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고구려 고고 : 유적편

고구려 고고 : 유적편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성제, 저 양시은, 梁時恩, 1975-, 저 강현숙, 姜賢淑, 1959-, 저 전호태, 全虎兌, 1959-, 저 최종택, 崔鍾澤, 1964-, 저
단체저자명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서명 / 저자사항
고구려 고고 : 유적편 / 양시은 외 지음;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엮음
발행사항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21  
형태사항
571 p. : 부분천연삽화, 지도 ; 23 cm
총서사항
고구려통사 ;8
ISBN
9788961876803
일반주기
공저자: 양시은, 강현숙, 전호태, 최종택  
서지주기
참고문헌(p. 549-555)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4577
005 20230912143024
007 ta
008 220811s2021 ulkab b 001a kor
020 ▼a 9788961876803 ▼g 039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953.032 ▼2 23
085 ▼a 953.032 ▼2 DDCK
090 ▼a 953.032 ▼b 2021z2
110 ▼a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245 1 0 ▼a 고구려 고고 : 유적편 / ▼d 양시은 외 지음; ▼e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엮음
260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1
300 ▼a 571 p. : ▼b 부분천연삽화, 지도 ; ▼c 23 cm
490 1 0 ▼a 고구려통사 ; ▼v 8
500 ▼a 공저자: 양시은, 강현숙, 전호태, 최종택
504 ▼a 참고문헌(p. 549-555)과 색인수록
700 1 ▼a 이성제, ▼e
700 1 ▼a 양시은, ▼g 梁時恩, ▼d 1975-, ▼e▼0 AUTH(211009)66757
700 1 ▼a 강현숙, ▼g 姜賢淑, ▼d 1959-, ▼e▼0 AUTH(211009)11495
700 1 ▼a 전호태, ▼g 全虎兌, ▼d 1959-, ▼e▼0 AUTH(211009)30024
700 1 ▼a 최종택, ▼g 崔鍾澤, ▼d 1964-, ▼e▼0 AUTH(211009)113512
830 0 ▼a 고구려통사 ; ▼v 8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953.032 2021z2 8 등록번호 1513610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구려사 연구성과와 방법론을 담은 지침서. 고구려사는 한국고대사에서 지난 10년간 가장 큰 변화상을 보였던 분야이다. 고구려사 연구성과를 충실하게 정리하여 학계와 일반에게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고구려사 연구성과와 방법론을 담은 지침서

고구려사는 한국고대사에서 지난 10년간 가장 큰 변화상을 보였던 분야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초기 기사를 적극 활용하여 고구려사 연구의 방향과 방법론이 새롭게 모색되었으며, 정치사와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연구주제가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고고학에서는 북한의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개설적인 정리를 시도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중국에 남아 있는 고구려 고고자료가 소개되고 임진강 이남의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고구려 유적에 대한 조사가 늘어나면서 고분벽화·고분·토기 등 여러 분야에서 독자적인 연구성과물이 나오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고구려통사』 발간은 이러한 고구려사 연구성과를 충실하게 정리하여 학계와 일반에게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막 입문한 이들에게는 고구려사 연구의 지침서가 되고, 역사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는 고구려의 새로운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저자
이성제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

『譯註 中國正史 東夷傳 2 晉書 ~ 新五代史 高句麗・渤海』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榮留王의 王權 강화와 淵蓋蘇文 政變–高乙德 일가의 官歷을 통해 본 영류왕대 政局–」(『韓國古代史硏究』 104, 2021), 「唐 高宗의 泰山 封禪과 高句麗의 對應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 (『高句麗渤海硏究』64, 2019), 「褥薩의 大城・王都 5部 駐在와 그 職任」 (『韓國古代史硏究 』 92, 2018)

양시은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부교수
『발해 고고학』 (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흉노』(공저, 진인진, 2017), 『고구려 성 연구』(진인진, 2016), 「문화정책에 따른 중국 동북지역 박물관의 역할과 특징」 (『동북아역사논총』 69, 2020),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한국고고학보』 116, 2020)

강현숙 동국대학교(경주)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발해 고고학』 (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고고학』 (공저, 진인진, 2020), 『고구려 고분연구』(진인진, 2013), 「만발발자 유적 분묘로 본 고구려 적석총의 출현에 대한 논의」 (『동북아역사논총』 71, 2021), 「북한의 고구려 고고학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문화재』 53–1,2020), 「부여 노하심 중층 무덤의 매장행위 유추」 (『한국상고사학보』 110, 2020)

전호태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울산 천전리 각석 암각화 톺아읽기』(민속원, 2021), 『고대 한국의 풍경』(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1), 『글바위, 하늘의 문』(진인진, 2020), 『고구려 벽화고분의 과거와 현재』(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0), 『중국인의 오브제』(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0), 『고대에서 도착한 생각들』(창비, 2020), 『고구려 무용총 수렵도』(풀빛, 2019), 『황금의 시대 신라』(풀빛, 2019), 『한
=류의 시작, 고구려』(세창미디어, 2018)

최종택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교수
『발해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삼국시대 국가의 성장과 물질문화』(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한국도자사전』(공저, 경인문화사,2015), 『아차산보루와 고구려 남진경영』(서경문화사, 2013), 『중국 ‘동북공정’ 고구려사 연구논저 분석』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0),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9)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머리에 / 5

1 도성체계 / 양시은
1. 졸본 14
2. 국내도성 26
3. 평양도성 41

2 성곽 / 양시은
1. 고구려 성의 기원 72
2. 고구려 성의 구조 76
3. 고구려의 관방체계 109

3 적석총 / 강현숙
1. 적석총의 구조와 형식 154
2. 적석총의 기원과 변천 과정 172
3. 적석총의 입지와 분포 183
4. 통구분지의 초대형 적석총 191

4 석실봉토분 / 강현숙
1. 석실 227
2. 석실봉토분의 출현과 변천 과정 244
3. 평양도성시기의 왕릉 253

5 고분벽화 / 전호태
1. 기원 284
2. 시기별 변화양상 292
3. 벽화를 통해 본 생활상 338

6 건축유적 / 최종택
1. 궁궐유적 396
2. 사묘유적 410
3. 사찰유적 413
4. 주택유적 432

7 남한의 고구려 유적 / 최종택
1. 성곽 463
2. 고분 491
3. 출토유물 509
4. 역사적 의미 538
찾아보기 556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