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법, GDPR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법, GDPR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상현
Title Statement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법, GDPR / 김상현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22  
Physical Medium
xxii, 125 p. ; 19 cm
Series Statement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ISBN
9791128863547 9791128818004 (세트)
General Note
GDPR =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5185
005 20220817171349
007 ta
008 220817s2022 ulk b 000c kor
020 ▼a 9791128863547 ▼g 04300
020 1 ▼a 9791128818004 (세트)
035 ▼a (KERIS)BIB000015255102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342.240858 ▼2 23
085 ▼a 342.240858 ▼2 DDCK
090 ▼a 342.240858 ▼b 2022
100 1 ▼a 김상현 ▼0 AUTH(211009)111624
245 1 0 ▼a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법, GDPR / ▼d 김상현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22
300 ▼a xxii, 125 p. ; ▼c 19 cm
490 1 0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500 ▼a GDPR =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504 ▼a 참고문헌 수록
830 0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Books/B1)/ Call Number 342.240858 2022 Accession No. 11186804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1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18년 5월 25일 발효된 GDPR는 가장 광범위하고 획기적인 온라인 프라이버시 법으로 평가된다. 유럽연합 주민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기업이나 기관은 그 지리적 위치와 상관없이 GDPR의 적용을 받게 된다. 핵심 취지는 디지털 환경의 개인 프라이버시 권리 강화와 적절한 프라이버시 보호 대책을 전제로 한 개인 정보의 자유로운 국외 이전 보장이다. 개인 정보 보호의 주요 원칙, 개인 정보 처리의 법적 근거, 개인 정보 침해에 따른 의무와 책임 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의 현주소도 짚어 본다.

인터넷 탄생 이후 가장 획기적인 프라이버시 법

2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18년 5월 25일 발효된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법 GDPR는 ‘인터넷 탄생 이후 가장 광범위하고 획기적인 온라인 프라이버시 법’으로 평가된다. GDPR는 개인(정보 주체)에게, 자신의 개인 정보가 언제, 어떻게, 그리고 어떤 목적과 용도로 수집·이용·공유·저장되는지(‘처리’로 통칭)에 대해 명확한 권리와 통제력을 제공하는 한편, 이미 수집되어 이용되는 개인 정보라도 본인이 원하면 언제든 다른 서비스 제공사로 옮기거나, 심지어 완전히 삭제할 수 있는 권리[잊힐 권리(Right to be forgotten)]까지 보장한다.

GDPR의 핵심 취지는 디지털 환경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권리를 대폭 강화하는 한편, 적절한 수준의 프라이버시 보호 대책이 입증되는 한 개인 정보의 자유로운 국외 이전을 보장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이나 기관이 유럽연합 주민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한 그 지리적 위치와는 상관없이 GDPR의 적용을 받는다. 따라서 다양한 비즈니스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해야 하는 기업이나 기관의 입장에서는 GDPR가 자못 난제이고 골칫거리일 수 있다. 그러나 개인 이용자의 처지는 다르다. 속수무책으로 정부 기관이나 대기업 쪽으로 기운 온라인 권력의 불균형을 상당 부분 개인 이용자 쪽으로 되돌려 줄 것이라는 기대를 안겨 주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개인 정보 보호의 주요 원칙, 개인 정보 처리의 법적 근거, 개인 정보 침해에 따른 의무와 책임 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의 약점과 개선, 강화해야 할 내용에 대해서도 짚어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상현(지은이)

캐나다에서 정보공개 및 프라이버시 전문가로 일하고 있다. 토론토 대학교, 앨버타 대학교, 요크 대학교에서 개인정보보호와 프라이버시, 사이버 보안을 공부했다. 캐나다 온타리오 주 정부와 앨버타 주 정부, 브리티시 컬럼비아(BC) 주의 의료서비스 기관, 밴쿠버 아일랜드의 수도권청(Capital Regional District) 등을 거쳐 지금은 캘리언 그룹(Calian Group)의 프라이버시 관리자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디지털의 흔적을 찾아서』(방송통신위원회, 2020),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법, GDPR』(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디지털 프라이버시』(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인터넷의 거품을 걷어라』(미래 M&B, 2000)가 있고, 번역서로는 에이콘출판사에서 출간한 『공익을 위한 데이터』(2023), 『인류의 종말은 사이버로부터 온다』(2022), 『프라이버시 중심 디자인은 어떻게 하는가』(2021), 『마크 저커버그의 배신』(2020), 『에브리데이 크립토그래피 2/e』(2019), 『보이지 않게, 아무도 몰래, 흔적도 없이』(2017), 『보안의 미학 Beautiful Security』(2015), 『똑똑한 정보 밥상 Information Diet』(2012), 『불편한 인터넷』(2012), 『디지털 휴머니즘』(2011)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GDPR, 인터넷 탄생 이후 가장 획기적인 프라이버시 법
01 GDPR, 적용 대상과 범위
02 GDPR, 주요 개념과 정의
03 개인 정보 보호의 주요 원칙
04 정보 주체의 권리
05 개인 정보 처리의 법적 근거
06 기업과 기관의 책임
07 보안
08 개인 정보 침해
09 개인 정보의 국외 또는 국제기구 이전
10 감독과 규제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