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래교육에 필요한 인성 역량 향상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이론과 실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재한, 申在漢, 1974- 이지영, 저
서명 / 저자사항
(미래교육에 필요한 인성 역량 향상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이론과 실제 / 신재한, 이지영 공저
발행사항
서울 :   박영story :   피와이메이트,   2021  
형태사항
viii, 263 p. : 삽화 ; 25 cm
ISBN
9791165191740
서지주기
참고문헌(p. 257-261)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5345
005 20220822141428
007 ta
008 220822s2021 ulka b 001c kor
020 ▼a 9791165191740 ▼g 93370
035 ▼a (KERIS)BIB000015954453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71.3 ▼2 23
085 ▼a 371.3 ▼2 DDCK
090 ▼a 371.3 ▼b 2021z16
100 1 ▼a 신재한, ▼g 申在漢, ▼d 1974- ▼0 AUTH(211009)61549
245 2 0 ▼a (미래교육에 필요한 인성 역량 향상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이론과 실제 / ▼d 신재한, ▼e 이지영 공저
246 1 1 ▼a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storytelling for future education
260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1
300 ▼a viii, 263 p. : ▼b 삽화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257-261)과 색인수록
700 1 ▼a 이지영,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21z16 등록번호 1118680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미래창의혁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순차적인 지식 암기 및 습득보다는 유연하고 탄력있게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 역량과 인성 역량에 중점을 두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이러한 미래교육을 대비하는 교육 방법 중에서 하나가 바로 이야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다. 1부는 스토리텔링의 기초,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 미래교육에 필요한 창의성 및 인성 역량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2부는 스토리텔링으로 발견하는 나, 스토리텔링으로 이해하는 너, 스토리텔링으로 해결하는 우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들어가며

요즘 아이들의 대화는 이해할 수 없는 말과 거친 말들로 가득하다. 단어를 듣다 보면 머리가 번뜩이거나 순간 심장이 벌렁거리는 말인데도 말하는 아이든 그 말을 듣는 아이 모두 아무렇지도 않다. 되려 비속어나 욕설 등의 거친 말이 들어가 있지 않으면 대화가 되지 않는다며 욕이 친근감의 표현이라고까지 말을 한다. 그렇다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되는 비속어, 욕설이 그냥 일상의 언어가 된 것일까? 아니면 그런 자극적인 말에도 아무런 느낌이 없어지는 감정의 메마름일까?
우리는 사회적 공동체로서 무수한 끈들로 연결된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세상에 태어나면서 가족들과 학교에서는 친구 또는 선생님과의 만남, 사회에서는 사회구성원들과 소통을 통해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하나면 세상을 볼 수 있는 ‘뉴 미디어’ 시대에 살면서 매체를 통한 새로운 방식의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한 번의 터치로 다른 시?공간에 있는 익명의 누군가와 다양한 경험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서로의 눈빛을 교환하지 않는 온라인 속 소통은 아무렇지도 않게 쏟아내는 거친 말과 인간적인 감정이 섞이지 않은 무미건조한 말로 감정의 교류가 부족한 메마른 사회를 초래하였다.
소통과 공감의 부재는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정서와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을 어렵게 한다. 이런 타인의 감정을 읽지 못하고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는 학교 교육이 지식 중심에서 정서?감성 중심 교육으로 전환되어 학생들의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수업전략이 학습자의 감성과 정서를 자극하여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본 저자는 최근 주목받는 스토리텔링 방법에서 답을 찾고자 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미래창의혁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순차적인 지식 암기 및 습득보다는 유연하고 탄력있게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 역량과 인성 역량에 중점을 두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이러한 미래교육을 대비하는 교육 방법 중에서 하나가 바로 이야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다.
원래 스토리텔링은 스토리(story)와 텔링(telling)의 합성어로서, 사전적 의미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활동’, ‘이야기가 담화로 변해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의미는 ‘이야기를 나누다’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스토리텔링 학습의 과정은 사전 활동, 본 활동, 사후 활동으로 구분한다. 먼저 사전 활동은 학습자가 이야기를 듣기 전에 자신의 기존 경험을 활성화하고 동기를 유발하는 단계로서, 이야기에 대한 사전 지식과 배경지식이 활성화하기, 이야기의 그림이나 책의 표지를 보고 이야기의 내용 상상하기, 제목을 보고 이야기의 주제나 줄거리 예상하기, 이야기와 관련된 경험 이야기해보기, 새로운 단어 소개 및 의미 이해하기 등을 포함한다. 본 활동은 쉽게 이야기를 소개하는 단계로서, 학습자 수준에 적합하게 재구성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이야기하기 등을 포함한다. 사후 활동은 이야기 만들기, 역할극 꾸미기 등의 활동을 통해서 아동들의 이해도를 점검하는 단계로서, 본 활동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깥 세계와 연결하기, 수준별 다양한 학습 기회 제공하기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학습을 통해서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 발달, 정서지능 및 인성 발달, 대인관계능력 및 사회성 발달, 사고력 발달, 상상력 및 창의성 발달, 두뇌 계발 등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저서에서 1부는 스토리텔링의 기초,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 미래교육에 필요한 창의성 및 인성 역량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2부는 스토리텔링으로 발견하는 나, 스토리텔링으로 이해하는 너, 스토리텔링으로 해결하는 우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부의 경우, 인성 역량 향상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점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전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기 초 학급을 구성하고 나에 대해 알아가는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4장 스토리텔링으로 발견하는 ‘나’, 학기 말 친구와 선생님, 부모님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5장 스토리텔링으로 이해하는 ‘너’, 나를 발견하고, 너를 이해하는 학습 과정에서 공동체 역량을 형성하는데 활용 가능한 6장 스토리텔링으로 해결하는 ‘우리’ 내용이다.
4장 스토리텔링으로 발견하는 ‘나’의 내용은 인성교육의 첫 번째 단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자아 존중감 강화전략이다. 자아 존중감은 공동체 속에서 개인이 스스로 어떻게 생각하느냐의 문제이며 자기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는 정도와 자신의 가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는 학생 스스로 자기를 정확히 이해하고 가치를 발견하여, 올바른 진로를 선택하는 기회가 된다.
5장 스토리텔링으로 이해하는 ‘너’의 내용은 관계 형성 강화전략으로 타인과 소통하고 감정을 교류하면서 감정적 유대감을 형성해 나가도록 한다. ‘너를 이해해!’와 ‘감사의 마음 실천 프로젝트’ 수업을 제시하여 자신 주변의 친구?부모?교사를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그들의 삶 또한 의미 있고 소중하다는 점을 깨닫는 계기가 된다.
6장 스토리텔링으로 해결하는 ‘우리’의 내용은 사회성 강화전략으로 협력 학습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 협력 학습은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고, 서로 간의 갈등을 조절하며,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 역량을 신장시키는데 교육적 효과가 있다. 또한, 공동체에 대한 배려와 공감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고, 열린 마음으로 서로가 다름을 인정하게 되어 사회생활에 필요한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 활용되는 수업의 전략으로서 스토리텔링은 자신과 대면하여 온전히 자신에게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시각 이미지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생각과 감정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스토리텔러가 되어 자기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도록 이끌어준다. 이 과정에서 자신도 미처 알지 못했던 내면의 자신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인성교육 강화전략으로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가치를 발견하면서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 또한 생기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한, 쌍방향 상호소통 과정에서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마음의 여유까지 형성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빠르게 변해가는 환경 속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숨 가쁘게 달려가고 있는 아이들이 온전히 자신에게 몰입하여 자신을 발견하고 삶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정립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인성교육에 관심이 있는 모든 분에게 미약하나마 의미 있는 안내서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본 저서는 스토리텔링의 개념 및 특징 등을 이해하는 이론 부분과 교육 현장에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실제 부분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현직 교사, 예비교사, 대학생, 대학원생 등에게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토리텔링 교육 방법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데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아무쪼록 본 저서가 스토리텔링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표준화된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기본 지침서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끝으로 본서 출판에 도움을 주신 박영사 가족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

