특별위원회 위원(역임) 검찰제도개혁위원회 위원(역임) 법무부 인권옹호자문단 위원장(역임)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원장(역임) ≪저서목록≫ ■ 형사법 분야 1.<Wortlautgrenze, Intersubjektivitat und Kontexteinbett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Bd.35, Ffm., 1992 2.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형사소송법 사안풀이와 법치국가>, 태진사, 1995 4. <형사소송법>(2인 공저), 홍문사, 1996 5. <사례연습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1 6. <형사소송원론>, 법문사, 1998 7. <형법정책>(2인 편역), 세창출판사, 1998 8. <형사소송법연습>, 법문사, 1999 9. <형법학>, 법문사, 1999 10. <정치와 형법>(2인 공역), 세창출판사, 2005 11.<신형사소송법>(4인 공저), 홍문사, 2011 12. <형법강의>, 법문사, 2010 13. <예술형법>, 박영사, 2014 14. <형법강론>, 박영사, 2015 ■ 의료법 분야 15. <의료형법>, 법문사, 1998 16. <의료체계와 법>, 고대출판부, 2000 17.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법문사, 2002 18. <수가계약제의 이론과 현실>, 세창출판사, 2009 19. <의료법강의>(2인 공저), 법문사, 2009 20.<의약품공급계약과 사적 자치>, 세창출판사, 2014 21. <원내조제분업의 법리>, 세창출판사, 2015 ■ 경영법 분야 22. <윤리경영과 형법>, 신영사, 2005 23. <부실감사판례연구>, 법문사, 2006 24. <부실감사법>, 법문사, 2007 25. <기업윤리와 법>(3인 공저), 법문사, 2008 26. <조세형법론>, 법문사, 2009 27. <공정거래형법>, 법문사, 2010 28. <증권형법>, 법문사, 2011 29. <경영과 형법>, 법문사, 2011 30. <경영판단원칙과 형법>, 박영사, 2015 31. <기업경영형법>, 박영사, 2022 ■ 기초법 분야 32. <법이론>, 박영사, 1996 33. <법학입문>, 박영사, 1997 34. <법률해석의 한계>(5인 공저), 법문사, 2000 35. <법사회학>(2인 공저), 박영사, 2000 36. <대화이론과 법>(편역), 법문사, 2002 37. <법철학>, 법문사, 2003 38. <생명공학과 법>, 아카넷, 2003 39. <욕망은 행복을 낯설게 한다>, 연극과 인간, 2003 40. <헌법재판과 형법정책>, 고려대출판부, 2005 41. <새로 쓴 법이론>, 세창출판사, 2005 42. <법학입문>, 박영사, 1997 43.<법문학>(2인 공저), 신영사, 2005 44.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45. <문헌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법>(4인 공저), 세창출판사, 2006 46. <공익소송론>, 세창출판사, 2006 47. <시민운동론>, 세창출판사, 2007 48. <기초법학>, 법문사, 2008 49. <법미학>, 법문사, 2008 50. <법정신분석학입문>(2인 공저), 법문사, 2010 51. <법의 춤>, 법문사, 2012 52. <미술비평과 법>, 법문사, 2013 53.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54. <법의 예술>, 법문사, 2020

이소영(지은이)

제주대 사회교육과 교수. 고려대에서 법을 공부했고 하버드대학 옌칭연구소,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독일 튀빙겐대학 등을 거쳐 현재 제주대 사범대학에서 예비 선생님들에게 법학 과목들을 강의하고 있다. 쉽게 바뀌지 않을 현실에 냉소하거나 무력해지기보다는 미약한 힘으로나마 서로를 돌볼 수 있기를, 상처를 주고받는 대신 공감과 연민을 나눌 수 있기를 소망한다. 2017년부터 경향신문에 연재한 칼럼을 모아 『별것 아닌 선의』를 펴냈다.

홍성수(지은이)

숙명여자대학교 법학부 교수로 법사회학, 법철학, 인권법 및 인권이론, 혐오 표현, 차별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런던정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책으로는 《법의 이유: 영화로 이해하는 시민의 교양》, 《말이 칼이 될 때: 혐오표현은 무엇이고 왜 문제인가》, 《헤이트: 왜 혐오의 역사는 반복될까》(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혐오표현, 자유는 어떻게 해악이 되는가》(공역) 등이 있다.

