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3655 | |
005 | 20220808125412 | |
007 | ta | |
008 | 220805s2022 ulka 000c kor | |
020 | ▼a 9791165192464 ▼g 03370 | |
035 | ▼a (KERIS)BIB000016168748 | |
040 | ▼a 241026 ▼c 241026 ▼d 211009 | |
082 | 0 4 | ▼a 153.35 ▼2 23 |
085 | ▼a 153.35 ▼2 DDCK | |
090 | ▼a 153.35 ▼b 2022z4 | |
100 | 1 | ▼a 이선영 |
245 | 1 0 | ▼a 창의성 바로미터 = ▼x Creativity / ▼d 이선영 |
260 | ▼a 서울 : ▼b 박영story : ▼b 피와이메이트, ▼c 2022 | |
300 | ▼a 298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3 cm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3.35 2022z4 | 등록번호 11186773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창의성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가?”로부터 시작하는 창의성 이야기는 창의적인 사람들의 특징, 창의성 발견과 계발 및 교육 등을 주된 축으로 하여 창의성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창의성은 결코 만만치 않은 주제이다. 그러나 알면 알수록 빠져드는 묘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또한 창의성이다.
“우리는 창의성을 너무 모르지만 많이 알고 싶어한다.”
작년 이맘 때에 처음으로 부모를 위한 영재교육 단행본인 “우리 아이도 영재로 키울 수 있다(출판사: 박영스토리)”를 출간하였다. 2019년 가을, 대학에서 처음으로 맞이한 안식년 첫 학기 때 기획했던 단행본이 발간된 것이다. 당시 영재교육 책과 함께 고려했던 것이 창의성 교육에 대한 것이었다. 여러 번 고심을 거듭한 끝에 영재교육 단행본을 먼저 출간하기로 하고 두 번째 것으로 기획했던 것이 바로 이 책,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이야기, “창의성 바로미터”이다.
미국 대학원 박사과정에 진학하면서 처음으로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해서 배웠다. 필자가 유학을 간 곳은 미국 남동부의 조지아대학교(The University of Georgia)였다. 에덴스(Athens)에 있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주립 대학교로 교육대학(College of Education)에 있는 교육심리학과에 4개의 세부 전공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영재교육과 창의성 교육 전공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재교육과 창의성 교육을 별개의 교육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필자가 공부한 학문으로서의 영재교육과 창의성 교육은 개인의 잠재성을 발견하고 계발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는 재능계발교육의 한 가지이다. 그리고 최소한 필자는 그렇게 믿고 있다. 그럼에도 영재교육과 창의성 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대상이나 대상의 특징, 그리고 영재성과 창의성의 본질적인 속성에서 이들 간 분명히 차별화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필자도 영재교육과는 별개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이야기를 해왔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이야기이다.
창의성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고 관심 있어 하는 주제이기에 많은 이야기를 담을 수 있다. 그러나 이해하기 어렵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정작 자신에게는 해당이 되지 않는 “나와는 거리가 먼 것”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많다.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학교에서보다 오히려 창의성을 강조하고 중요하게 생각해왔던 곳은 기업을 비롯한 조직이나 사회, 그리고 국가였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교육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과 국가 차원에서도 창의성은 여러모로 그것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언급되고 있다. 가령, 창의인재양성은 교육을 넘어 사회와 국가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핵심 과제가 되었다. 미래 사회를 이야기하면서 거의 항상 빠지지 않고 포함된 문구가 “창의인재육성”이었으니 창의성이 우리의 생존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얼마나 중요한 핵심 역량인지 짐작해볼 수 있다.
