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2551 | |
005 | 20220802132802 | |
007 | ta | |
008 | 220802s2022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67422927 ▼g 94700 | |
020 | 1 | ▼a 9791185530819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169661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a ger |
082 | 0 4 | ▼a 401 ▼2 23 |
085 | ▼a 401 ▼2 DDCK | |
090 | ▼a 401 ▼b 2022z1 | |
245 | 0 0 | ▼a 호모 로퀜스 정체 밝히기 / ▼d 김형민 [외] |
260 | ▼a 서울 : ▼b 역락, ▼c 2022 | |
300 | ▼a 224 p. ; ▼c 24 cm | |
490 | 1 0 | ▼a 언어와 정보사회 학술 총서 ; ▼v 04 |
500 | ▼a 공저자: 신승용, 정수정, 김광섭, 연재훈, 김지영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 독일어가 혼합수록됨 | |
700 | 1 | ▼a 김형민, ▼g 金炯玟, ▼d 1963-, ▼e 저 ▼0 AUTH(211009)38328 |
700 | 1 | ▼a 신승용, ▼g 申昇容, ▼d 1970-, ▼e 저 ▼0 AUTH(211009)33941 |
700 | 1 | ▼a 정수정, ▼d 1967-, ▼e 저 ▼0 AUTH(211009)28846 |
700 | 1 | ▼a 김광섭, ▼g 金光燮, ▼d 1959-, ▼e 저 ▼0 AUTH(211009)6272 |
700 | 1 | ▼a 연재훈, ▼g 延哉勳, ▼d 1961-, ▼e 저 |
700 | 1 | ▼a 김지영, ▼d 1969-, ▼e 저 |
830 | 0 | ▼a 언어와 정보사회 학술 총서 ; ▼v 04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 2022z1 | Accession No. 1118676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언어와 정보사회 학술 총서 4권. 호모 로퀜스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획된 책이다. 언어는 인간에게 우연이기보다는 필연이다. 인간의 언어 능력은 직립 보행 능력, 도구 사용 능력, 사유 능력 등과 함께 인간의 가장 본질적인 속성에 속한다. 그래서 인간의 ‘인간됨’을 잘 보여주는 것이 언어이다.
언어학의 핵심 과제 중 하나, 다시 말해 언어학자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호모 로퀜스의 언어 능력을 규명하는 일일 수 있다. ‘호모 로퀜스의 언어 능력’은 실질적으로 ‘호모 로퀜스의 정체’이다. 따라서 ‘호모 로퀜스의 정체 밝히기’가 언어학의 핵심 과제이자 언어학자의 핵심 목표일 수 있다.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의 ‘언어와 정보사회 학술 총서 4’는 호모 로퀜스의 정체를 밝히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언어는 인간에게 우연이기보다는 필연이다. 인간의 언어 능력은 직립 보행 능력, 도구 사용 능력, 사유 능력 등과 함께 인간의 가장 본질적인 속성에 속한다. 그래서 인간의 ‘인간됨’을 잘 보여주는 것이 언어이다.
언어학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는 특히 호모 로퀜스(homo loquens)이다. 이때 homo sapiens의 자구적 의미는 ‘이성적인 인간, 슬기로운 인간, 사유하는 인간’이며, homo loquens의 자구적 의미는 ‘말하는 인간’이다. 호모 사피엔스는 다른 사람에게 말을 건네고, 다른 사람의 말을 듣는데 평생 동안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호모 사피엔스는 언어와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그래서 호모 사피엔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가 바로 호모 로퀜스적 속성이다.
언어학의 핵심 과제 중 하나, 다시 말해 언어학자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호모 로퀜스의 언어 능력을 규명하는 일일 수 있다. ‘호모 로퀜스의 언어 능력’은 실질적으로 ‘호모 로퀜스의 정체’이다. 따라서 ‘호모 로퀜스의 정체 밝히기’가 언어학의 핵심 과제이자 언어학자의 핵심 목표일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신승용(지은이)
서강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마치고, 현재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음운론 및 음운사, 문법 교육 및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가 전공 분야이다. 주요 저서로 『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2003), 『학교문법산책』(2010), 『국어음운론』(2013), 『기저형과 어휘부』(2018) 등이, 주요 논문으로 「중세국어피동 접사 ‘-이-, -히-, -기-, -리-’의 분포적 특성과 성격」(2019), 「복합어의 기저형과 복합어 경계 교체의 공시성 유무」(2020) 등이 있다.
연재훈(지은이)
1961년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및 대학원 언어학과 졸업(문학석사) 런던대학교 소아스 언어학과 박사과정 졸업(철학박사) 런던대학교 소아스 한국학과 교수 역임 현재 런던대학교 소아스 명예교수 / 한국학중앙연구원 초빙교수 저서: 언어유형론강의 (한국문화사, 2021), Korean Grammatical Constructions: Their Form and Meaning (Saffron Books, 2003), Korean: A Comprehensive Grammar (Routledge, 2011/2019) (공저) 등 편저: 유럽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쟁점( 박이정, 2011), The Handbook of Korean Linguistics (Wiley Blackwell, 2015) (공편) 등 논문: 국어 중립동사 구문에 대한 연구 (한글, 1989), 국어 여격주어 구문에 대한 범언어적 관점의 연구 (국어학, 1996) 등
김형민(지은이)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Salzburg)대학교 철학박사 숭실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현재) 서강대학교 유럽문화학과 교수
정수정(지은이)
독일 라이프치히대학교 박사 서울대학교 강사 (현재) 충북대학교 독일언어문화학과 교수
김광섭(지은이)
미국 메릴랜드대학교(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언어학 박사 한국생성문법학회장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장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통번역학부 교수
김지영(지은이)
서강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박사 미국 커네티컷 주립대학교(University of Connecticut) 심리학과 박사 후 연구원 서울시립대학교 강의전담객원교수 (현재)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책임연구원

Table of Contents
간행사 책머리에 Der Einfluss des i-Umlauts auf die morphologischen Ebene im Altenglischen / Hyeong Min Kim 1. Einleitende Bemerkungen 2. Bestimmung des Umlauts 3. Funktionen des i-Umlats 4. Schlussbemerkung 언어별 음절 연구와 국어 음절의 특징 / 신승용 1. 서론 2. 음절구조의 유형과 국어의 음절구조 3. 골격 층렬의 성격과 국어 음절구조에서 골격 층렬 4. 활음의 음절구조상에서의 위치 5. 결론 독일어 관용구에서 파생된 조어에 대한 고찰 / 정수정 1. 서론 2. 관용구 3. 탈관용구화 조어 4. 탈관용구화 조어로의 변형 유형 5. 탈관용화 조어의 동인 6. 결론 An Agree-Based Approach to Scrambling / Kwang-sup Kim 1. Introduction 2. Scrambling Paradoxes 3. An Agree-Based Approach to the Scrambling Paradoxes 4. Conclusion Extra-linguistic knowledge and Pragmatics i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Relative Clauses / Jaehoon Yeon 1. Introduction 2. Pragmatic constraints o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relative clauses 3. Attempts for a Formal Interpretation of Gapless Relative Clauses in Korean 4. Peculiarities of Korean relative clauses 5. Importance of Context and Pragmatic Knowledgei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Relative Clauses 6. Pragmatic factors working in the interpretation ofKorean relative clauses 7. Conclusion 화용적 원리의 신경기반 연구 / 김지영 1. 서론 2. 신경화용론 연구의 개요 3. 화용적 현상과 뇌 영역 4. 신경화용론의 결과 적용 5. 화용적 원리의 신경 기반에 대한 가설과 논의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