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연희전문학교와 음악

연희전문학교와 음악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운형, 저 문백란, 文白蘭, 1956-, 저 박종현, 朴鍾賢, 1962-, 저 배연형, 裵淵亨, 1957-, 저 지형주, 池瀅珠, 1962-, 저
Corporate Author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세학풍연구소, 편
Title Statement
연희전문학교와 음악 / 정운형 외 ; 연세대학교 연세학풍연구소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20   (2021 2쇄)  
Physical Medium
248 p. : 삽화 ; 24 cm
Series Statement
연세학풍연구총서 ;7
ISBN
9788968504228
General Note
공저자: 문백란, 박종현, 배연형, 지형주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3427
005 20220810171659
007 ta
008 220805s2020 ulka b AQ 001c kor
020 ▼a 9788968504228 ▼g 93370
035 ▼a (KERIS)BIB000015662641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378.5195 ▼2 23
085 ▼a 378.53 ▼2 DDCK
090 ▼a 378.53 ▼b 2020z5
245 0 0 ▼a 연희전문학교와 음악 / ▼d 정운형 외 ; ▼e 연세대학교 연세학풍연구소 편
260 ▼a 서울 : ▼b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c 2020 ▼g (2021 2쇄)
300 ▼a 248 p. : ▼b 삽화 ; ▼c 24 cm
490 1 0 ▼a 연세학풍연구총서 ; ▼v 7
500 ▼a 공저자: 문백란, 박종현, 배연형, 지형주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정운형, ▼e
700 1 ▼a 문백란, ▼g 文白蘭, ▼d 1956-, ▼e
700 1 ▼a 박종현, ▼g 朴鍾賢, ▼d 1962-, ▼e
700 1 ▼a 배연형, ▼g 裵淵亨, ▼d 1957-, ▼e▼0 AUTH(211009)79893
700 1 ▼a 지형주, ▼g 池瀅珠, ▼d 1962-, ▼e
710 ▼a 연세대학교. ▼b 국학연구원. ▼b 연세학풍연구소, ▼e
830 0 ▼a 연세학풍연구총서 ; ▼v 7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8.53 2020z5 Accession No. 5110535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8.53 2020z5 Accession No. 5110541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연희전문학교는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침략을 일삼는 폭압 속에서도 민족의 정체성을 보존하며 대한(大韓)의 문화를 꽃피우는 산실이었다. 다섯 명의 학자가 근대 서양음악 도입기 찬송가의 역할, 연희전문학교에서 이루어진 음악교육 및 활동, 1932 년부터 출시된 연전음반, 연전 음악교육의 음악사적 의의 및 연전음반 보급과 유통을 조명한 책이다.

연희전문학교는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침략을 일삼는 폭압 속에서도 민족의 정체성을 보존하며 대한(大韓)의 문화를 꽃피우는 산실이었다.
이 책은 다섯 명의 학자가 근대 서양음악 도입기 찬송가의 역할, 연희전문학교에서 이루어진 음악교육 및 활동, 1932 년부터 출시된 연전음반, 연전 음악교육의 음악사적 의의 및 연전음반 보급과 유통을 조명한 것이다.
독자는 서구 근대음악의 수용ㆍ보급하는 과정에서 민족 고유의 문화적 가치를 서구 문화와 융합시키려는 자세를 견지한 그리고 일본 창가가 한국 음악을 장악하는 것을 저지하고자 했던 연희전문학교를 만날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01. 박종현 │ 언더우드의 『찬양가』의 문화적응과 근대 한국음악
Ⅰ. 들어가는 말
Ⅱ. 근대 찬송가의 역사와 『찬양가』의 성격 Ⅲ. 천주가사와 『찬양가
Ⅳ. 『찬미가』와 『찬양가
Ⅴ. 『찬양가』의 발간 과정과 한국 음악사에서 위치 Ⅵ. 『찬양가』의 가사와 번역
Ⅶ. 『찬양가』의 음악적 성격 Ⅷ. 『찬양가』 편집의 선교신학
Ⅸ. 『찬양가』와 서양음악의 적응화(adaption) 과정 Ⅹ. 나가는 말

02. 정운형 │ 한국인 교수의 음악 활동과 연전음반
Ⅰ. 들어가는 말 Ⅱ. 연희전문학교
Ⅲ. 한국인 음악 교수 Ⅳ. 연전음반
Ⅴ. 나서는 말

03. 문백란 │ 연희전문학교의 음악활동과 선교사 교원의 역할
Ⅰ. 서론
Ⅱ. 학풍 형성 Ⅲ. 행정과 교육
Ⅳ. 학생활동 지원 Ⅴ. 결론

04. 지형주 │ 연희전문학교 음악 활동의 음악사적 의의
Ⅰ. 들어가는 말
Ⅱ. 서양 음악사 속의 한국 음악
Ⅲ. 연희전문학교 음악 활동의 의미 Ⅳ. 나가는 말

05. 배연형 │ 1930년대 연희전문학교의 음반 취입의 사회사적 의의
Ⅰ. 글머리에
Ⅱ. 유성기 도입과 초기 외래음악의 녹음 Ⅲ. 1920년대의 외래음악 음반
Ⅳ. 1930년대 외래음악의 정착
Ⅴ. 1932년, 외래음악의 전환점과 연희전문학교의 녹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50돌 편찬위원회 (2022)
한국예술종합학교. 교무과 (2023)
吉見俊哉 (2022)
강수영 (2022)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0년사 집필자 (2022)
유홍림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