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담론의 이해 : 담화, 담론적 전환, 비판적 담론연구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신동일
Title Statement
담론의 이해 : 담화, 담론적 전환, 비판적 담론연구 / 신동일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책세상,   2022  
Physical Medium
348 p. : 삽화 ; 22 cm
ISBN
9791159318504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4074
005 20220817165601
007 ta
008 220809s2022 ulka 001a kor
020 ▼a 9791159318504 ▼g 937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401.41 ▼2 23
085 ▼a 401.41 ▼2 DDCK
090 ▼a 401.41 ▼b 2022
100 1 ▼a 신동일
245 1 0 ▼a 담론의 이해 : ▼b 담화, 담론적 전환, 비판적 담론연구 / ▼d 신동일 지음
246 1 1 ▼a Discourse, discursive turn, critical discourse studies
260 ▼a 서울 : ▼b 책세상, ▼c 2022
300 ▼a 348 p. : ▼b 삽화 ; ▼c 22 cm
500 ▼a 색인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401.41 2022 Accession No. 15136069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응용언어학자 신동일 교수가 저술한 담론연구 입문서. 1인 유튜버의 영향력조차 무시할 수 없는 시대가 되면서 담론연구의 필요성은 갈수록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담론연구에 관한 기존 단행본은 체계적인 설명이 부족하거나, 너무 어렵거나, 사례가 오래전 자료여서 입문자가 참고하기 어려웠다. 이 책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기획되어, 총 4부로 구성하여 담론에 관한 기초적인 학습부터 담론자료의 분석 방법, 담론의 실행과 리터러시까지 다루었다.

새로 쓰인 담론연구 입문서
응용언어학자 신동일 교수가 저술한 담론연구 입문서. 1인 유튜버의 영향력조차 무시할 수 없는 시대가 되면서 담론연구의 필요성은 갈수록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담론연구에 관한 기존 단행본은 체계적인 설명이 부족하거나, 너무 어렵거나, 사례가 오래전 자료여서 입문자가 참고하기 어려웠다. 이 책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기획되어, 총 4부로 구성하여 담론에 관한 기초적인 학습부터 담론자료의 분석 방법, 담론의 실행과 리터러시까지 다루었다.

담론연구가 왜 중요한가?

사회구성원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세상은 불안정하고 모순적이지만 한편으로는 역동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담론은 텍스트와 콘텍스트로 직조된 복잡한 세상을 구성하는 경로(과정)이면서 이미 구성된 체계 그 자체(결과)이기도 하다. 담론은 텍스트로 만들어진 체계이면서 신념과 가치의 지식체계이기도 하다.
텍스트를 만들고 전달하는 매체가 넘치고, 1인 유튜버의 영향력조차 무시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다양한 담론주체가 담론의 생산과 경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이익집단이 늘어나고 욕망과 쟁점이 계속 드러난다. 자신의 이해(권력)관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주체가 늘면서, 감정적이면서 논리적인, 혹은 미시적 텍스트와 거시적 이데올로기를 잘 결합한 지식구성물의 생산, 유통, 소비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책의 구성

