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오리지네이션 : 브랜드와 브랜딩의 지리학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Pike, Andy, 1968- 이재열, 역 장근용, 역 오준혁, 역 박경환, 역
서명 / 저자사항
오리지네이션 : 브랜드와 브랜딩의 지리학 / 앤디 파이크 지음 ; 이재열 [외]옮김
발행사항
서울 :   푸른길,   2022  
형태사항
389 p. : 삽화, 도표 ; 23 cm
원표제
Origination : the geographies of brands and branding
ISBN
9788962919707
일반주기
공역자: 장근용, 오준혁, 박경환  
서지주기
참고문헌(p. 358-382)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ommercial geography Branding (Marketing)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1945
005 20220725092910
007 ta
008 220722s2022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2919707 ▼g 93980
035 ▼a (KERIS)BIB000016318662
040 ▼a 211032 ▼c 21103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58.8/27 ▼2 23
085 ▼a 658.827 ▼2 DDCK
090 ▼a 658.827 ▼b 2022z5
100 1 ▼a Pike, Andy, ▼d 1968-
245 1 0 ▼a 오리지네이션 : ▼b 브랜드와 브랜딩의 지리학 / ▼d 앤디 파이크 지음 ; ▼e 이재열 [외]옮김
246 1 9 ▼a Origination : ▼b the geographies of brands and branding
260 ▼a 서울 : ▼b 푸른길, ▼c 2022
300 ▼a 389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0 ▼a 공역자: 장근용, 오준혁, 박경환
504 ▼a 참고문헌(p. 358-382)과 색인수록
650 0 ▼a Commercial geography
650 0 ▼a Branding (Marketing)
700 1 ▼a 이재열, ▼e
700 1 ▼a 장근용, ▼e
700 1 ▼a 오준혁, ▼e
700 1 ▼a 박경환, ▼e
900 1 0 ▼a 파이크, 앤디,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8.827 2022z5 등록번호 1118671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브랜드와 결부된 장소성과 공간성을 파악하는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오리지네이션’은 행위자들이 브랜드와 브랜딩에 지리적 결합을 구성해 특정 시·공간 시장 상황에서 어떻게 재화나 서비스에 의미와 가치를 포착하고 스며들게 하는지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브랜드와 브랜딩에서 다소 미흡했던 지리적 관점을 제시한다.

기업은 상품과 원산지(장소)를 결합해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을 취한다. 반대로 상품과 원산지의 결합이 와해될 경우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부정적으로 변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는 버버리, 애플 등 실제 사례를 들어 재화와 서비스의 지리적 결합이 어떻게 형성되고 와해되는지, 그 가운데 브랜드와 브랜딩 행위자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우리가 사용하는 상품의 원산지는 어디일까

현재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스마트폰, 그 양대산맥인 애플과 삼성 스마트폰의 원산지를 생각해 보자. 대다수가 애플은 미국, 삼성은 한국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두 기업의 본사는 각각 미국과 한국에 있으며, 제품의 연구개발과 디자인을 담당한다. 하지만 제품의 실질적인 ‘생산’은 중국, 베트남, 대만, 인도 등에서 이루어진다. 그렇다면 두 스마트폰은 ‘원산’지를 미국과 한국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까.

