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4576 | |
005 | 20230824163108 | |
007 | ta | |
008 | 220811s2021 ulka b 001a kor | |
020 | ▼a 9788961876797 ▼g 039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1 ▼2 23 |
085 | ▼a 953.032 ▼2 DDCK | |
090 | ▼a 953.032 ▼b 2021z3 | |
110 | ▼a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 |
245 | 1 0 | ▼a 고구려 후기 정세 변화와 지배체제 / ▼d 이성제 외 지음; ▼e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 연구소 엮음 |
260 |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1 | |
300 | ▼a 407 p. : ▼b 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고구려통사 ; ▼v 5 |
500 | ▼a 공저자: 임기환, 장창은, 여호규, 김현숙, 양정석, 조경철 | |
504 | ▼a 참고문헌(p.394-396)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성제, ▼e 저 |
700 | 1 | ▼a 임기환, ▼g 林起煥, ▼d 1958-, ▼e 저 ▼0 AUTH(211009)128885 |
700 | 1 | ▼a 장창은, ▼g 張彰恩, ▼d 1973-, ▼e 저 ▼0 AUTH(211009)31148 |
700 | 1 | ▼a 여호규, ▼g 余昊奎, ▼d 1964-, ▼e 저 ▼0 AUTH(211009)117526 |
700 | 1 | ▼a 김현숙, ▼e 저 |
700 | 1 | ▼a 양정석, ▼e 저 |
700 | 1 | ▼a 조경철, ▼e 저 |
830 | 0 | ▼a 고구려통사 ; ▼v 5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953.032 2021z3 5 | 등록번호 1513610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구려사 연구성과와 방법론을 담은 지침서. 고구려사는 한국고대사에서 지난 10년간 가장 큰 변화상을 보였던 분야이다. 고구려사 연구성과를 충실하게 정리하여 학계와 일반에게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고구려사 연구성과와 방법론을 담은 지침서
고구려사는 한국고대사에서 지난 10년간 가장 큰 변화상을 보였던 분야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초기 기사를 적극 활용하여 고구려사 연구의 방향과 방법론이 새롭게 모색되었으며, 정치사와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연구주제가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고고학에서는 북한의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개설적인 정리를 시도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중국에 남아 있는 고구려 고고자료가 소개되고 임진강 이남의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고구려 유적에 대한 조사가 늘어나면서 고분벽화·고분·토기 등 여러 분야에서 독자적인 연구성과물이 나오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고구려통사』 발간은 이러한 고구려사 연구성과를 충실하게 정리하여 학계와 일반에게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막 입문한 이들에게는 고구려사 연구의 지침서가 되고, 역사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는 고구려의 새로운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저자
이성제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桂婁部의 성립과 國內 遷都 試論」(『역사문화연구』 77, 2021), 「고구려 초기 소노부, 계루부의 형성과 졸본」(『사학연구』 136, 2019), 「고구려 國內 遷都 시기 再論」(『사학연구』 132,2018), 「고구려 전기 都城 관련 기사의 재검토」(『역사문화연구』 65, 2018)
장창은 제주대학교 사학과 부교수
『삼국시대 전쟁과 국경』(온샘, 2020), 『한국고대사 탐색의 세 가지 시선』(역사인, 2019), 『고구려 남방 진출사』(경인문화사, 2014), 「4~7세기 삼국 간 전쟁포로의 동향과 그 의미」(『선사와 고대』 67, 2021), 「2020 발행 『중학교 역사②』 교과서 ‘선사문화와 고대국가의 형성’ 지도・그림자료 검토」(『한국학논총』 55, 2021)
이성제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