민윤영(지은이)

한영외국어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심리학 이중전공)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연구원

박미랑(지은이)

한국에 생소했던 ‘데이트폭력’에 관한 범죄학 논문을 국내 최초로 발표하였고 청소년·여성범죄자와 피해자, 그리고 사회의 약자를 바라보는 형사사법기관과 사회구조를 범죄학적 관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언론학과 사회학을 공부하고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형사사법학(Criminal Justice)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사회학습이론에서 세계적 석학인 로널드 에이커스(Ronald Akers)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플로리다 대학교 범죄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범죄학과 법학의 연결점을 찾아 고려대학교에서 법학과 형법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부연구위원을 지내고 유엔(UN) 범죄예방과 형사사법위원 총회 한국대표단으로 참가했다. 한국공안행정학회 편집이사를 비롯하여 대한범죄학회, 한국범죄심리학회, 그리고 한국셉테드학회 이사를 맡고 있다. 현재 한남대학교 경찰학과 및 범죄학과(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대근(지은이)

한국형사 ·법무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은 기초법이고, 법철학과 정치사상을 공부하며 정의론, 인권, 형사사법, 금융 범죄, 난민 등의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현재 한국형사· 법무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이자 원내 법무정책연구실장으로 근무 중이다. 또한 법무·검찰개혁위원회(2기), 경찰청 인권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경희대, 경찰대, 가톨릭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공저로 《형사소송법 핵심 판례 130선》 《법의 딜레마》 등이 있으며, 《이유에 대한 실재론적 고찰》, 《차별이란 무엇인가》, 《정의론》, 《무엇이 법을 만드는가》, 《자유시장이라는 환상》(근간), 《롤스의 정치철학사 강의》(근간) 등을 옮겼다.

안성조(지은이)

제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형법과 형사소송법, 형사특별법과 형사증거법 등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형법상 법률의 착오론, 현대 형법학 제1권-제3권, 기업범죄연구(공저), 기초법연구, 형법개론(공저), 형사특별법 판례 50선(공저), 법의 딜레마(공저), 형법학 2022 등이 있으며, 최근의 논문으로는 “자유의지와 형벌의 정당성”, “인간의 존엄과 책임원칙”, “재산범죄의 객체로서 재물과 재산상 이익”, “준강간죄의 불능미수”, “합동범의 공동정범”, “임의제출물의 압수에서 ‘임의성’ 요건”, “공소사실의 동일성 판단기준과 一事不再理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 등이 있다.

양천수(지은이)

일주학술문화재단 장학생(11기)으로 독일 유학길에 올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기초법 전임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급속하게 발전하는 과학기술이 현대사회와 법체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관심이 많다. 이에 관한 책으로 <빅데이터와 인권>(2016), <제4차 산업혁명과 법>(2017), <인공지능 혁명과 법>(2021) 등을 썼다. 이외에도 <삼단논법과 법학방법>(2021), <단체의 법이론>(2022), <책임과 법>(2022) 등 다수의 책과 논문을 썼다.

정구태(지은이)

-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 현재 조선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정채연(지은이)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대우부교수. 고려대에서 법학사·법학석사 및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뉴욕대 로스쿨에서 LL.M.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뉴욕주 변호사이다.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의 연구조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공저, 2021), 《법의 딜레마》(공저, 2020), 《법학에서 위험한 생각들》(공저, 2018) 등이 있다.

오민용(지은이)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전임연구원

홍가혜(지은이)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시간강사, 법학박사

홍승희(지은이)

•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교 교수 • 한국형사법학회 편집이사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상임이사 • 한국형사정책학회 상임이사 • 전) 한국형사정책원구권 부연구위원 • 학위) 독일 콘스탄츠대학(Uni of Konstanz) 박사

주현경(지은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법학석사를,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에서 법학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며 형법, 형사소송법, 형사정책 등을 교육, 연구하고 있다. 형벌의 목적에 대한 탐구, 교도소 행형 등 국가형벌권의 집행, 그리고 사회의 변화가 형사법 관련 정책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활용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관련 저술로는 “절대적 종신형 도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민영교도소의 한계와 대안: 영리화 비판을 중심으로”, “형법의 문화수용–결혼목적 약취․유인죄 및 독일의 강제결혼죄를 중심으로”, 󰡔인공지능과 법󰡕(공저) 등이 있다.

