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패권의 미래 : 미중 전략 경쟁과 새로운 국제 질서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승주, 李昇柱, 1966-, 저 전재성, 全在晟, 1965-, 저 김상배, 金湘培, 1965-, 저 유인태, 저 김연규, 金淵奎, 1965-, 저 김용신, 저
Title Statement
패권의 미래 : 미중 전략 경쟁과 새로운 국제 질서 / 이승주 외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21세기북스 :   북이십일,   2022  
Physical Medium
334 p. : 도표 ; 23 cm
Series Statement
경제사회연구원 총서 ;5
ISBN
9788950902995
General Note
공저자: 전재성, 김상배, 유인태, 김연규, 김용신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91-315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4222
005 20230329091105
007 ta
008 220809s2022 ulkd b 000a kor
020 ▼a 9788950902995 ▼g 0334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7.73051 ▼2 23
085 ▼a 327.73051 ▼2 DDCK
090 ▼a 327.73051 ▼b 2022z4
245 0 0 ▼a 패권의 미래 : ▼b 미중 전략 경쟁과 새로운 국제 질서 / ▼d 이승주 외 지음
260 ▼a 파주 : ▼b 21세기북스 : ▼b 북이십일, ▼c 2022
300 ▼a 334 p. : ▼b 도표 ; ▼c 23 cm
490 1 0 ▼a 경제사회연구원 총서 ; ▼v 5
500 ▼a 공저자: 전재성, 김상배, 유인태, 김연규, 김용신
504 ▼a 참고문헌: p. 291-315
700 1 ▼a 이승주, ▼g 李昇柱, ▼d 1966-, ▼e▼0 AUTH(211009)141248
700 1 ▼a 전재성, ▼g 全在晟, ▼d 1965-, ▼e▼0 AUTH(211009)34467
700 1 ▼a 김상배, ▼g 金湘培, ▼d 1965-, ▼e▼0 AUTH(211009)3877
700 1 ▼a 유인태, ▼e
700 1 ▼a 김연규, ▼g 金淵奎, ▼d 1965-, ▼e▼0 AUTH(211009)100988
700 1 ▼a 김용신, ▼e
830 0 ▼a 경제사회연구원 총서 ; ▼v 5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73051 2022z4 Accession No. 11187862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1-3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73051 2022z4 Accession No. 1513609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73051 2022z4 Accession No. 11187862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1-30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73051 2022z4 Accession No. 1513609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은 비교적 오래된 이슈이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의 패권 전략 변화, 4차 산업혁명으로 표현되는 첨단 기술,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디지털 세상의 전개 등으로 경쟁은 새로운 양상을 띠게 되었다. 개별 쟁점이 다른 다양한 쟁점들과 연계하는 ‘다차원적 복합 게임’으로 접어든 것이다. 이것은 경제-안보 연계 전략으로 귀결된다.

그럼에도 미국과 중국의 대립을 다룬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무역, 환율, 안보, 기술 등 개별 쟁점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패권 경쟁의 변화된 양상을 입체적으로 조망하지 못함으로써 전체적 상을 보는 데 부족했다. 이런 상황에서 『패권의 미래』는 미중 전략 경쟁에 관한 진전된 통찰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디지털과 첨단 기술, 희소 자원 등 새롭게 확장된 전장의 모습을 상세히 담았으며, 개별 쟁점이 어떻게 연계하여 경제-안보로 통합되는지를 집요하게 추적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은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
국내 최고 전문가 6인이 말하는 미중경쟁의 실체

국제정치·첨단기술·무역·디지털·자원·안보 등
전방위적 극한 대립으로 치닫는 미중 패권 경쟁
가열된 경쟁의 본질과 한국의 대응 전략을 말하다!