『譯註 中國正史 東夷傳 2 晉書 ~ 新五代史 高句麗・渤海』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榮留王의 王權 강화와 淵蓋蘇文 政變–高乙德 일가의 官歷을 통해 본 영류왕대 政局–」(『韓國古代史硏究』 104, 2021), 「唐 高宗의 泰山 封禪과 高句麗의 對應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 (『高句麗渤海硏究』64, 2019), 「褥薩의 大城・王都 5部 駐在와 그 職任」 (『韓國古代史硏究 』 92, 2018)
여호규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 편)』(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한국고대사(1)』(공저, 푸른역사, 2016),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신서원, 2014), 『삼국시대 고고학개론(1. 도성과 토목 편)』(공저, 진인진, 2014), 『삼국지 동이전의 세계』(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高句麗 城』 I–II(국방군사연구소, 1998~1999)
김현숙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
『고구려의 왕과 왕자들』(동북아역사재단, 2019), 『고구려 남자, 고구려 여자』(동북아역사재단,2019),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모시는사람들, 2005), 「고구려 초기 王城의 위치와 國內 遷都」 (『先史와古代』 54, 2017), 「광개토왕비, 집안고구려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수묘제 정비」 (『영남학』 26, 2014), 「集安高句麗碑의 건립시기와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72, 2013)
양정석 수원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
「태봉 철원도성의 고지형과 구조 분석 연구」 (공저, 『文化財』 92, 2021), 「渤海 宮闕構造의 系譜에 대한 檢討–上京城과 西古城의 宮殿址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56, 2010), 「高句麗安鶴宮 中央建築群에 대한 考察–前殿 高臺建築形制의 채용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56,2008), 「安鶴宮 南宮 正殿廓의 構造를 통해 본 高句麗 都城制」 (『고구려의 국제 관계』, 2005)
조경철 연세대학교 사학과 객원교수
『나만의 한국사』(백두문화재연구원출판부, 2020), 『한국고대사』(공저, 푸른역사, 2017), 『백제불교사연구』(지식산업사, 2015), 「백제 대통사와 『법화경』 「화성유품」 신앙(『한국사상사학』68, 2021), 「일연 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불교철학』 9, 2021), 「고려 광개토왕대 불교와 유교의 전개양상」(『한국고대사학회』 68, 2012), 「주몽고려, 궁예고려, 왕건고려, 코리아의 단절과 계승」(『역사와현실』 109, 2018)
정보제공 :

목차
책머리에 / 5
1 국내외 정세의 변화
1장 국내 정국의 변화와 귀족연립체제의 성립 / 임기환
1. 6세기 이후 국내 정국의 변화 18
2. 후기 정치세력의 형성 및 존재양상 32
3. 귀족연립체제의 정치 운영방식 46
2장 백제, 신라에 대한 대응과 한강 유역 상실 / 장창은
1. 고구려의 한강 유역 일대 지배방식과 관련된 논점 62
2. 삼국 간 역관계의 변화 78
3. 551년 나·제 동맹군의 급습과 한강 유역 상실 과정 93
4. 고구려의 한강 유역 상실 배경과 역사적 의미 107
3장 남북조 및 주변 국가와의 대외관계 / 이성제
1. 6세기 전반 북위·양과의 관계 123
2. 돌궐의 침입과 북제 문선제의 유인 송환 요구 130
3. 신라의 대북제외교와 북제의 진흥왕 책봉 138
4. 고구려의 대왜외교 추진과 대외전략 147
5. 거란·말갈과의 관계와 요서 경영 158
2 후기 지방지배체제의 재편
4장 중앙정치체제의 재편 / 여호규
1. 후기 관등제의 구조와 운영 175
2. 대대로 중심의 권력구조와 막리지·대로의 실체 188
3. 관등·관직의 관계 및 중앙관서의 운영체계 202
4. 관제 운영에 나타난 신분제 구조 209
5장 지방지배체제의 재편 / 김현숙
1. 후기 지방통치제의 구조 224
2. 후기 고구려 지방관의 성격 231
3. 후기 지방제의 운용방식 248
4. 말갈에 대한 지배방식 266
6장 장안성의 축조와 이거 / 양정석
1. 장안성의 위치와 축조 ,그리고 이도의 배경 287
2. 장안성 축성 시기와 과정의 복원 299
3. 장안성 외성의 가로구획과 동아시아 도성제 315
4. 후기 도성으로서 장안성의 의미 326
3고구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7장 유·불·도 삼교와 역사서 편찬 및 문학 / 조경철
1. 유·불·도 삼교와 정치변동 339
2. 역사서 편찬과 문학 및 참언 385
찾아보기 / 397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