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4159 | |
005 | 20230109141817 | |
007 | ta | |
008 | 220809s2022 ulka 000a kor | |
020 | ▼a 9791197412349 ▼g 130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70.4/0285 ▼2 23 |
085 | ▼a 070.40285 ▼2 DDCK | |
090 | ▼a 070.40285 ▼b 2022z2 | |
245 | 0 0 | ▼a 세상을 바꾸는 데이터저널리즘 with 뉴스타파 : ▼b 쉽게 배워 실전에 바로 쓰는 데이터 활용법 / ▼d 최윤원 [외]지음 |
260 | ▼a 서울 : ▼b 뉴스타파, ▼c 2022 | |
300 | ▼a 318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 |
490 | 1 0 | ▼a 뉴스통신진흥총서 ; ▼v 35 |
490 | 1 0 | ▼a 탐사보도워크북 ; ▼v 1 |
500 | ▼a 공저자: 김강민, 연다혜, 김지연, 김용진 | |
536 | ▼a 이 책은 뉴스통신진흥자금을 지원받아 저술·출간되었음 | |
700 | 1 | ▼a 최윤원, ▼e 저 |
700 | 1 | ▼a 김강민, ▼e 저 |
700 | 1 | ▼a 연다혜, ▼e 저 |
700 | 1 | ▼a 김지연, ▼e 저 |
700 | 1 | ▼a 김용진, ▼e 저 |
830 | 0 | ▼a 뉴스통신진흥총서 ; ▼v 35 |
830 | 0 | ▼a 탐사보도워크북 ; ▼v 1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0285 2022z2 | 등록번호 5110572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70.40285 2022z2 | 등록번호 1513608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0285 2022z2 | 등록번호 5110572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70.40285 2022z2 | 등록번호 1513608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뉴스통신진흥총서 35권. 데이터저널리즘으로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다. 이 책에서는 우리를 둘러싼 환경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집중해서 다룬다. 『세상을 바꾸는 데이터저널리즘 with 뉴스타파』와 함께 우리 사회를 이롭게 하는 데이터의 세계에 빠져보시기 바란다.
좋은 데이터저널리즘은 세상을 바꿉니다
⬥ 고위 공직자들은 어느 지역에 주택을 갖고 있고, 가액은 얼마나 될까? 주택 이외 부동산은 어느 지역에 보유하고 있을까? 부동산 이외에는 어떤 재산을 얼마나 갖고 있을까?
⬥ 정치인들은 정치후원금을 누구에게 얼마나 받아서, 어디에 어떻게 사용했을까? 내가 사는 지역구 의원은? 대선후보나 시장후보는?
⬥ 내가 다니는 대학교의 총장은 학생들이 낸 학비에서 나오는 업무추진비를 어디에 얼마나 사용했을까? 혹시 골프장 이용이나 호텔 회원권 구입에 사용하지는 않았을까?
⬥ 가짜 국제학술지나 학술단체에 참여한 한국인 연구자나 교수는 누구이고 얼마나 될까? 어느 대학 교수가 가장 많이 갔을까? 고등학생은 없을까? 대학 입학용 스펙을 만들기 위해 약탈적 학술지를 이용한 장관후보자 자녀는 얼마나 될까?
위 질문에 해답을 찾을 가장 강력한 수단은 뭘까요? 바로 데이터저널리즘입니다. 데이터저널리즘으로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합니다. 이 책에서는 우리를 둘러싼 환경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집중해서 다룹니다. 『세상을 바꾸는 데이터저널리즘 with 뉴스타파』와 함께 우리 사회를 이롭게 하는 데이터의 세계에 빠져보시기 바랍니다.
쏟아지는 정보 속, 진짜를 찾는 방법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궁금한 것들을 직접 찾아봅니다. 포털사이트에서 어제 야구 경기 결과를 확인하고 오늘 날씨를 검색합니다. 유튜브에서 가구 조립하는 방법을 찾아보고, 인스타그램에서 구매할 물건을 둘러보기도 합니다. 뭔가 필요해서 검색하는 것 말고도 습관적으로 잡다한 가십과 뉴스를 보고 듣고 검색합니다.
이렇게 확인하는 정보들, 모두 믿을 수 있을까요? 그 많은 정보는 모두 어디에서 왔을까요? ‘나무위키’에 나온 내용을 인용해 보고서나 발표를 준비해도 될까요? 탐사보도를 할 때 얼마나 많은 자료를 찾고 보고 확인할까요? 우리는 어떤 정보를 믿어야 할까요?