책의 1부는 총론으로, 담론의 속성을 쉬운 예시를 통해 설명했다. 텍스트로부터 구성된 콘텍스트, 콘텍스트에서 생산되는 텍스트는 담론의 매개로부터, 혹은 담론의 실천 혹은 관행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텍스트-콘텍스트, 미시-거시, 언어-권력, 개인의 능동성-사회(적 구조)의 변증법적 관계 역시 담론의 실천과 관행으로 이해할 수 있다.
2부에서는 담론의 층위를 미시와 거시 수준으로 구분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간단한 예시자료를 제시했다. 이데올로기 개념을 허위의식, 규범적 신념체계, 사회적 실천/관행 등으로 나누고 헤게모니 개념과 구분했다. 이데올로기 분석과 담론분석도 구분하고 경쟁하는 담론들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담론분석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스티븐 툴민의 논증 구조 개념을 쉽게 소개했다.
3부에서는 담론자료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담론이 삼차원(텍스트, 상호텍스트성, 이데올로기) 층위에서 변증법적으로 실행된다고 보는 페어클러프의 분석모형을 참고하면서 저자가 수집하고 분석한 담론자료를 추가했다. 텍스트 분석의 절차를 체계기능언어학의 범주로부터 기술하고, 사회구성원의 기억과 기대로부터 생산되고 유통되고 소비되는 서로 얽힌 텍스트들의 실천과 관행을 해석하면서, 지배적인 혹은 경쟁하는 이데올로기들의 개입과 경합을 설명하는 절차를 하나씩 소개했다.
4부에서는 지배적인 담론을 분석하거나 대항/대안 담론을 새롭게 기획하는 일이 누구에게 왜 필요한지 부연했다. 담론의 리터러시를 획득할 때 각자의 삶의 질서와 정체성, 혹은 권력관계와 사회구조를 새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신동일(지은이)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한국인이 ‘또 다른 언어’를 배우거나 사용하면서 발생한 문제적 상황을 개인의 결핍으로 보지 않고 사회구조적 관점으로 탐구하는 언어평가학, 문화언어학 연구자이다. 언어, 기호, 대화, 서사, 담론, 교육, 평가, 심리, 사회, 통치, 정책, 미디어, 콘텐츠, 미학 분야 등을 횡단하며 학제적 연구활동을 한다. 앞으로도 차별의 경험과 부적절한 관행이 언어능력과 언어사용의 의미에 어떻게 개입하는지 주목할 것이며 언어감수성과 언어통치성 연구에 자유, 차이와 다양성, 횡단, 도시공간, 생태, 실용 등의 가치를 보태고자 한다.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140편의 논문을 게재하고 《담론의 이해》, 《앵무새 살리기》, 《접촉의 언어학》 등의 책을 출간했다. 자유, 사랑, 존귀한 삶의 양식을 찾을 때 언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공부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용어와 표기법

1부. 담론의 이해
1장. 담론의 예시
1. 예시 1: 하치코 이야기
2. 예시 2: 위안부 이야기
2장. 담화, 담론의 개념
1. 기본 개념
2. 담론적 전환
3. 담론으로 구성된 세상
3장. 담론의 개입
1. 실천과 관행
2. 언어-사회 관계성을 인식하는 두 관점
3. ‘혼밥’ 토론: 담론의 매개적 역할
4장. 담론의 역할
1. 정보 전달
2. 행위 유도
3. 정체성과 사회질서 구성
5장. 담론의 이동성과 역사성
1. 담론의 이동과 상호텍스트성
2. 담론의 생산, 유통, 소비
3. 담론의 기획/생성, 유지/경쟁, 확장/소멸
6장. 담론의 정치성
1. 진실과 진실의 효과
2. 담론의 개입과 삶의 정치
7장. 담론의 구조와 층위
1. 미시와 거시
2. 텍스트 배치, 담론의 매개, 이데올로기 작동
3. 텍스트, 논리적 프레임과 감정적 가치, 입장

2부. 담론자료의 이해
8장. 미시 자료의 이해
1. 비판적 언어학
2. 미시 분석의 예시
3. 텍스트의 자질
9장. 거시 자료의 이해
1. 허위의식으로서의 이데올로기
2. 규범적 신념체계로서의 이데올로기
3. 실천/관행으로서의 이데올로기
4. 이데올로기 vs. 헤게모니, 이데올로기 분석 vs. 담론분석
10장. 경쟁하는 담론들
1. 담론들의 갈등과 경쟁
2. 담론경쟁이 허락된 곳: 민주적 공론장
3. 툴민의 논증 구조

3부. 담론자료 분석방법
11장. 텍스트 분석: 기술 단계
1. 할리데이의 체계기능문법
2. 페어클러프 모형
12장. 텍스트 분석의 예시
1. 어휘 분석
2. 문법 분석
3. 문장 결합 분석
4. 전체 텍스트의 배열 구조
5. 예시: 대중가요 가사 분석
13장. 상호텍스트성 분석: 해석 단계
1. 상호텍스트성의 이해
2. 텍스트와 텍스트 연결: 생산, 유통, 소비
14장. 상호텍스트성 분석의 예시
1. 장르 분석
2. 스타일 분석
3. 핵심주제 분석
4. 예시: 홍보자료 분석
15장. 이데올로기 분석: 설명 단계
1. 이데올로기 분석의 두 가지 접근
2. 이데올로기의 접합, 탈접합, 재접합
3. 예시: 접합된 이데올로기 분해하기

4부. 담론의 기획, 담론 리터러시
16장. 왜 누구에게 필요한가?
1. 왜 담론을 기획하는가?
2. 누가 담론을 분석하는가?
17장. 담론 리터러시
1. 담론의 구조, 역사성, 정치적 효과
2. 삶을 변화시키는 담론의 리터러시

후기
미주
찾아보기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