창의성 교육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그것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필자의 기억으로도 미국 생활을 마치고 서울로 돌아온 2009년 가을 이래, 우리나라 교육의 중심 화두에서 창의성이 빠진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아마도 그 이전에도 그랬을 것 같다. 2010년부터 교육현장에서 공식적으로 강조되어 온 창의·인성교육을 필두로 이후 교육의 중심 어젠다로 우뚝 선 융합교육, 그리고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결로 초미의 관심사가 되어버린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에 기반한 교육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교육을 대변하는 제목들은 조금씩 달라졌지만 각각이 지향하는 목표는 동일했다. 바로 창의성이다. 창의성 계발이 우리 교육에서 풀어야 하는 당면 과제이자 궁극적인 목적이 되어버린 것이다. 그러나 창의성에 대한 이와 같은 관심과 호감과는 별도로 창의적인 사람에 대해서 우리는 양가감정을 가지고 있다. 보다 정확하게 꼬옥 집어서 말하자면, 창의성은 중요하고 창의성을 반드시 길러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창의적인 사람들은 좋아하지는 않는다. 왜 그런 것일까? 창의성을 공부하고 연구하고 교육하는 필자에게 이 문제는 지속적인 고민거리이자 해결 과제임에 틀림없다.
이렇듯 창의성과 창의성 교육은 결코 쉽지 않은 주제이다. 쉽지는 않지만 모두들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아우성이니 이에 대해서 우리는 알아야 한다. 창의성 교육 전문가로 필자는 대학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도해왔으며, 교사를 비롯한 교육전문가와 행정가, 그리고 기업을 비롯한 다양한 조직에서 창의성 함양을 통한 이윤 극대화에 열과 성을 다하는 여러 전문가들을 만나왔다. 이들 모두 창의성에 대해서 궁금해하고 창의성 증진을 위해서 노력하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누구보다도 창의성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사람들은 부모와 교사, 그리고 크고 작은 조직을 이끌어 나가야 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특히 창의적인 자녀를 둔 부모의 애달프고 안쓰러운 이야기들은 필자로 하여금 이 책을 집필하게 한 주된 이유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교육심리학자로 많은 부모들을 만나면서 아이들의 재능 계발과 교육에 대한 이야기를 해왔다. 그런데 창의성 강연에서 만난 부모들은 조금 특별했다. 왜냐하면 이들 중 대부분은 근심 가득한 얼굴로 “창의적이거나 혹은 창의적일 것 같은 우리 아이를 어떻게 하면 되느냐…?”며 필자로부터 위로와 조언을 구하고 싶어하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럴 때마다 필자는 이렇게 말할 수 밖에 없었다.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주세요. 믿음을 갖고 지켜봐 주셔야 해요. 언젠가는 아이 스스로가 자신의 잠재성을 만개할 때가 올꺼예요. 부모님이 기다려 주시지 않으면 누가 기다려 주겠어요…?” 필자가 생각해도 부모들에게 위안이 되지 않는 무심하기 짝이 없는 대답이다. 그럼에도 창의적인 자녀를 둔 부모는 그렇게 힘겹게 느껴지는 아이의 창의성이 아이에게 얼마나 소중한 재능인지,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끊임없이 계발해야 하는지, 그리고 국가와 사회적으로도 얼마나 중요하고 가치로운 것인지 알아야만 한다. 그리고 아이의 창의성이 빛을 발휘하는 날까지 얼마나 많은 인고의 나날들을 함께 보내야 하는지도 말이다. 이 책을 통해서 이러한 사실들을 부모들이 조금이나마 더 많이 알게 되었으면 좋겠다.
2020년 11월부터, 창의성에 관심이 있고 창의적인 사람이 되고픈 많은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위안이 되고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을 담아 이 책을 쓰기 시작하였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부모와 교사가 창의적인 자녀를 키우고 학생을 교육할 때, 그리고 자녀와 학생의 창의적인 잠재성을 발견하고 성장시키려고 할 때, 왜 끝이 없어 보이는 인고의 시간을 함께 보내야 하는지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조직을 이끄는 리더에게는 조직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이 책이 제공해주기를 바란다. 소중하지만 마냥 달갑지만은 않은 창의성이라는 재능이 우리에게 여전히 “반드시 필요한 불편함”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는 이유도 이 책을 통해서 조금이나마 설명되었으면 한다.