2021년 8월
신재한·이지영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재한(지은이)

-대구교대 국어교육학 학사 -경북대 석,박사(교수이론/교육방법/교수법) 논문 ·뇌과학적 고찰을 통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방향 탐색 ·뇌교육 기반 인성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효과 ·뇌교육 기반 인성계발 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이 청소년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집중력 스톤을 활용한 자석놀이가 초등학생의 집중력과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테니스 운동 경력자와 비경력자의 뇌파와 두뇌활용능력의 차이 분석 ·두뇌활용능력의 이론 및 원리 탐색 학술연구 ·인성교육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 연구 ·2015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연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학교장 연수프로그램 -개발 연구 ·진로캠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집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저서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뇌기반 자기주도학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실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 전략 ·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자유학기제의 이론과 실제 ·구조중심 협동학습 전략 ·수업컨설팅의 이론과 실제

이지영(지은이)

現 창용중학교 미술 교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석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장 스토리텔링의 이해
1 스토리텔링의 개념 3
2 스토리텔링의 구조 4
3 스토리텔링의 요소 7
4 스토리텔링의 기능 9
5 스토리텔링의 기술 11
2장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
1 스토리텔링의 학습 과정 13
2 스토리텔링의 교육 방법 14
3 스토리텔링의 교육 유형 15
4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과 17
3장 미래교육에 필요한 인성 역량
1 미래 교육의 특징 및 방향 19
2 인성 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 26
4장 스토리텔링으로 발견하는 ‘나’: 자아 존중감 강화전략
1-1 약속 정하기 42
1-1-1 나와의 약속 정하기 44
1-1-2 학급 약속 정하기 54
1-2 ‘나’ 소개하기 63
1-2-1 사물에 말 걸기 66
1-2-2 ‘나’ 사용설명서 77
1-3 ‘나’ 발견하기 94
1-3-1 일상 속 ‘나’ 96
1-3-2 나의 가치 발견 102
1-3-3 미래의 내 모습 발견 111
1-3-4 나에게 보내는 편지 115
5장 스토리텔링으로 이해하는 ‘너’: 관계 형성 강화전략
2-1 너를 이해해! 124
2-1-1 너를 보는 나, 나를 보는 너 126
2-1-2 이모티콘으로 소통하기 137
2-2 감사의 마음 실천 프로젝트 152
2-2-1 그녀(그)를 부탁해! 155
2-2-2 담임을 부탁해! 172
6장 스토리텔링으로 해결하는 ‘우리’: 사회성 강화전략
3-1 왕따 없는 학교 프로젝트 188
3-1-1 친구야 사랑해! 192
3-1-2 마음을 움직이는 공익광고 만들기 204
3-2 더불어 사는 삶 프로젝트 224
3-2-1 우리 학교 공간을 새롭게! 227
3-2-2 이웃과 공감하는 마을 만들기 24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