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1994 | |
005 | 20220728101826 | |
007 | ta | |
008 | 220722s2022 ulk 000a kor | |
020 | ▼a 9791138811002 ▼g 0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9.519 ▼c 23 |
085 | ▼a 379.53 ▼2 DDCK | |
090 | ▼a 379.53 ▼b 2022z8 | |
100 | 1 | ▼a 이공훈 |
245 | 2 0 | ▼a (우리의 교육지평,) 유러피안 드림에서 아메리칸 드림으로 = ▼x From the European dream to the American dream / ▼d 이공훈 지음 |
260 | ▼a 서울 : ▼b 좋은땅, ▼c 2022 | |
300 | ▼a 271 p. ; ▼c 21 cm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53 2022z8 | 등록번호 1118672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비평을 통해 대한민국의 교육 개혁안을 제시한다. 김누리 · 김덕영 · 신현석 세 교수의 책 본문 글을 인용하여 의견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이들의 토의는 실제 진행하는 대담만큼 생생하다. 각자 제시하는 대안은 다르지만, 이들의 교육적 이상은 동일하다. 결국 교육이 교육다운 것, 그 교육이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학교와 제도가 개선되는 것이다.
저자는 진리를 탐구해야 하는 대학이 사실상 기업과 큰 차이가 없게 됐다며 현재 대한민국 고등교육의 현실을 지적했다.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배울 수 있는 보편교육이 된 시점에 그에 맞춘 대학 정책이 펼쳐져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책에는 독·불식과 영·미식 대학 모델이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 두 가지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하고 대한민국 실정에 맞게 적용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책은 그 과정을 논의하고 탐구한다.
실제로 우리 교육의 최대의 문제는 고등교육 속에 깊이 스며든 국가주의의 그림자를 제거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국가주의의 폐해는 조금만 들여다보면 쉽게 드러난다.
그것은 고등교육에 대한 민간의 창의와 열정을 뺏어 가고 그 생명력을 질식시킨다. 이것이 우리나라 고등교육을 짓눌러 왔다는 게 내 생각이다. 이에 대한 수많은 생각들을 여기에 담을 수는 없지만 해방 공간과 정부 수립 당시에 고등교육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국가주의를 적용시키지 않았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_본문 중에서
대한민국 고등교육의 지평 길잡이
생생한 대담 같은 교육 개혁 논의
책 <우리의 교육지평, 유러피안 드림에서 아메리칸 드림으로>는 비평을 통해 대한민국의 교육 개혁안을 제시한다. 김누리 · 김덕영 · 신현석 세 교수의 책 본문 글을 인용하여 의견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이들의 토의는 실제 진행하는 대담만큼 생생하다. 각자 제시하는 대안은 다르지만, 이들의 교육적 이상은 동일하다. 결국 교육이 교육다운 것, 그 교육이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학교와 제도가 개선되는 것이다.
저자는 진리를 탐구해야 하는 대학이 사실상 기업과 큰 차이가 없게 됐다며 현재 대한민국 고등교육의 현실을 지적했다.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배울 수 있는 보편교육이 된 시점에 그에 맞춘 대학 정책이 펼쳐져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책에는 독·불식과 영·미식 대학 모델이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 두 가지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하고 대한민국 실정에 맞게 적용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책은 그 과정을 논의하고 탐구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공훈(지은이)
학벌없는 사회만들기 대표 『열린시대 교육개혁론』 (김두루한 공저) 『정부와 시장에서 길을 찾다』 (정영섭 공저) 『섀먼 에듀』 (교육소설) 『자유론』 (서양철학) 오랫동안 우리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해 우리 아이들이 행복하게 자라기를 기대하면서 그 첫걸음은 입시지옥을 해소하는 것부터라고 생각하고 그 방안을 모색해 오다가 그보다도 먼저 대학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순서라고 보았다. 대학문제 중에서도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이 동일 시장에서 경쟁하게 하는 것이 과연 공정한가 하는 의문을 가져오다가 모든 대학들이 독·불식으로 국·공립일원화하거나, 영·미식으로 사실상 사립일원화를 해야 비로소 대학 간의 공정경쟁이 가능해지고 또 입시지옥도 해소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1. 고등 교육과 학벌 사회 - 김누리 교수의 글 중심으로 2. 초?·?중등 교육과 수험 사회 - 김덕영 교수의 글 중심으로 3. 우리나라 고등교육정책 변천사 - 신현석 교수의 글 중심으로 4. 이공훈의 교육 시사 칼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