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5577 | |
005 | 20220824155748 | |
007 | ta | |
008 | 220822s2022 ulkad 000a kor | |
020 | ▼a 9791195105441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616.8914 ▼2 23 |
085 | ▼a 616.8914 ▼2 DDCK | |
090 | ▼a 616.8914 ▼b 2022z6 | |
100 | 1 | ▼a 지성용 |
245 | 1 0 | ▼a 융합심리분석상담치료 : ▼b 인문융합치료적 이해와 전개 / ▼d 지성용 지음 |
260 | ▼a [서울] : ▼b 공감, ▼c 2022 | |
300 | ▼a 313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500 | ▼a 부록: 심리검사 진단평가자료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 2022z6 | 등록번호 11186834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치료’와 ‘치유’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 치료(治療, 다스릴 치, 병 고칠 료)는 일반적으로 누군가 타자에 의해서 병이나 상처(傷處)를 낫게 하는 것이고, 병 자체를 고치려고 하는 행위 전반을 말한다. 반면 치유(治癒, 다스릴 치, 병 나을 유)는 스스로 병을 낫게 한다는 의미로 병의 원인을 알고 그것을 풀어 나가는 것, 자신의 본질로 되돌아가므로 스스로 병을 낫게 한다는 뜻으로 구별하여 이해할 수 있다.
곧, 치유는 내면의 힘이 발현하여, 조화와 균형을 잃어버린 ‘생체항상성’을 회복하고 자신의 병을 스스로 고쳐 나가는 ‘자기치료’의 과정이며, 스스로의 힘으로 병이 낫는 것이기 때문에 ‘자연치유’의 한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담자를 통한 치료과정과 내담자의 자기치유과정이 융합되는 ‘융합심리분석상담치료’는 현대인들이 직면한 정서적 심리적, 영성적 위기를 균형 있고 조화로운 통합된 실존으로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내면의 힘을 줄 것이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산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자신의 존재이유, 삶의 의미, 자기의 정체성 등을 물을 수 있는 것은 인간밖에 없다. 인간의 근원적 물음은 특히 한계상황에 부딪혔을 때 강하게 제기된다. 인간에 대한 고민은 오래전 신학과 철학에서 시작되어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사회구조의 다양화에 따라 또 인간이 변화하면서 근대 심리학에 이르러 인간 이해 문제가 태동했고(인간학), 심리학은 새로운 시대에 주목받는 분야로 성장했다.”
이 책은 총 여섯 장으로 나눠 ‘인문융합’, ‘융합심리’ 그리고 ‘분석상담 치료’에 대해 이야기한다. 1장에서는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한다. 현대사회의 인간이 가지는 정서적 심리적 위기, 불안과 분노, 우울, 중독, 신체화 장애 등의 원인을 진단하고 분석을 위한 인간 문제를 2장에서 다루었다. 3장에서는 ‘치료’의 어원에 대한 동서양의 의미를 살펴보며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 몸과 마음의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루어 왔는지를 고찰하였다. 특히 동양의 불교와 도교, 유학, 무속에 이르기까지 ‘치료’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4장부터 본격적으로 마음의 원리에서 영성의 원리까지의 ‘융합’과 ‘통섭’의 프로세스를 살펴보면서 윌리엄 제임스, 프로이트, C.G. 융이 인간 ‘마음의 지도’를 어떻게 그려냈는지를 살펴본다. 5장에서는 영성심리의 분석과 통합, 융합으로서 IQ,EQ,SQ의 융합 프로세스를 톺아본다. 6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융합심리분석상담치료 과정에 대한 원리와 과정을 인문융합적 심리분석과 통합의 과정을 통해 형성한다.
“우리는 자기 자신을 다른 사람 안에서 발견한다. 자기완성과 세계완성의 변증법적 통일에서, 자기경험과 세계경험의 변증법적 통일에서, 자기이해와 세계이해의 변증법적 통일에서 우리는 자기 자신을 경험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지성용(지은이)
현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학과 간 협동과정 인문융합치료전공 초빙 교수다. 한국영성심리분석상담학회 학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융합심리분석상담사(보건복지부, 직능원 2022-000731) 수퍼바이저 및 출제·검정위원장, 인문융합상담치료전문가 수퍼바이저(2021-SUP-002) 및 검정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하대학교 인문융합치료센터 초대센터장과 라파엘종합상담센터장을 역임했다.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로서 대외협력처장을 지냈으며, 천주교인천교구 50주년기념 영성센터장으로 일했다. 이탈리아 교황청립 우르바노대학교 STL(Dogma)석사, STD(Spirituality)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영국 St. Anselm Institute에서 Spiritual counseling Skill,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연구과정에 참여했다. 그동안 《호모 내러티쿠스: 인문융합치료의 이해(2022, 김영순 공저)》, 《에니어그램의 영성(2018)》, 《바이블테라피(2013)》 등을 출간했다.