(탈)글로벌화의 물결 속에서 투자, 연구개발, 디자인, 생산, 유통, 마케팅, 판매, 소비 등 여러 경제활동 간의 지리적 불일치가 역사상 어느 때보다 명백해졌다. 이처럼 복잡해진 경제의 현실 속에서 브랜드 상품과 서비스의 원산지도 의문과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오리지네이션』은 브랜드와 결부된 장소성과 공간성을 파악하는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오리지네이션’은 행위자들이 브랜드와 브랜딩에 지리적 결합을 구성해 특정 시·공간 시장 상황에서 어떻게 재화나 서비스에 의미와 가치를 포착하고 스며들게 하는지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브랜드와 브랜딩에서 다소 미흡했던 지리적 관점을 제시한다. 기업은 상품과 원산지(장소)를 결합해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을 취한다. 반대로 상품과 원산지의 결합이 와해될 경우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부정적으로 변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는 버버리, 애플 등 실제 사례를 들어 재화와 서비스의 지리적 결합이 어떻게 형성되고 와해되는지, 그 가운데 브랜드와 브랜딩 행위자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제1장은 서론에 해당하는 장으로 원산지의 중요성과 브랜드와 브랜딩의 역사, 브랜드와 브랜딩에서 지리학적 연구가 미흡한 현실을 파악함으로써 오리지네이션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제2장에서는 브랜드와 브랜딩을 지리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개념적, 이론적 기초를 확립한다. 브랜드와 브랜딩을 정의하고, 브랜드와 브랜딩에서 불가피한 지리적 연결과 함의에 대한 설명도 제시한다.
제3장은 오리지네이션의 개념을 보다 상세히 정의하고 설명한다. 지리적 원산지와 유래의 문제, ‘원산지 국가’에 대한 연구의 동향, 브랜드 상품과 브랜딩의 사회·공간적 역사를 검토한다.
제4장에서는 영국 뉴캐슬어폰타인을 기반으로 한 뉴캐슬 브라운 에일을 사례로 로컬 오리지네이션을, 제5장에서는 영국의 버버리를 사례로 국가적 오리지네이션을, 제6장에서는 애플을 사례로 글로벌 오리지네이션을 살펴본다. 이 장들은 저자의 심층적인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
7장에서는 지역발전과 오리지네이션의 관계를 살핀다. 브랜드와 브랜딩의 지리적 결합 속에서 지역발전에 가담하는 행위자들이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역량과 명성을 획득하려는 노력을 사례를 통해 검토한다.
제8장은 결론에 해당하는 장으로 책의 핵심 주장과 학문적 기여를 정리하면서 브랜드와 브랜딩의 지리에서 정치경제와 문화경제 측면에 관한 오리지네이션의 광범위한 논의와 이것이 기여하는 바를 언급한다. 또한 지역발전의 정치 측면에서 오리지네이션의 함의에 대한 성찰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브랜드와 브랜딩은 주로 경제적 관점에서 다루어졌다. 『오리지네이션』은 이러한 경향에 새로운 학문적 시각을 제시한다. 이 책을 통해 브랜드와 브랜딩에 관한 지리적 통찰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앤디 파이크(지은이)

영국 뉴캐슬대학교의 지리·정치·사회학부 교수로 재직한다. 세계적인 명성을 쌓은 경제지리학자이며 도시·지역발전 전문가다. 학계에서는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지리정치경제학과 진화경제지리학 분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지자체, 국가정부, 국제기구에서 도시·지역발전 정책 형성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이 책을 통해 ‘오리지네이션’이란 개념을 창안하여 상품, 서비스, 기업, 도시, 국가의 브랜드와 브랜딩 전략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이해와 설명의 토대를 마련했다. 최근에는 『도시 스테이트크래프트와 인프라의 금융화Financialising City Statecraft and Infrastructure』, 『로컬·지역발전Local and Regional Development』 출간에 공저자로 참여했다.

박경환(옮긴이)

2005년 켄터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2006년부터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사회지리학, 경제지리학, 지리사상사 등을 강의해왔다. 사회지리학 분야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 포스트식민주의 등 사회이론과 인문지리의 교차점에서 주로 담론분석과 제도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공간, 권력, 욕망의 사회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이재열(옮긴이)

2015년 위스콘신주립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2018년부터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인구와 정체성의 지리학, 경제지리학, 지역개발론 등을 강의해왔다. 포스트구조주의, 포스트식민주의 경제지리학자로서 기업, 산업, 생산, 금융의 측면뿐만 아니라 노동, 계급, 소비, 정체성, 주체성, 수행성, 통치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사회·정치·문화지리화된’ 경제활동과 경제경관 연구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장근용(옮긴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을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학하고 있다.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태양광산업의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에 관한 연구를 완수하고 석사학위를 수여받았다. 박사학위 과정 중에는 도시 문화공간의 잠재력과 창발성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다.

오준혁(옮긴이)

강원도 평창군 대화고등학교에서 지리교사로 재직한다. 이주, 다문화 공간, 문화경제 등의 주제에 연구의 관심을 두고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에서 석사과정을 수학하고 있다. 현직 교사로서 문화경제지리학 분야를 중등교육 현장에 적용해 가르치는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브랜드와 브랜딩의 지리학
제3장 오리지네이션
제4장 ‘로컬’ 오리지네이션: 뉴캐슬 브라운 에일
제5장 ‘국가적’ 오리지네이션: 버버리
제6장 ‘글로벌’ 오리지네이션: 애플
제7장 지역발전
제8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Isaacson, Walter (2023)
Ross, Stephen A. (2023)
Brigham, Eugene F (2022)
장세진 (2023)
엄유진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