미국의 자국 중심주의와 상대적 패권 약화의 틈을 파고들며 중국이 급부상하면서 패권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 그러나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며 다시 세계 질서의 리더십을 회복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중국은 패권을 향한 야욕을 더 강하게 드러냄에 따라 각 분야에서 경쟁과 대립이 격화되었다. 특히 디지털과 첨단 기술 등의 새로운 전장이 추가되었다. 여기에 제3국의 자기 안보와 이해관계를 추구하는 대응 전략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패권 전쟁의 양상은 입체적으로 변모했다.
미국과 중국이 다양한 분야에서 펼치는 경쟁과 대립은 언뜻 보면 그 사안의 독자적 문제로 보인다. 하지만 모든 전장은 안보와 패권의 구축으로 모이는 형국이다. 예를 들어 첨단 기술은 더는 개별 기업이나 산업의 문제가 아니다. 가치 사슬로 이어진 국내외 산업 생태계, 개인정보 등 비전통 안보 분야 등장, 신무기 개발 경쟁과 군비 확대 등과 연계되어 안보와 패권의 문제로 확장된다.
또한, 미국과 중국은 기술·산업·경제 이슈에 지정학적 이해관계를 투사하고, 양자·지역·다자 차원의 연계를 추구한다. 표면적으로는 개별 이슈에 대하여 양자 차원에서 접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더 심층적으로는 이슈의 연계와 장의 연계를 동시에 추구하는 입체적 접근을 하고 있다.
세계 질서의 패권을 장악하기 위한 미국과 중국의 심화된 전략 경쟁을 제대로 이해하는 일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국제 질서의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미중 패권 경쟁은 새로운 지정학과 지경학을 형성하며 세계 질서를 바꾸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진면목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깊어지는 미중 대립 속에 선택을 강요받는 대한민국이 생존과 번영을 위한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러한 이해와 통찰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격화된 패권 전쟁의 양상과 본질, 전개 방향과 변화의 양상
6명의 국내 최고 전문가가 지구촌의 절박한 이슈를 분석한다

[안보] 과거 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으로 국제적 리더십이 약화된 미국은 그 회복을 위해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그 핵심은 인도·태평양이라는 새로운 지역 개념을 바탕으로 한 중국 견제이다. 이에 대해 중국은 대만과 남중국해를 중심으로 반접근·지역 거부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계 안보 지형의 변화가 동반되는 중이다.
[기술]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신흥 첨단 기술을 놓고 미국과 중국은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기술 주도권 경쟁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기술과 안보의 결합이다. 미래 국력 경쟁에서 첨단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기술 경쟁력은 안보로 이어지는 것이다. 기업과 산업 차원을 넘어 패권과 안보의 문제로 확장된 기술 변수는 중견국 한국에 새로운 도전을 던진다.
[무역] 다차원적 복합 게임으로서의 미중 전략 경쟁의 양상이 잘 드러나는 대표적 분야가 무역이다. 표면적으로는 미국의 무역 수지 적자 문제를 내걸었지만, 이는 불균형 해소 차원을 넘는 질적 문제이다. 공급 사실 재편이나 기술 경쟁 다양한 쟁점을 동시다발적으로 제기하고 지정학적 이해관계를 투사하며 경쟁과 강등의 장으로서 양자·지역·다자 구도를 연계함으로써 자국에 유리한 세계 경제 질서를 구축하려 시도하고 있다.
[디지털] 디지털은 패권이 부닥치는 새로운 전장이다. 무역 질서를 지탱하는 글로벌 다자주의 레짐에서 데이터의 초국경적 이동에 대한 국제 사회의 합의가 부재한 상황에서 디지털 강국들이 각자의 디지털 무역 질서를 경쟁적으로 수립해나가고 있다. 기존 글로벌 다자주의 레짐에 대한 불만과 강대국 간 이익의 불합치가 보완재적인 다양한 국지적 국제 디지털 무역 레짐들로 이어지는 상황이다.
[자원] 첨단 기술과 제품은 새로운 자원을 필요로 한다. 특히 희토류와 희소 금속은 ‘21세기판 석유’ 또는 ‘첨단 산업의 비타민’으로 불리며,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이런 자원의 원재료 채굴, 중간 가공, 최종 부품 제조로 이어지는 글로벌 밸류 체인 장악을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중국이 멀찍이 앞서가고 그 뒤를 미국을 중심으로 한 강대국들이 뒤따르는 상황이다. 희토류와 희소 금속의 국내 공급망 구축이 절실하다.
[패권] 중국은 기술과 외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시장을 매개로 기술을 교환하는 시장환기술 정책을 취하였으나, 이를 버리고 자주창신과 공격적 법리주의 전략으로 이동했다. 이것이 미국을 자극하여 패권 경쟁을 촉발한 측면이 있다. 경쟁은 무역에서 출발하여 기술로 확장되었고 이제 비전통 안보 영역에서 무기 전쟁이 벌어졌다. 미국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은 국가자본주의에서 당-정 자본주의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 함께 읽으면 좋은 21세기북스의 책들
▶ 경제의 길 | 권남훈 외 9인 지음 | 2021년 11월 30일 출간 | 18,000원
▶ 한반도, 평화를 말하다 | 최대석 외 15인 지음 | 2021년 11월 30일 출간 | 24,000원

☞ 21세기북스 채널에서 도서 정보와 다양한 영상자료, 이벤트를 만나세요!
▶ 페이스북 facebook.com/jiinpill21 ▶ 포스트 post.naver.com/21c_editors ▶ 인스타그램 instagram.com/jiinpill21
▶ 홈페이지 www.book21.com ▶ 유튜브 youtube.com/book21pub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전재성(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2019) 등이 있다.

