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중대재해처벌법상 책임과 기업의 대응실무

중대재해처벌법상 책임과 기업의 대응실무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건우, 저 정병국, 저 이창호, 저 박삼용, 저 최호길, 저 황주원, 저 김문선, 저 김도희, 저 이명래, 저
서명 / 저자사항
중대재해처벌법상 책임과 기업의 대응실무 / 이건우 [외]
발행사항
[서울] :   공공노무법인,   2022  
형태사항
x, 800 p. : 삽화 ; 28 cm
기타표제
정부의 최신 중대재해처벌법 해설·매뉴얼·가이드반영!
ISBN
9791197875205
일반주기
공저자: 정병국, 이창호, 박삼용, 최호길, 황주원, 김문선, 김도희, 이명래  
부록: 1.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2. 직업성 질병 참고자료, 3. 형법 제1편 총칙편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797-80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21533
005 20220719171416
007 ta
008 220718s2022 ulka b 000c kor
020 ▼a 9791197875205 ▼g 03530
035 ▼a (KERIS)BIB000016237944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44.5190465 ▼2 23
085 ▼a 344.530465 ▼2 DDCK
090 ▼a 344.530465 ▼b 2022z5
245 0 0 ▼a 중대재해처벌법상 책임과 기업의 대응실무 / ▼d 이건우 [외]
246 0 3 ▼a 정부의 최신 중대재해처벌법 해설·매뉴얼·가이드반영!
260 ▼a [서울] : ▼b 공공노무법인, ▼c 2022
300 ▼a x, 800 p. : ▼b 삽화 ; ▼c 28 cm
500 ▼a 공저자: 정병국, 이창호, 박삼용, 최호길, 황주원, 김문선, 김도희, 이명래
500 ▼a 부록: 1.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2. 직업성 질병 참고자료, 3. 형법 제1편 총칙편 외
504 ▼a 참고문헌: p. 797-800
700 1 ▼a 이건우, ▼e
700 1 ▼a 정병국, ▼e
700 1 ▼a 이창호, ▼e
700 1 ▼a 박삼용, ▼e
700 1 ▼a 최호길, ▼e
700 1 ▼a 황주원, ▼e
700 1 ▼a 김문선, ▼e
700 1 ▼a 김도희, ▼e
700 1 ▼a 이명래,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4.530465 2022z5 등록번호 1212603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민형사상 책임의 주요내용에 대하여 기본적인 이해를 갖도록 하였다. 민형사상 책임을 부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사전적 대응방안으로 4가지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차질 없이 이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한 이후의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한 사업장의 사업주나 경영책임자등에게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 벌금의 중형으로 형사 처벌하고, 더불어 아직 우리나라 법제에서는 생소한 징벌적 손해배상으로 손해액의 5배까지 배상책임을 부과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기업 현실상 예기치 않게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잘 알고 있는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의 입장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두려움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이 책에서는 아래 세 가지 점에 중점을 두고 집필하였다.

첫째, 민형사상 책임의 주요내용에 대하여 기본적인 이해를 갖도록 하였다.「법률의 부지(不知)는 용서받지 못한다」는 법언(法諺)이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상의 형사책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범죄론 체계에 따라 산업재해치사상죄의 구성요건, 위법성, 책임 등 범죄의 성립요건, 형벌, 죄수(罪數)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대해서도 독립된 편을 구성하여 나름대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민형사상 책임을 부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사전적 대응방안으로 4가지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차질 없이 이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대산업재해의 결과가 발생하였다고 하여 모두 산업재해치사상죄로 처벌되는 것은 아니다. 형사법에는 죄형법정주의와 책임주의라는 헌법상의 원리가 지배되고 있다. 따라서 중대재해처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의 4가지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충실히 이행한다면, 가사 중대재해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산업재해치사상죄의 구성요건적 행위가 존재하지 않고, 인과관계도 인정되지 않아서 형사 처벌을 받지 않을 것이다. 또한 징벌적 손해배상 책임도 기본적으로 이 4가지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위반하여 산업재해를 발생하게 하여야 부담하는 것이므로 4가지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이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셋째,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한 이후의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사업주가 응급하게 취해야 할 조치가 무엇인지 안내하고, 고용노동부의 행정조치, 수사기관의 수사절차, 피해자측과의 민사보상 등 기업이 현실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이슈들에 대한 대응방안을 정리하였다.

아무쪼록 이 책이 전문가들의 컨설팅을 받기 어려운 중소기업의 사업주나 안전보건담당자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건우(지은이)

공인노무사/연세대 법학과/연세대 대학원 법학과(형법전공, 법학석사), 숭실대 대학원 법학과(노동법 전공, 법학박사)

정병국(지은이)

공인노무사/연세대 법학과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편 서 론
제1장 중대재해처벌법 개관
제2장 중대재해처벌법의 구성 및 조문별 주요내용
제3장 중대재해처벌법의 성격과 형법총칙의 적용
제4장 중대재해처벌법에 적용되는 헌법상의 원리
제5장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의 비교

제2편 산업재해치사상죄
제1장 중대재해처벌법상의 범죄 개관
제2장 산업재해치사상죄의 구성요건
제3장 산업재해치사상죄의 위법성
제4장 산업재해치사상죄의 책임성
제5장 산업재해치사상죄에 대한 형벌부과
제6장 산업재해치사상죄에 대한 보충적 규정
제7장 산업재해치사상죄와 다른 죄의 비교 및 죄수관계

제3편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제1장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기초이해
제2장 중대재해 발생 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제4편 중대산업재해 발생에 대한 기업의 대응
제1장 중대산업재해 발생 예방
제2장 중대산업재해 발생 이후 대응
제3장 문서보관의무 이행

부 록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직업성 질병 참고자료
형법 제1편 총칙편
과실치사상ㆍ산업안전보건범죄 양형기준
고용노동부가 제시하는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방안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2022년 산업안전감독 종합계획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