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21486 | |
005 | 20231004171202 | |
007 | ta | |
008 | 220718s2022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64374054 ▼g 94300 | |
020 | 1 | ▼a 9788964374047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231838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301.09519 ▼2 23 |
085 | ▼a 301.0953 ▼2 DDCK | |
090 | ▼a 301.0953 ▼b 2022z9 | |
245 | 0 0 | ▼a 성공의 덫에 빠진 대한민국 : ▼b 역진적 선별 복지의 정치·경제적 궤적 / ▼d 김영순 [외]지음 ; ▼e 신광영, ▼e 윤홍식 엮음 |
260 | ▼a 서울 : ▼b 후마니타스, ▼c 2022 | |
300 | ▼a 326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공공상생연대 사회개혁총서 ; ▼v 01 |
500 | ▼a 공저자: 백승호, 신광영, 윤홍식, 전병유, 정준호, 최태욱 | |
504 | ▼a 참고문헌: p. 309-326 | |
700 | 1 | ▼a 김영순, ▼e 저 |
700 | 1 | ▼a 신광영, ▼g 申光榮, ▼d 1954-, ▼e 저·편 ▼0 AUTH(211009)67483 |
700 | 1 | ▼a 윤홍식, ▼g 尹洪植, ▼d 1967-, ▼e 저·편 ▼0 AUTH(211009)87484 |
700 | 1 | ▼a 백승호, ▼g 白承浩, ▼d 1971-, ▼e 저 ▼0 AUTH(211009)80617 |
700 | 1 | ▼a 전병유, ▼g 田炳裕, ▼d 1962-, ▼e 저 ▼0 AUTH(211009)144249 |
700 | 1 | ▼a 정준호, ▼g 鄭埈豪, ▼d 1968-, ▼e 저 ▼0 AUTH(211009)55774 |
700 | 1 | ▼a 최태욱, ▼g 崔兌旭, ▼d 1961-, ▼e 저 ▼0 AUTH(211009)98971 |
830 | 0 | ▼a 공공상생연대 사회개혁총서 ; ▼v 01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1.0953 2022z9 | Accession No. 1118670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 사회가 빠진 덫은 한국 사회가 실패한 결과가 아니라 세계와 우리 스스로가 입에 침이 마르도록 찬양해 마지않았던 그 ‘성공’의 결과다. 이처럼 성공이 곧 덫이 된 현실은 한국 사회가 그 ‘덫’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대안을 찾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사회가 덫에서 빠져나온다는 것은 한국 사회가 자신이 성공할 수 있게 한 바로 그 유산을 폐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성공의 경험을 우리 스스로 부정할 때 우리는 비로소 그 성공의 덫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덫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길을 찾는 일은 해방 이후 한국 사회가 걸어왔던 누적된 유산의 역설적이고 중층적인 성격을 정확하게 집어내고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신광영(지은이)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불평등, 노동과 복지를 비교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한국사회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계급과 노동운동의 사회학』,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민주화』, 『한국의 계급과 불평등』,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교육, 젠더와 사회이동』(공저), Precarious Asia: Global Capitalism and Work in Japan, South Korea, and Indonesia(공저)(*영어 부분은 이탤릭체로 해주세요.) 등이 있다.
전병유(지은이)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교수이다.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연구위원이었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다중격차, 한국 사회 불평등 구조』(공저), 『코로나 팬데믹과 한국의 길』(공저), 『임금과 일자리 기회의 코호트 간 차이에 관한 연구』(공저)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노동경제, 사회정책, 한국경제 등이다.
김영순(지은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교수(정치학). 국제노동기구 연구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복지국가연구회 회장, 한국사회정책학회 회장으로 일한 바 있다. 연구 분야는 한국과 서유럽의 복지국가와 복지 정치, 복지 태도, 복지국가와 젠더 등이다. 저서로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 <코끼리 쉽게 옮기기: 영국 연금개혁의 정치>, <한국 복지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사회투자와 한국 사회정책의 미래>(공저), <The Small Welfare State: Rethinking Welfare in the US, Japan and South Korea>(공저) 등이 있다.
최태욱(지은이)
한국리버럴아츠센터(KLAC) 센터장. 대학에서는 한국의 합의제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연구와 운동을 지속해 왔다. 현재는 인문학 교육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한동대학교 교수,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계간 『창작과 비평』 편집위원, 참여연대 상집 위원, 비례대표제포럼 운영위원장, 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 대표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세계화시대의 국내정치와 국제정치경제』, 『한국형 합의제 민주주의를 말하다』, 『청년의인당』 등이 있고, 편서로 『신자유주의 대안론』, 『자유주의는 진보적일 수 있는가』, 『사회 개선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인문학 교육 방안』 등이 있다.
윤홍식(지은이)
인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이다.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사회정책학회장,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장,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정책 대안매체 『소셜코리아』의 편집인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과 궤적』(전3권), 『이상한 성공』, 편저로는 『우리는 복지국가로 간다』, 『안보개발국가를 넘어 평화복지국가로』, 『평화복지국가』, 『우리는 한배를 타고 있다』 등이 있고, 『성공한 나라, 불안한 시민』 등 다수의 공저가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 경제, 복지의 통합적 관점에서 바라본 복지국가의 현재와 역사이다.
정준호(지은이)
강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동산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을 역임했다. 주로 산업(혁신)정책, 지역 정책, 그리고 부동산 시장 및 자산 및 소득 불평등을 아우르며 연구하고 있다. 최근 저서로는 『한국의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불화와 공존』(공저), 『뉴노멀』(공저), 『우리는 복지국가로 간다』(공저), 『2022 한국의 논점』(공저) 등이 있다.
백승호(지은이)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요 연구 분야는 비교사회정책, 불안정노동, 기본소득 등이다. 플랫폼 자본주의로의 전환과 불안정노동의 일상화가 가져오는 사회적 위험들에 대한 대안적 복지국가의 재구성 논의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기본소득이 있는 복지국가>(공저), <한국의 불안정 노동자>(공저)가 있고, 논문으로 “생태적 전환을 위한 ‘참여소득’의 가능성”, “비표준적 형태의 일과 사회보장개혁의 남아있는 과제들”, “더 나은 기본소득 논쟁을 할 권리”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발간사 서문: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모색_신광영 1장 성공의 역설, 한국 정치?경제?복지 체제가 남긴 것_윤홍식 2장 상생과 연대를 위한 한국 ‘산업 체제’의 평가와 과제_정준호 3장 한국 노동시장 구조의 변화와 정책 평가_전병유 4장 한국 복지국가의 과거와 현재: 진단과 비판_백승호 5장 한국 복지 정치의 구조와 행위자: 평가와 과제_김영순 6장 87년 체제의 한계와 정치 개혁_최태욱 7장 요약 및 결어_신광영 참고문헌