목차
들어가는 글 Ch. 01 인간이란 무엇인가? 1. 인문학의 상담치료적 접근과 인문융합치료적 접근 2. 세계보건기구(WHO)의 ‘건강한 인간’ 개념 3. 인문융합과 ‘영성(spritituality)’: 전인적·통합적 이해 Ch. 02 현대사회의 정서적 심리적 위기와 병리 1. 분노(anger)와 불안 2. 억압(depression)과 우울 3. 중독(addiction) 4. 신체화 장애(Somatization disorder) 5. 전인적 치유를 위한 사회역학(Social Epidemiology)적 접근 Ch. 03 ‘치료’의 어원에 대한 고찰 1. 종교의 기원과 성장 안에서 ‘치료’ 개념의 발아(發芽)와 성장 2. 서양세계에서 치유에 대한 인식의 기원과 변천 3. 고대 이집트의 종교와 치유 4. 동양의 불교와 도교에서의 치유 1) 불교의 마음치유의 길 2) 도교의 인간완성과 치유의 과정 5. 활투(活套): 동양의 성리학에서 다루는 인간 마음의 문제와 치료 6. 그리스도교 안에서의 구원과 치유 7. 무속(巫俗)에서의 ‘치료’와 ‘치유’ Ch. 04 마음 원리에서 영성 원리까지의 융합과 통섭 1. 윌리엄 제임스와 자아초월심리학 2. 프로이트가 이해하는 인간의 정신 3. C.G. 융의 인간 마음에 대한 분석적 이해 Ch. 05 영성심리의 분석(analysis)과 통합(sintesi) 그리고 융합 1. ‘영성’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의견들 2. 영성지능의 융합: IQ. EQ. SQ의 융합 3. 심신상관(Body & Mind concerning)의 원리 4. 인지행동치료의 융합: 부정적 스키마의 변화 5. 심리·사회·영성적 지지체계(support system) 구축을 위한 연대 Ch. 06 인문융합의 네러티브, 융합심리분석상담 1. 종교와 영성 그리고 메타영성(meta-spirituality) 2. 자아초월(trans-personality)과 영성(spirituality)의 인문학적 융합 3. 인문융합치료에서 ‘영성심리학’과 ‘융합심리분석상담’ 치료 4. ?융합심리분석치료의 원리: 프로이트 정신분석과 융 분석심리학의 융합 1) 억압의 해소: 네러티브를 통한 카타르시스(정화) 2) ‘변하게 하다(verwandeln)’: 바꿀 수 없는 과거의 사건을 새롭게 ‘해석’ 3) 융합심리학적 이해: 프로이트 정신분석과 C.G. 융 분석치료 융합의 내러티브 5. ?인문융합적 심리분석(Psycho-analysis)과 통합(sintesi): 융합심리분석상담 과정 글을 마치며: 새로운 연구주제 앞에서 부록 심리검사 진단평가자료 1. 정서 2. 성격 3. 부부, 결혼 4. 의사소통 5. 중독 6. 스트레스 7. 기타 그림 차례 그림 1: 그리스 에피다우로스의 아스클레피오스 신전 그림 2: 주술사가 인간에게 깃든 ‘병’이나 ‘악령’을 뽑아내 가둔 점토 인형 그림 3: 프로이트가 설명한 인간 마음의 구조 그림 4: C.G. 융이 설명한 인간의 가면과 그림자 그림 5: C.G. 융의 분석심리학의 성격구조 그림 6: 자아의 상승운동과 확장운동 그림 7: 양자물리학의 입자와 파동, 융의 자기(self) 안의 soul과 spirit의 양자역학적 역동 그림 8: 정신분석의 과정과 개성화 과정, 자아초월의 양자역학적 역동모델 표 차례 표 1: 2018년 인구통계, 대한민국 사망률 증감추이와 10대 사망 원인(통계청, 2018) 표 2: 연령별 5대 사망 원인 사망률 및 구성비(통계청, 2018) 표 3: 2020년 우울증 증가 국가별 비교(OECD, 2020) 표 4: 코로나19로 인한 감정 변화조사 결과(한국언론진흥재단, 2021년 2월 보도자료 참고) 표 5: MBTI 인간성격의 16가지 모델 표 6: D. 호킨스의 의식레벨 표 7: D. 호킨스의 영성레벨 표 8: 인지행동치료의 작동원리 표 9: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과정과 상담의 전개와 기법, 지침 표 10: C.G. 융의 분석심리단계와 상담기법 표 11: 융합심리분석상담 과정의 주요지침과 이해 표 12: 융합심리학적 이해 기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그리고 C.G. 융의 분석치료 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