“창의성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가?”로부터 시작하는 이 책의 창의성 이야기는 창의적인 사람들의 특징, 창의성 발견과 계발 및 교육 등을 주된 축으로 하여 창의성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글을 쓰는 입장에서도 창의성은 결코 만만치 않은 주제이다. 그러나 알면 알수록 빠져드는 묘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또한 창의성이다. 창의성을 공부하고 연구하고 교육하는 필자도 여전히 창의성이 정확히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그래서 창의성에 대해서 끊임없이 생각하고 고민하고 공부하면서 창의성이 가져다 주는 지적인 호기심과 자극에 매료되는 것 같다. 손에 잡힐 것 같지만 쉽게 그리고 결코 잡히지 않는 창의성, 이제부터 호기심과 인내심, 간절함과 기대감을 가지고 매력적인 창의성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여기서 잠깐! #1』 창의성과 비슷하게 사용되는 용어 7 I 창의성 이야기: 창의성, 창의성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1. 학자들은 창의성을 어떻게 이야기할까? 13 2. 창의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7 2-1. 첫 번째 방식: 창의적인 사람인가, 과정인가, 수행 또는 결과물인가? 17 (1) 세 가지 P(사람, 과정, 수행 또는 결과물)로 창의성 설명하기 18 (2) 창의성을 과정으로 설명한 학자들의 이야기 22 『여기서 잠깐! #2』 통찰과 창의성 26 2-2. 두 번째 방식: 그냥 창의성인가? 예술, 기업, 공학, 건축 창의성인가? 29 (1) 영역을 가정하지 않는 창의성과 영역을 가정하는 창의성 31 (2) 예술에서의 창의성 32 (3) 공학에서의 창의성 38 * 1 이선영 교수의 첫 번째 창의성 이야기: 공학 창의성 40 (4) 기업에서의 창의성 47 (5) 건축에서의 창의성 52 * 2 이선영 교수의 두 번째 창의성 이야기: 창의적 건축가 55 (6) 과학과 예술의 만남: 융합 이야기 68 * 3 이선영 교수의 세 번째 창의성 이야기: 루트 번스타인의 융합과 창의성 73 『여기서 잠깐! #3』 기업과 공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81 2-3. 세 번째 방식: 커다란 창의성인가? 작은 창의성인가? 86 3. 창의성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가? 집단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가? 92 3-1. 개인 창의성 93 3-2. 집단 창의성 95 (1) 교실에서 창의적인 학생 97 (2) 교실에서의 창의성과 창의적 메타인지 100 『여기서 잠깐! #4』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모둠 활동과 집단 창의성 105 Q&A 여전히 질문이 있어요 … 이선영 교수에게 물어보세요! Q1. 창의성이 그렇게 중요한가요? 인공지능시대에 코로나 바이러스와 힘들게 싸우면서 살고 있는 지금, 창의성은 여전히 중요한가요? 107 Q2. 아동이 어른보다 더 창의적인가요? 아니면 반대로 어른이 아동보다 더 창의적인가요? 109 II 창의성 측정과 진단 이야기: 창의성을 측정하고 진단할 수 있을까? 1. 창의성은 측정과 진단이 가능할까? 115 1-1. 심리학자들의 창의성 연구와 확산적 사고 능력으로서의 창의성 116 1-2. 토렌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119 1-3. 토렌스가 개발한 창의성진단검사 121 (1) TTCT 그림형 123 (2) TTCT 언어형 127 * 4 이선영 교수의 네 번째 창의성 이야기: 창의성의 대부, 토렌스 130 1-4. 이선영의 글로벌재능진단검사와 창의성 진단 139 『여기서 잠깐! #5』 원격연합능력과 창의성 144 * 5 이선영 교수의 다섯 번째 창의성 이야기: i+3C검사, 더 하고 싶은 이야기 146 Q&A 여전히 질문이 있어요 … 이선영 교수에게 물어보세요! Q1. 