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3576 | |
005 | 20220809135504 | |
007 | ta | |
008 | 220805s2020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28514618 ▼g 94380 | |
020 | 1 | ▼a 9788928503599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638331 | |
040 | ▼a 211048 ▼c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780.9519 ▼2 23 |
085 | ▼a 780.953 ▼2 DDCK | |
090 | ▼a 780.953 ▼b 2020 | |
100 | 1 | ▼a 오희숙, ▼g 吳姬淑, ▼d 1963- ▼0 AUTH(211009)115475 |
245 | 1 0 | ▼a 상호문화성으로 보는 한국의 현대음악 / ▼d 오희숙 |
246 | 1 1 | ▼a Contemporary Korean music in the view of interculturality |
260 | ▼a 서울 : ▼b 민속원, ▼c 2020 | |
300 | ▼a 383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a Minsokwon archebooks ; ▼v 167 |
504 | ▼a 참고문헌(p. 373-378)과 색인수록 | |
830 | 0 | ▼a 민속원 아르케북스 ; ▼v 167 |
830 | 0 | ▼a Minsokwon archebooks ; ▼v 167 |
900 | 1 0 | ▼a Oh, Hee-sook,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20 | Accession No. 5110536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20 | Accession No. 5110541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오희숙(지은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이론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대 피아노과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음악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음악미학연구회’ 대표로 활동하면서. 음악미학과 현대음악을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음악이 멈춘 순간 진짜 음악이 시작된다』(2021), 『상호문화성으로 보는 한국의 현대음악』(2020), 『작곡으로 보는 한국현대음악사』(2019), 『음악과 천재: 음악적 천재 미학의 역사와 담론』(2012), 『음악 속의 철학』, 『철학 속의 음악』(2009), 『쇤베르크의 달에 홀린 피에로』(2008), 『20세기 음악 1, 2』(2004)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프롤로그 1. 연구의 출발점 2. 연구의 관점: 왜 상호문화성인가? 3. 책의 구성과 지향점 제1부 이론적 배경 제1장 상호문화성의 이론적 토대 1. 오리엔탈리즘과 신오리엔탈리즘 2. 포스트식민주의 3. 문화적 상호 작용에 대한 음악분야 연구 제2장 상호문화성의 이해 1. 개념과 배경 2. 미학적 논점 제2부 작품연구 제3장 전통 형식의 현대적 탄생 1. 나인용의 〈오르간 산조〉(1979) 2. 이건용의 〈첼로 산조〉(1980) 3. 이신우의 〈1997년의 보태평〉(1997/2016) 4. 유병은의 〈현악 풍물〉(2012) 5. 임준희의 〈댄싱 산조 I〉(2008) 제4장 이중문화적 악기편성 1. 이상근의 〈조우 1/73〉(1973) 2. 이돈응의 〈한소리〉(1984) 3. 이영자의 〈나비의 연가 II〉(1997) 4. 김남국의 〈화두〉(2002) 제5장 민요의 활용 1. 이복남의 〈바다의 노래〉(1995~1996) 2. 정태봉의 〈한국〉(2008) 3. 강은수의 〈젊은 그들〉(2008) 4. 이인식의 〈정선 아라리〉(2011) 제6장 전통적 재료의 현대적 사용 1. 윤이상의 〈플루트 연습곡〉(1974) 2. 강석희의 〈농〉(1970) 3. 강준일의 〈마당〉(1983) 4. 황성호의 〈노리 2〉(1989) 제7장 한국의 회화와 서양음악의 만남 1. 백병동의 〈산수도〉(1983) 2. 김정길의 〈얼레짓〉(1988) 3. 이영조의 〈하늘천따지(줄풍류-II)〉(1995) 4. 전상직의 〈묘사를 넘어서〉(2008) 5. 이혜성의 〈치유 9?해와 아이들〉(2013) 제8장 오페라로 구현한 한국적 내러티브 1. 김순애의 오페라 〈직녀 직녀여〉(1984) 2. 이영조의 〈황진이〉(1999) 3. 김남국의 〈선녀와 나무꾼〉(2008) 4. 최우정의 〈달이 물로 걸어오듯〉(2014) 제9장 한국적·동양적 사상의 음악적 표현 1. 백남준의 〈음악의 전시: TV를 위한 선〉(1963) 2. 이만방의 〈무당〉(1981/82) 3. 윤이상의 〈멀리 떨어져〉(1988) 4. 박영희의 〈타령 IV〉(1991) 5. 강준일의 〈현황지곡〉(2009) 제10장 음악으로 그리는 한국의 역사와 사회 1. 윤이상의 〈광주여 영원히〉(1981) 2. 이건용의 〈들의 노래〉(1994) 3. 이혜성의 〈마루타〉(1995) 4. 정태봉의 〈진혼 II?세월호 희생자들의 넋을 달래며〉(2014) 5. 김택수의 〈국민학교 판타지〉(2018) 제3부 인터뷰 1. 한국적이라는 것을 소신 있게 거부하기|백병동| 2. 나는 뼛속까지 한국적이다|이영자| 3. 서양의 그릇에 한국 담기|이영조| 4. 내가 진 빚을 갚고 싶다|이건용| 5. 나만의 시스템으로 만드는 한국적 사운드|이돈응| 6. 주변에 머물고 싶은 멀티 스타일의 작곡가|황성호| 7. 고품격의 한국적 미를 찾아서|임준희| 8. 서양음악과 동양음악의 경계 넘기|강은수| 9. 한국의 청중을 위한 ‘착한 음악’을 찾는 작곡가|이인식| 10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한국에서 새로운 정체성 찾기|김택수| 에필로그 에필로그: 침묵하는 타자를 넘어서 -한국 현대음악에 나타난 상호문화성 미학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