김상배(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흥안보, 사이버 안보,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 미래전, 중견국 외교 등이다. 대표 저서로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기술·안보·권력의 복합지정학』(2022),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한국』(2018),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2014) 등이 있다.

김연규(지은이)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 학사, 터프츠대학교 국제관계학 석사, 퍼듀대학교 정치학 박사, 현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현 한양대학교 에너지거버넌스센터 센터장 YOUN2302@hanyang.ac.kr

이승주(지은이)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South Korea’s Economic Statecraft in a Risky High-Tech World”(2022), “Changes in Interdependenc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New Dynamics of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2022), 『패권의 미래: 미중 전략 경쟁과 새로운 국제 질서』(2022) 등이 있다.

유인태(지은이)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에서 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정치(경제)가 전공이며, 사이버 안보의 정치, 디지털 무역의 국제정치경제, 인터넷 거버넌스, 디지털 이슈를 둘러싼 국제개발협력과 안보의 교차점에 관심이 있다. 최근 연구로는 “Cybersecurity Crisscross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Korea Observer 53(4)), “Emergence of Indo-Pacific Digital Economic Order” (Asian Journal of Peace Building 10(2)), “Internet Governance Regimes by Epistemic Community” (Global Governance 25(1)) 등이 있다.

김용신(지은이)

인하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인문학부에서 중문학·사회학을 이중 전공하고, 정치외교를 부전공으로 하여 학부를 졸업했다. 이후 같은 학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하와이대에서 중국 정치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과정 당시 홍콩 중문대학교, 베이징대학교, 난카이대학교 등에서 방문학자로 있으면서 중국 관련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정치경제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장 미중 전략 경쟁과 지경학의 국제 정치(이승주)
1. 미중 전략 경쟁: 이슈의 결합
2. 기술 경쟁과 신흥 안보
3. 장의 연계
4. 세계 질서의 변화와 한국

2장 신세계 질서와 세계 안보: 미국의 전략(전재성)
1. 무너진 기대
2. 탈냉전기 30년의 세계 질서와 미국 패권 안보 전략
3. 트럼프/바이든 시대의 미 패권 전략과 신세계 질서
4. 미중 안보 경쟁의 심화와 새로운 안보 질서
5. 앞으로의 미중 전략 경쟁

3장 신흥 기술 안보와 미중 패권 경쟁(김상배)
1. 다차원적 국력 경쟁 양상
2. 미중 기술 경쟁과 공급망 및 사이버 안보
3. 미중 플랫폼 경쟁과 데이터 안보
4. 미중 첨단 무기 경쟁과 민군 겸용 기술 안보
5. 국가 신흥 기술 안보 전략 수립이 절실

4장 미중 무역 전쟁: 트럼프 행정부의 다차원적 복합 게임(이승주)
1. 다차원적 복합 게임
2. 미중 경쟁의 복합 게임
3. 미중 경쟁의 다차원화: 양자·다자 연계와 시스템 경쟁
4. 장의 연계

5장 미중 디지털 패권 경쟁과 초국적 데이터 거버넌스(유인태)
1. 데이터의 국경 간 이동에 관한 레짐의 동학
2. 디지털 무역의 국제 정치·경제 연구
3. 초국적 데이터 흐름에 대한 경쟁적 다자주의 이론
4. 특혜 무역 협정을 통한 국가 간 데이터 이동의 레짐 형성
5. 디지털 무역 레짐의 분화 가능성

6장 미중 희토류·희소 금속 패권 경쟁(김연규)
1. 첨단 기술 시대의 자원 쟁탈전
2. 희토류, 왜 21세기 최고의 전략 자원인가
3. 희토류를 넘어 희소 금속이 문제이다
4. 자원 발(發) 미중 신냉전 체제
5. EU의 희토류·희소 금속 대응
6. 우리나라의 희토류·희소 금속 대응

7장 미중 전략 경쟁하의 중국의 경제-안보 딜레마(김용신)
1. 안보 딜레마 상황이 초래된 맥락
2. 미중 통상 전쟁의 구조적 원인
3. 중국의 산업 정책
4. WTO 내에서 중국의 공격적인 무역 구제
5. 미중 전략 경쟁의 안보 딜레마와 당-정 자본주의로의 전환
6. 중국 당-정 자본주의의 전개 상황

참고 문헌
주석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和田春樹 (2023)
Kissinger, Henry (2023)
국중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