창의성은 측정이 가능한가요? 154 Q2.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모두 창의적이라고 할 수 있나요? 156 Q3. 창의적인 사람들은 외롭고 고독하게 살아야 하나요? 159 Q4. 창의적인 사람은 외향적인 사람들인가요? 162 III 창의성 계발 이야기: 창의성은 길러지는 것일까? 1. 가정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 172 1-1. 부모와 함께 발견하고 키워가는 아이의 창의성 172 (1) 앨버트 아인슈타인과 부모님 172 (2) 이세돌과 아버지 174 (3) 스티븐 스필버그와 어머니 176 (4) 토마스 에디슨과 어머니 177 (5) 일론 머스크와 어머니 179 (6) 이적과 어머니 181 2. 학교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 182 2-1. 교사와 창의적인 학생 183 2-2. 멘토로서의 초등학교 교사 188 2-3. 또래 친구와 창의적인 학생 189 3. 학교 밖에서 만나는 멘토는 어떻게 창의성 계발에 영향을 미칠까? 191 3-1. 창의적인 사람들과 멘토 이야기 193 (1) 정약용과 멘토 정약전 194 (2) 베토벤과 멘토 고틀로 네페 196 (3) 모네와 멘토 외젠 부댕 197 (4) 마이클 잭슨과 멘토 퀸시 존스 198 (5) 마크 주커버그와 멘토 스티브 잡스 200 3-2. 멘토링 유형(수직적 멘토링 vs. 수평적 멘토링)과 창의성 201 Q&A 여전히 질문이 있어요 … 이선영 교수에게 물어보세요! Q1. 창의성은 타고난 것일까요 vs. 길러지는 것일까요? 207 IV 창의적 환경 이야기: 창의성 계발에 우호적인 환경이 있을까? 1. 물리적인 공간 요인 212 1-1. 천장의 높이 212 1-2. 개방성, 밝기, 색상 215 1-3. 개인적인 공간과 소음(소리) 216 1-4. 칸막이와 자리배치 218 * 6 이선영 교수의 여섯 번째 창의성 이야기: 건축가들의 공간 221 2. 동양과 서양 문화에서의 창의성은 다른 것일까, 같은 것일까? 224 2-1. 창의성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 암묵지와 문화 차이 225 2-2.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창의성 보기 228 * 7 이선영 교수의 일곱 번째 창의성 이야기: 오스트리아 비엔나 232 Q&A 여전히 질문이 있어요 … 이선영 교수에게 물어보세요! Q1. 학교는 창의성 계발에 도움이 되나요? 그리고 창의성 계발을 위해서 학교를 다녀야 하나요? 237 Q2. 가정이나 학교에서 아이들의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서 어른들이 해서는 안되는 말이나 행동이 있을까요? 239 V 창의성 교육 이야기: 창의성 교육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할까? 1. 창의성 교육 바로 알기 243 1-1. 창의성 교육이란 무엇인가? 245 (1) 창의성 발견하기 246 (2) 창의적 전략과 기술: 창의성 발견 vs. 창의성 교육을 위한 것인가? 248 (a)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249 (b) 스캠퍼(SCAMPER) 250 (c) 유추, 비유, 비교와 대조하기 252 * 8 이선영 교수의 여덟 번째 창의성 이야기: 몸과 머리로 배운 창의성 전략 수업 255 (3) 이선영의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창의ㆍ융합프로그램과 창의ㆍ리더십프로그램 262 (a) 창의ㆍ융합프로그램 262 (b) 창의ㆍ리더십프로그램 264 * 9 이선영 교수의 아홉 번째 창의성 이야기: 창의성 교육의 방향 267 Q&A 여전히 질문이 있어요 … 이선영 교수에게 물어보세요! Q1. 다시 한번 정리해보는 창의성, 창의성은 무엇인가요? 279 Q2. 다시 한번 정리해보는 창의성 기르기, 창의성을 기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가장 중요한 노하우를 알려주세요. 284 VI 참고해서 읽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