최민영(지은이)

고려대학교 법학과에서 학사·석사학위를 받고,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킹스컬리지 런던 법학과 TELOS센터 객원연구원과 성균관대학교 글로컬과학기술법전문가양성사업단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형법과 형사소송법을 강의하며, 바이오형법 및 과학기술정책과 법 등을 연구한다.

주승희(지은이)

- 현 덕성여자대학교 교수, 미국 변호사(District of Columbia) - 법학박사(독일 뮌헨대학교) - 현 국가정보원 국제범죄정책위원회 정책위원 - 전 대통령 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자치경찰제 특별위원 <주요연구> - 데이터 3법의 주요 개정 내용 및 형사법적 의의에 관한 소고 -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유지의무 및 관련 범죄에 대한 형법이론적 검토 - 검경 수사권 정부합의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형사절차상 구속 기간 관련 독일 제도 소개 및 시사점 외 다수

이상현(지은이)

숭실대학교 국제법무학과 교수, SJD. 미국변호사(New York)

권순민(지은이)

조선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법학박사

이정민(지은이)

단국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법학박사

박혜림(지은이)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법학박사, 미국변호사(New York)

하민경(지은이)

가톨릭대학교 법학과 교수, 법학박사, 미국변호사(New York)

김지원(지은이)

휴먼앤로(H&L) 대표, 법학박사, NYU LLM.

김문정(지은이)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 법학박사

신효성(지은이)

가톨릭대학교 법학과 강사, 법학박사

권지혜(지은이)

수원여자대학교 법행정학부 교수, 법학박사

함현지(지은이)

수원지방법원 판사

한민정(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박민정(지은이)

대구대학교 전 시간강사, 법학박사

조영석(지은이)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 법학박사, 변호사

손보미(지은이)

법학박사, 미국변호사(New York)

최샘(지은이)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사, 법학박사

이영봉(지은이)

중국 우한대학교 법학원 교수, 법학박사

오가소(지은이)

중국 절강이공대 법정학원 교수, 법학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도입글 법,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너머에 (이상돈)

제1부 법의 모더니티와 대화이론적 성찰
01. 마당적 이해 (양천수)
02.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의 경고, 한국 법문화의 특수성과 그 위험 (주승희)
03. 불확실성시대에서 형법적 사회통제의 명확성 자리매김 (홍승희)
04. 형법해석의 아방가르드: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안성조)
05. 절차주의 법모델 (홍성수)
06. 민주적 법치국가에서 시민운동이론 (정채연)
07. 민주적 법치국가의 시민교양으로서 법학입문: 중국법학자의 관점에서 (오가소)
08. 헌법재판과 형법정책: 급진적 모더니스트의 포스트모던적 사유로서 민주적 법치국가론 (김대근)
09. 형사소송의 근대성 (권순민)
10. 소송상 진실개념의 재구성 (박민정)
11. 법관의 선이해와 양형 (박미랑)
12. 고의와 자의성의 절차적 지평: 화용론을 중심으로 (권지혜)
13. 인과성 개념의 비판적 기능과 결과의 귀속 (홍가혜)
14. 모더니즘의 행복론 (정구태)

제2부 법의 포스트모더니즘과 미학적 반성
15. 해체적 정의의 이해 (최샘)
16. 차이와 차별의 상호주관성 테제와 놀이 (오민용)
17. 법정신분석학의 지도와 미래 (민윤영)
18. 해석에서 비평으로 (김문정)
19. 법미학과 질감미 (김지원)
20. 법, 이야기하고 그려내고 노래하며 춤추다 (이소영)
21. 법이 춤추다 (한민정)
22. 법과 함께 춤을 (손보미)
23. 여성주의와 형법, 여성과 법, 법과 성차이 (함현지)
24. 형사사법의 지층: 회복적ㆍ치료적 사법의 가는성 성찰 (하민경)

제3부 전문법 - 이성과 심미의 지역화된 실천
25. 대화적 생명공학법 (최민영)
26. 생명공학과 기독교 생명윤리 (신효성)
27. 치료중단의 법리 (주현경)
28. 형사의료과실이론: 중국법학자가 바라보는 이상돈의 의료과실이론 (이영봉)
29. 경영실패와 형사책임 (이정민)
30. 카르텔 범죄와 공정거래형법의 전망 (이상현)
31. 내부자거래와 형법 (조영석)
32. 탈세의 이중도덕의식과 법치국가적 조세형법 (박혜림)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