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2339 | |
005 | 20220727102418 | |
007 | ta | |
008 | 220726s2021 ulkadj b 001c kor | |
020 | ▼a 9788961876773 ▼g 94910 | |
020 | 1 | ▼a 9788961876698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235680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 ▼2 23 |
085 | ▼a 953.06 ▼2 DDCK | |
090 | ▼a 953.06 ▼b 2021z18 ▼c 28 | |
245 | 0 0 | ▼a 일본인 이주정책과 재조선 일본인사회 / ▼d 전성현 [외]지음 |
260 |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1 | |
300 | ▼a 455 p. : ▼b 삽화, 도표, 연표 ; ▼c 24 cm | |
490 | 1 0 |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28 - 사회 |
500 | ▼a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 |
500 | ▼a 공저자: 하지영, 이동훈, 이가연 | |
500 | ▼a 부록: 연표, 자료 | |
504 | ▼a 참고문헌(p. 436-450)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전성현, ▼e 저 |
700 | 1 | ▼a 하지영, ▼e 저 |
700 | 1 | ▼a 이동훈, ▼e 저 |
700 | 1 | ▼a 이가연, ▼e 저 |
830 | 0 |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28 - 사회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2021z18 28 | 등록번호 11186748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책소개 정보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저자소개 정보가 없습니다.
목차
발간사 4 편찬사 7 서론 1. 왜 ‘재조선 일본인’인가? 14 2. ‘재조선 일본인’ 연구동향 20 3. 이 책의 구성 39 제1장 일본인의 이주 식민과 존재 형태 1. 일본인의 이주 식민과 구분 44 2. 재조선 일본인의 존재 형태 51 제2장 일본의 이주정책과 이주농·어촌 1. 일제의 조선식민론과 이주정책 62 2. 일본 농민의 조선 이주와 이주농촌 73 3. 일본 어민의 조선 이주와 이주어촌 113 제3장 재조선 일본인사회의 ‘자치’ 단체와 교육사업: 거류민단과 학교조합 1. 일본인 거류민단체와 교육 160 2. 개항 초기의 거류지 행정 163 3. 거류민단체의 법인화 과정 173 4. 거류민단의 설립과 거류민 교육 182 5. 1910년 한반도의 식민지화와 거류민단의 해체 203 6. 학교조합의 운영과 일본인사회의 여론 215 제4장 재조선 일본인의 경제·정치활동과 ‘식민자의식’ 1. 재조선 일본인사회의 성장 배경 226 2. 재조선 일본인사회의 정치활동 253 3. 재조선 일본인사회의 ‘식민자의식’ 형성 280 제5장 식민자 일본인의 식민주의 문화: 신사와 유곽 1. 거류민신사(神社)에서 식민지신사로의 전환 306 2. 일본인 성매매업의 진출과 식민지 유곽 340 결론 1. 해방과 재조선 일본인의 귀환 376 2. 향후 연구 과제 382 부록 389 참고문헌 436 찾아보기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