인터넷에는 수많은 정보가 떠다닙니다. 그러나 모든 정보가 정확한 건 아니죠. 애써 검색해 찾은 자료가 가짜뉴스이거나 광고일 때도 있습니다. 검색 사이트 이용자는 인터넷에서 자료를 검색하면 누구나 같은 결과를 찾는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포털은 이용자에 따라 검색 결과 콘텐츠를 다르게 배열하고, 이용자의 검색 패턴을 파악해 맞춤형 검색 결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인터넷 검색창을 활용한 정보 검색은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누구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정보를 찾는 게 중요합니다.
-본문 일부 발췌-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데이터로 더 좋은 탐사보도를 하고 싶은 기자
⬥ 데이터로 효율적인 작업을 하고 싶은 직장인
⬥ 데이터 분석을 배우고 싶은 모든 분들
이 책을 봐야 하는 이유
⬥ 데이터의 모든 것: 데이터저널리즘의 역사부터 데이터 수집, 정제, 분석, 시각화까지 데이터의 전 과정을 한 권에 담았습니다.
⬥ 초보자도 쉽게: 처음부터 끝까지 따라하는 것만으로 데이터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집니다.
⬥ 정보공개청구: 데이터 분석의 시작은 정보 수집입니다. 숨어있는 정보를 수집하는 유용한 방법, 정보공개청구 제도를 학습합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윤원(지은이)
뉴스타파 기자. 데이터를 주로 다룬다.
김강민(지은이)
뉴스타파 데이터 기자. 시빅해킹 모임 코드포코리아 활동가이기도 하다. 특기분야는 데이터 정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저널리즘 활동으로 더 나은 민주주의를 만들 수 있다고 믿는다.
연다혜(지은이)
뉴스타파 데이터 기자. 데이터에서 이야기를 찾는다. 나의 북돋움이 당신께 닿기를 바라며 이 책을 썼다.
김지연(지은이)
뉴스타파 데이터 기자. 데이터 시각화를 담당하고 있다.
김용진(지은이)
뉴스타파 대표. 1987년 KBS 기자가 돼 탐사보도팀장 등을 지냈다. 2005년 KBS탐사보도팀 창설 때 CAR 기법을 취재 실무에 본격 도입했다. 데이터저널리즘은 탐사보도의 필수 요소라고 믿는다.

목차
01 데이터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 데이터와 저널리즘이 만났을 때 ● 데이터저널리즘은 언제 생겼을까 ● 데이터저널리즘의 특징 몇 가지 ● 데이터저널리즘은 [ ]다 ● 데이터로 더 좋은 저널리즘을 ● You need Python 02 탐사보도를 위한 리서치 ● 인터넷 정보와 검색 ● 더 정확하게 검색하기 ● 구글 책 미리보기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고위공직자 재산 검증하기 ● 전문 사이트 활용 보도사례 ● 뉴스타파 데이터포털 활용하기 03 탐사보도를 위한 정보공개청구 ● 정보공개청구란 무엇인가 ● 정보공개청구 개념 잡기 ● 실전 정보공개청구 ● 정보공개청구 처리 절차 ● 정보공개법을 알아보자 ● 정보공개 팁! 직접 보고 따라하기 ● 정보공개청구를 활용한 탐사보도 사례 04 데이터 수집 ● IMPORTXML ● 크롬 개발자 도구 XHR ● 데이터 수집 시 주의할 것들 ● 파이썬으로 웹 자료 수집하기 05 데이터 정제 ● 데이터저널리즘과 데이터 정제 ● 스프레드시트로 데이터 정제하기 ● 오픈리파인로 데이터 정제하기 ● 파이썬으로 데이터 정제하기 06 데이터 분석 ● 데이터저널리즘 작업 과정 ● 데이터에서 기삿감 찾기 ● 데이터리터러시 ● 스프레드시트로 데이터 분석하기 ● 파이썬으로 데이터 분석하기 07 데이터 시각화란 무엇인가? ● 데이터 시각화란? ● 데이터저널리즘에서 시각화 사례 분석 ● 데이터 시각화 요소 이해하기 ● 데이터 시각화 Do & Don’t 08 데이터 시각화 실습 ● 간단하게 만들기 ● 스프레드시트로 데이터 시각화하기 ● 막대차트 그리기 ● 구글 지도로 데이터 시각화하기 ● 매핑 시각화 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